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쟁점 수업 참여 학습자의 토론에 대한 인식 변화 = Participant Students` Cognition of Discussion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다수 학생들에게 공공쟁점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과 토론학습 참여는 일상적이지 않은 경험일 것이다. 그들이 법리적 접근법으로 알려진 공공쟁점 토론학습에 참여하는 것은 교사중심의 ...

      대다수 학생들에게 공공쟁점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과 토론학습 참여는 일상적이지 않은 경험일 것이다. 그들이 법리적 접근법으로 알려진 공공쟁점 토론학습에 참여하는 것은 교사중심의 설명수업 참여와는 다른 경험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쟁점 토론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탐구하기 위하여, 공공쟁점 토론학습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학습자의 토론과 관련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공공쟁점 토론 참여 이후에 동료 간의 갈등과 긴장을 더욱 민감하게 인식하였으나, 이것이 오히려 이들의 자발적인 발언 유발 요인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의 토론 참여와 관련하여 교사 역할을 다면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학생에게 발언 기회를 부여하거나 평가자로서의 교사 역할은 발언유발 요인으로서 인식이 저하되었으나, 학생 발언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자와 토론 참여자로 서의 역할은 발언 유발요인으로 명확하게 인식되었다. 셋째, 공공쟁점 토론 참여가 토론에 대한 자기 효능감 증진 및 토론 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명료한 인식을 가져왔으나, 토론이 학습내용을 배우는 효과적 방법이라는 점에 대하여는 회의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자발적 토론 참여에 토론 주제에 대하여 많은 지식을 아는 것을 지속적으로 지지하였으나, 토론을 위한 과제 준비나 발언하기 전 생각할 시간의 확보와 같은 토론학습을 위한 전략에 대한 효용성에 대한 인식은 변화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ost students are familiar to teacher-leading or conservative classroom culture, their experiences of pub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is unique ones. To lay the foundation for pub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this study try to...

      As most students are familiar to teacher-leading or conservative classroom culture, their experiences of pub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is unique ones. To lay the foundation for pub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this study try to survey students` cognition of pre-questionnaire and post-questionnaire and to make an analysis these. The key founding of this case study are those followings. First, students have more recognition of interpersonal conflict but that is possible to give rise to students` voluntary comment. Second, students have more various recognition of teacher`s role about students` participation. Students have less indue factor of teacher`s role that gives chance to students or assess at student`s participation and they more indue factor of teacher`s participant role that criticize students. Third, Students have more self-efficiency on discussion and more value of learning about discussion but they have less recognition of the efficient method of learning contents. but the discussion is less accepted as the efficient method of learning contents by students. Last, the strategies of knowledge about topic more accepted as good for students` voluntary comment but they wouldn`t, the strategies of preparing a statements or question for homework before discussion, time to think before speak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은주, "학습자들의 또래 관계가 사회과 토론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Dillon, J. T., "토론학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7

      3 김환진, "토론수업의 장애요인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4 박지혜, "토론 교육에서의 학습자 활동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김민경, "초등사회과 웹기반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친밀도에 따른 집단 구성방식이 학습자 참여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이원하, "웹 활용 가상토론 학습환경이 학습자의 관점 변화에 미치는 효과 : 사회와 상조적 의사결정모형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0

      7 이주진,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 사회적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박아청, "성격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1995

      9 이정희, "성격 유형과 학습 스타일" 한국심리검사연구소 2005

      10 문효균, "사회과 블로그 웹 토론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1 구혜진, "사회과 논쟁수업에 있어서 교사의 영향에 대한 연구 : 교사의 가치개입에 따른 학생들의 가치관 변화정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2 정미경,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최종덕, "논쟁문제 학습과 사회과 교사의 역할" 15 : 223-239, 2003

      14 이광성, "교사의 역할에 따른 논쟁문제 학습의 효과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4 (34): 11-250, 2002

      15 오연주, "공공쟁점 토론학습에서 학습자 성격 유형에 따른 소집단 특성별 정치적 효능감 효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99-115, 2011

      16 오연주,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 토론수업에서 학생들은 왜 말하지 않는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21-136, 2010

      17 Shaver, J. P, "The future of research on social studies-For what purpose?, In Critical Issues in Social Studies Research for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age publishing 231-252, 2005

      18 Rossi, J. A., "The Practice of In-Depth Study in an Issues-Oriented Social Studies Classroom" 1994

      19 Oliver, D. W, "Teaching Public Issues in High school" Boston Mifflin 1967

      20 Hunt, P. H, "Teaching High School Social Studies : Problem Reflective Thinking and Social Understanding, 2nd Ed" Harper & Row Publishers 1968

      21 Wade, R. C, "Teacher Education Students' Views on Class Discussion: Implications for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10 (10): 231-242, 1994

      22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seco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3 Shaver, J. P, "Rationales for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83 (83): 95-99, 1992

      24 Francis, E., "Learning to Discuss" Scottish Curriculum Development Service 1986

      25 Rossi, J. A, "Issues-Centered Instruction with Low Achieving High School Student : The Dilemmas of Two Teachers" 26 (26): 380-409, 1998

      26 Soley, M., "If it's controversial, why teach it?" 60 (60): 9-14, 1996

      27 Evans, R. W, "How should we direct present effort to promote the issue-centered vision?" 5 : 197-198, 1989

      28 Hess, D, "How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and Learn from the Discussion of Controversial Public Issues" 17 (17): 283-314, 2002

      29 Onosko, J. J, "Exploring Issues with Students Despite the Barriers" 60 (60): 22-27, 1996

      30 Kelly, E. T, "Discussing controversial issues: Four perspectives on the teachers’ role" 14 (14): 113-138, 1986

      31 Hess, E. D, "Discussing Controversial Public Issues in Secondary Social Studies Classroom : Learning from Skilled Teachers" 30 (30): 10-41, 2002

      32 Hess, E. D, "Controversy in the Classroom : The Democratic Power of Discussion" Routledge 2009

      33 Newmann, F. M., "Clarifying public controversy: An approach to teaching Social Studies" Little. Brown and Company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1.81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