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산지역 소재 초등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통합교육과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5명과 통합학급교사 5명 등 총 10명의 인식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27787
김기흥 (부산교육대학교)
2009
Korean
integrated class ; special class ; integrated education ; elementary school ; 특수학급 ; 통합학급 ; 통합교육 ; 특수학급교사 ; 통합학급 교사
KCI등재
학술저널
17-51(35쪽)
2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산지역 소재 초등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통합교육과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5명과 통합학급교사 5명 등 총 10명의 인식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
본 연구는 부산지역 소재 초등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통합교육과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5명과 통합학급교사 5명 등 총 10명의 인식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서 통합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교육의 개념, 통합교육의 개념, 특수학급운영에 관련된 사항,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책에 대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중요한 몇 가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육의 개념을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준비과정, 인간행동의 변화, 이타주의의 실현 등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장애아에게 교육은 비장애아동과 일반적으로 같은데, 특히 장애아동에게 교육은 생존과 자립의 문제, 사회성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통합교육을 동일한 공간 및 다양한 교육방법, 상호적 관계성, 교육기회의 평등성으로 인해하고 있다. 통합교육의 효과로는 장애아동에게는 모방학습, 비장애아동에게는 인성교육을 각 각 꼽고 있다.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에 대하여 시기상조를 비롯하여 통합교육과정, 통합반교사 등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급의 운영에 있어서 장애아동은 교사들의 고통분담 방식으로 배치되고, 통합반 교사는 제비뽑기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특수학급은 장애의 다양화와 중증화로 변화고 있으며, 통합교육 교과목은 국가차원의 관련 규정의 부재로 인한 교사 간 책임 및 역할의 혼란, 통합반교사의 역량부재,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태도 등으로 인하여 주로 예체능교과목 위주로 형식적이며 질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 운영의 문제점으로는 통합반 교사의 인식부족, 통합 교육과정의 법적, 행정적 미비. 특수학급교사의 소극성, 권한의 제한성, 장애아의 학습준비기술의 결여 등을 언급하고 있으며, 과제로는 통합반교사의 인식개선을 비롯하여 그들에 대한 다양한 지원책 마련, 통합교육과정의 법적 명문화, 장애아부모의 적극적인 협조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by examining special clas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special class operation, focusing on the s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by examining special clas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special class operation, focusing on the special classes that are established at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area. The study subjects were 10 persons including five special class teachers and five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on the subjec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revealed that it was very urgent to improve the selection procedure of teachers, who would be in charge of integrated classes that had handicapped children, and to make support plans. Appropriate qualification criteria for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class and various support plans for them must be considered.
Secondly, along with the preparation of legal or administrative regulations, basic environments must be provided to enable integrate education program to be applied systematically and practically. This way, the causes of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s and confusions that arise among teachers or, from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integrated education and special class operation in education fields, can be eliminated.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승희, "한국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육과학사 2003
2 안승숙,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간 협력 정도와 일반아동의 장애아 수용 태도와의 관계"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최세민, "특수학급경영론" 박학사 2005
4 권주석,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력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5 (5): 1-15, 2001
5 장보원,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수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0
6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7 김병철, "통합학급과 특수학급 담임교사간 협력정도에 따른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장애아 수용태도 비교.경남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이대식,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in: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학지사 2006
9 이소현,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 간 협력모형" 7 : 67-87, 2000
10 송영옥, "통합교육에서 원적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역할분담 실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 박승희, "한국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육과학사 2003
2 안승숙,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간 협력 정도와 일반아동의 장애아 수용 태도와의 관계"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최세민, "특수학급경영론" 박학사 2005
4 권주석,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력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5 (5): 1-15, 2001
5 장보원,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수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0
6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7 김병철, "통합학급과 특수학급 담임교사간 협력정도에 따른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장애아 수용태도 비교.경남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이대식,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in: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학지사 2006
9 이소현,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 간 협력모형" 7 : 67-87, 2000
10 송영옥, "통합교육에서 원적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역할분담 실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1 신현순,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비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0
12 류덕히,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특수교사에 태도연구.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1
13 최선실, "통합교육실행을 위한 원적학급교사의 지원요구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4 박승희, "통합교육 실시를 위한 원적학급 일반교사의 지원 요구" 14 (14): 319-348, 2001
15 김택순, "통합교육 및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6 한국통합교육학회, "통합교육" 학지사 2005
17 윤점룡, "취학 전 단계에서의 통합교육의 과제와 대책" 16 (16): 49-63, 1995
18 서광남,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육실태 및 지원요구 조사 분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19 김미숙,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따른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0
20 김영옥,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부분 통합교육 효율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0
21 김연화, "중학교 특수학급 운영체제에 대한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인식 수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0
22 백은희,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방해요인에 대한 중학교 일반교사의 인식조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3 교육인적자원부, "장애학생의 사회적응력 신장을 위한 통합교육의 모형연구"
24 박승희, "일반학급의 비장애학생과 특수학급의 장애학생과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일 분석:통합교육을 통한 비장애학생의 긍정적 경험" 11 : 95-126, 1994
25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26 조광순, "발달장애유아통합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간 공동협력에 대한 현장중심 교사 연수 및 지원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36 (36): 251-274, 2000
27 김수연, "놀이프로그램의 통합 및 놀이수정 교수여부가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정서적 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8 강호철, "고등학교 특수학급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수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0
29 "www.gew-nds.de/sos/html/body-integration.html"
30 www.de.wikipedia.org/wiki/inklusive-P%C3, "www.de.wikipedia.org/wiki/inklusive-P%C3%A4dagogik"
31 Buerli,A, "Sonderpaedagogik international; Vergleiche, Tendenzen, Perspektiven. Luzern"
32 Bintinger, G, "Inklusiven Unterricht gestalten. Creating Inclusive Education. In: Behinderte in Familie" 24 : 51-60, 2001
33 Greving, H, "Handbuch Heilpaedagogik. 1. Auflage" Bildungsverlag EINS 2005
34 Vernooij, Monika A, "Einfuehrung in die Heil- und Sonderpaedagogik in Theoretische und praktische Grundlagen der Arbeit mit beeintraechtigten Menschen" Quelle & Meyer Verlag 2007
35 Lersch, R, "Diskussionsbeitrag in Behinderte Kinder und Jugendliche in der Schule" Bad Heilbrunn/Obb 1992
ADHD를 가진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머니 특성 및 자녀 특성과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6-1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15 | 1.374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