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학 전공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ocial Work Practicum on the Social Work Students’ Career Development: Focused on Self-Este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2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have experience about social work practicum and th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career development(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 level). The survey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169 questionnaires which ‘D’ University in Busan were used as the valid sample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 students’ positive self-esteem appear high. Second, social work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general social work practicum and surroundings and contents. Third, in spite of social work practicum, most students were not be enough to prepare about career. Fourth,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develop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have experience about social work practicum and th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career development(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 level). The survey used a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have experience about social work practicum and th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career development(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 level). The survey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169 questionnaires which ‘D’ University in Busan were used as the valid sample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 students’ positive self-esteem appear high. Second, social work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general social work practicum and surroundings and contents. Third, in spite of social work practicum, most students were not be enough to prepare about career. Fourth,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수준) 정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D대학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이후, 사회복지현장실습 수업을 수강 중인 대학생 169명의 설문 내용을 최종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뿐만 아니라 실습환경과 실습내용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이라는 실천행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진로에 대한 준비 및 결정은 아직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특히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이들 변수와 부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기반으로 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수준) 정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수준) 정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D대학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이후, 사회복지현장실습 수업을 수강 중인 대학생 169명의 설문 내용을 최종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뿐만 아니라 실습환경과 실습내용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이라는 실천행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진로에 대한 준비 및 결정은 아직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특히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이들 변수와 부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기반으로 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 홍순혜, "학교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1 : 161-191, 2013

      3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동문사 2000

      4 한국경제, "졸업앞둔 대학생 62%, 앞길 깜깜 진로 모른다"

      5 박용두,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041-1056, 2007

      6 오승환,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7 김종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2 (22): 123-140, 2010

      8 김태순,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전문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9 (9): 97-126, 2009

      9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현장실습 실태조사 및 지침서" 보건복지부 2010

      10 정진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2

      1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 홍순혜, "학교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1 : 161-191, 2013

      3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동문사 2000

      4 한국경제, "졸업앞둔 대학생 62%, 앞길 깜깜 진로 모른다"

      5 박용두,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041-1056, 2007

      6 오승환,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7 김종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2 (22): 123-140, 2010

      8 김태순,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전문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9 (9): 97-126, 2009

      9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현장실습 실태조사 및 지침서" 보건복지부 2010

      10 정진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2

      11 정진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28-237, 2013

      12 김선희, "사회복지실습" 양서원 2004

      13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교육과정개편(안)"

      14 부산복지개발원, "부산지역 사회복지현장실습 공통매뉴얼"

      15 전은진, "대학생의 친족 용어 사용에 대한 의식 및 실태 조사" 한민족문화학회 (40) : 5-37, 2012

      16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 311-333, 1997

      17 Erikson, E, H., "Youth and Crisis" 1968

      18 Maier, D., "The Relationship of Vocational Decidedness and Satisfaction with Dogmatism and Self-esteem" 5 : 95-102, 1974

      19 Coopersmith, S., "The Adolescents of Self-esteem" Freem 1967

      20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6

      21 Friedlander, L, J.,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tress as Predictors of Adjustment to University Among First-Year Undergraduates" 48 (48): 259-274, 2007

      22 Salmela-Aro, K., "Self-esteem during University Studies Predicts Career Characteristics 10 Years Latter" 70 : 463-477, 2007

      23 Korman, A. K., "Self-esteem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Abilities and Vocational Choice" 51 : 65-67, 1967

      24 Thunholm, P., "Decision-making Style : Habit" 36 (36): 942-944, 2004

      25 Betz, N. E., "Career Assessment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4 : 313-328, 1996

      26 Roenkae, A., "Accumulation of Problems in Social Functioning in Young Adulthood : A Developmental Approach" 69 (69): 381-391, 1995

      27 Super, D. E.,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8 (8): 185-190, 1953

      28 Osipow, S. H., "A Scale of Educational Vocational Undecidedness : A Typological Approach" 9 : 232-243, 1976

      29 Super. D. E., "A Life-span Life-a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16 : 282-298,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ling -> Korea Academy of Welfare Counsell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