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 영향 변인 탐색 =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63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y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Method: This study used the data regarding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from 2017 Disability Surve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21 variables that could affect each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Exploring whethe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s able to go out on their own, a perception of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an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using welfare institu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Conclusion: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t is necessary to build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such as supporting personnel and assistive devices, as well as considering factors that inhibit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policy of lifelong education.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y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y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Method: This study used the data regarding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from 2017 Disability Surve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21 variables that could affect each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Exploring whethe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s able to go out on their own, a perception of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an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using welfare institu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Conclusion: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t is necessary to build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such as supporting personnel and assistive devices, as well as considering factors that inhibit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policy of lifelong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 중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를 종속변수로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21개 변인을 독립변수로 각각 설정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혼자서 외출 가능 유무, 우리나라의 장애인 차별 정도에 대한 인식, 여가활동 참여 경험, 복지기관 이용 경험이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탐색되었다. 결론: 따라서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조인력, 보조기기 지원 등과 같이 평생교육 참여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은 물론, 이들의 평생교육 참여의사를 저해하는 요인을 고려하여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 중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를 종속변수로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21개 변인을 독립변수로 각각 설정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혼자서 외출 가능 유무, 우리나라의 장애인 차별 정도에 대한 인식, 여가활동 참여 경험, 복지기관 이용 경험이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탐색되었다. 결론: 따라서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조인력, 보조기기 지원 등과 같이 평생교육 참여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은 물론, 이들의 평생교육 참여의사를 저해하는 요인을 고려하여 중도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재연,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평생교육참여 저해 요인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12 (12): 145-162, 2017

      2 구교만, "지체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 기간과 자아존중감 및 자립생활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40) : 463-471, 2010

      3 이경혜,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4 윤순이,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0

      5 박재국,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9 : 1-24, 2007

      6 남연희, "지체장애인 자립생활서비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0) : 263-290, 2012

      7 송인애,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49-471, 2019

      8 강인철, "중증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정도가 이동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주시 중증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8

      9 이기윤, "중증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7

      10 박경수,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5 (15): 93-112, 2013

      1 유재연,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평생교육참여 저해 요인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12 (12): 145-162, 2017

      2 구교만, "지체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 기간과 자아존중감 및 자립생활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40) : 463-471, 2010

      3 이경혜,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4 윤순이,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0

      5 박재국,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9 : 1-24, 2007

      6 남연희, "지체장애인 자립생활서비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0) : 263-290, 2012

      7 송인애,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49-471, 2019

      8 강인철, "중증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정도가 이동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주시 중증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8

      9 이기윤, "중증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7

      10 박경수,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5 (15): 93-112, 2013

      11 이상록,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12 강은영, "중도·중복장애를 지닌 평생학습자의 부모와 현장 전문가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1-33, 2019

      13 구신실,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67-90, 2018

      14 차은아,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ㆍ경제적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37-260, 2013

      15 김용욱,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직업교육 중심의 평생교육 모델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37-256, 2011

      16 김경수, "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17 김미아, "장애인야학 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및 저해 요인"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1-20, 2017

      18 이미현,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현황과 욕구-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191-214, 2018

      19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20 김현숙,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발달장애인 욕구분석 연구 - 시흥시 거주 발달장애인의 욕구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5 (5): 25-53, 2019

      21 강동선, "성인발달장애인 직업중심 평생교육 모델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9 (19): 1-22, 2015

      22 김기룡,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융합학회 11 (11): 333-341, 2020

      23 김영준, "발달장애인의 직업특수교육 융합 평생교육과정 구성모델 개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743-754, 2019

      24 김경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운영경험에 대한 질적사례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3 (23): 29-47, 2019

      25 김두영,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23 (23): 241-258, 2016

      26 조창빈,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현황 및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1-24, 2016

      27 강동선, "발달장애성인의 자립생활중심 평생교육 프로그램 적용효과" 과학교육연구소 56 (56): 12-28, 2017

      28 박현승,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국악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참여의사 예측요인 분석" 국립국악원 (33) : 75-93, 2016

      29 박정민, "고등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실태 및 지원요구- 문화예술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9 (19): 167-188, 2018

      30 조창빈, "경기도 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4 (4): 29-48, 2018

      31 정연수, "「평생교육법」 개정에 따른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 연계방안"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2 (22): 123-152, 2018

      32 Cho, J. H., "The Effect of Sports Activity to Independent living of Physical Disabilities" 2 (2): 1-9, 2004

      33 David, B.,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the UK : Helping or hindering employment among the disabled" 28 (28): 465-480, 2009

      34 Ministry of Education, "Policy for 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2020~2022)" 2019

      35 임혜경, "ICF에 준거한 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과 영향요인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25-247, 2015

      36 Kang, H. S., "Human rights and independence life of facility residents"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2009

      37 Kim, K. R., "Establishment and Future Challenges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Amend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3 (3): 1-30, 2017

      3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sability policy changes in 31 years"

      39 Kim, S. S.,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Long-term plan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8

      40 Cho, C. B., "An Analysis of Planning Process of Lifelong Education Leisure Activity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1 (1): 69-100, 2015

      41 Kim, K. 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generalized model through pilot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2019" National Special Education Institute 2019

      42 Kim, D. Y., "A Study on the Status and Policy Directions of Lifelong Learning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Gyeonggi-Do Provincial Institute for Lifelong Learning 2017

      43 Park, H. I., "A Study of the Leisure Cultur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or Realizing Lifelong Learning" 1 (1): 71-96, 2015

      44 Kim, S. H., "2017 Disability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