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영업사원의 긍정심리자본, 소진, 직무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Salesperso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urnout, and Work Eng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Salesperso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urnout, and Work Engagement. Data from 407 salesperson in insurance companies had been gathered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SPS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results showed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among variables as follows. First, emotion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yet on neither work engagement nor burnou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positively and on burnout negatively. Burnout had a negatively 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And burnout w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engagement. In short, even though emotional leadership did not directly impact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it affected emotional leadership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t is verifie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important to improve work engagement and it can be reinforced or undermined by emotional leadership and burnout. Therefore, in terms of sales training for salesperson’s capacity development perspective, it propose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emotional 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urnout and work engagement. In addition, organizational attention and support are required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such capac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Salesperso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urnout, and Work Engagement. Data from 407 salesperson in insurance compan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Salesperso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urnout, and Work Engagement. Data from 407 salesperson in insurance companies had been gathered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SPS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results showed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among variables as follows. First, emotion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yet on neither work engagement nor burnou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positively and on burnout negatively. Burnout had a negatively 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And burnout w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engagement. In short, even though emotional leadership did not directly impact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it affected emotional leadership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t is verifie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important to improve work engagement and it can be reinforced or undermined by emotional leadership and burnout. Therefore, in terms of sales training for salesperson’s capacity development perspective, it propose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emotional 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urnout and work engagement. In addition, organizational attention and support are required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such capac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영업사원이 인식하는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영업사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소진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보험회사에 재직 중인 보험 영업사원 407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SPPS 18.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간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은 영업사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직무열의와 소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에는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소진에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소진도 직무열의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영업사원의 직무열의 간에 긍정심리자본이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고,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 간에는 소진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은 직무열의와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업사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이 중요하며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소진을 통해 강화되거나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영업인력의 역량개발을 위한 영업교육 관점에서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영업사원의 긍정심리자본, 소진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유지하려는 조직차원에서의 관심과 육성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영업사원이 인식하는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영업사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소진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

      이 연구는 영업사원이 인식하는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영업사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소진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보험회사에 재직 중인 보험 영업사원 407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SPPS 18.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간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은 영업사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직무열의와 소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에는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소진에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소진도 직무열의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영업사원의 직무열의 간에 긍정심리자본이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고,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 간에는 소진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은 직무열의와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업사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이 중요하며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소진을 통해 강화되거나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영업인력의 역량개발을 위한 영업교육 관점에서 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영업사원의 긍정심리자본, 소진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유지하려는 조직차원에서의 관심과 육성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식, "호텔직원의 조직신뢰,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에 관한 관계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59-70, 2014

      2 이해영, "패밀리레스토랑 업체의 조직문화와 조직 구성원 특성에 따른 종합적 품질경영전략의 운영수준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3 홍계훈, "직무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콜센터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17 (17): 1-39, 2009

      4 박노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543-573, 2011

      5 오아라, "직무열의(Job Engagement)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선행요인, 조직시민행동 및 혁신행동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13

      6 박형인,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 고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57-491, 2011

      7 박권홍, "중소기업 근로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교육학회 14 (14): 115-132, 2012

      8 이창준, "정서와 리더십에 대한 한 이론적 모형의 검증: 카리스마적 및 감성적 리더십, 집단정서, 집단효과성"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1-51, 2007

      9 신강현,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475-491, 2008

      10 박선애,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781-804, 2014

      1 김영식, "호텔직원의 조직신뢰,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에 관한 관계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59-70, 2014

      2 이해영, "패밀리레스토랑 업체의 조직문화와 조직 구성원 특성에 따른 종합적 품질경영전략의 운영수준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3 홍계훈, "직무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콜센터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17 (17): 1-39, 2009

      4 박노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543-573, 2011

      5 오아라, "직무열의(Job Engagement)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선행요인, 조직시민행동 및 혁신행동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13

      6 박형인,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 고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57-491, 2011

      7 박권홍, "중소기업 근로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교육학회 14 (14): 115-132, 2012

      8 이창준, "정서와 리더십에 대한 한 이론적 모형의 검증: 카리스마적 및 감성적 리더십, 집단정서, 집단효과성"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1-51, 2007

      9 신강현,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475-491, 2008

      10 박선애,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781-804, 2014

      11 고정옥, "임상 간호사의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9 (19): 304-314, 2013

      12 김남기, "영업사원의 지각된 감정노동 활동이 직무소진, 직무열의에 의한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감정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13 배병렬, "서비스제공자의 지각된 감정노동이 소진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감정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497-521, 2012

      14 황승욱, "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전략과 직무소진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감성리더십과 신뢰의 조절효과" 한국산업경영학회 28 (28): 153-191, 2013

      15 안철경, "생명보험설계사 활동실태 및 만족도 분석" 보험연구원 2011

      16 임창현,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85-115, 2013

      17 김해룡,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하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영학회 29 (29): 199-234, 2014

      18 김성은, "상사신뢰의 매개효과에 따른 팀장의 감성지능이 부하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대한경영정보학회 31 (31): 199-230, 2012

      19 최정호, "보험영업소 환경 및 교육이 보험설계사의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4 (24): 3205-3222, 2011

      20 이청아,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팀워크역량의 매개효과"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119-144, 2014

      21 오아라,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 및 구성원의 직무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14 : 1311-1344, 2014

      22 이봉섭, "계속전문교육(CPE) 관점에서의 S보험사의 전문직 교육프로그램 변천(1957년~2007년)"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33-159, 2010

      23 최규현, "감성지능 및 인지적 유연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4 (14): 181-206, 2013

      24 안치성, "감성리더십이 조직신뢰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25 이지영, "감성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국내 보험회사 설계사를 대상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199-221, 2015

      26 양야기, "간호사의 소진과 감정노동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 17 (17): 423-431, 2011

      27 Bierema, L. L., "Workplace-focused learning : Perspective on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6 (6): 52-68, 2004

      28 Schaufeli, W. B., "Workaholism, burnout, and work engagement: Three of a kind or three different kinds of employee well‐being?" 57 (57): 173-203, 2008

      29 Sweetman, D.,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y Press 54-68, 2010

      30 Bakker, A. B.,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y 181-196, 2010

      31 Schaufeli, W. B.,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y Press 10-24, 2010

      32 Schaufeli, W. B.,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Preliminary manual" Department of Psychology, Utre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2003

      33 Avolio, B. J., "Unlocking the mask :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15 (15): 801-823, 2004

      34 Xanthopoulou, D., "The role of personal resources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14 (14): 121-141, 2007

      35 Luthans, F.,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supportive organizational climate, employee performance relationship" 29 (29): 219-238, 2008

      36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2 (2): 99-113, 1981

      37 Schaufeli, W. 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 burnout :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3 (3): 71-32, 2002

      38 Macey, W. H., "The meaning of employee engagement" 1 (1): 3-30, 2008

      39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86 (86): 499-512, 2001

      40 Bakker, A. B.,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State of the art" 22 (22): 309-328, 2007

      41 Nafukho, F. M., "The handbook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623-639, 2014

      42 Zingg, D., "The effects of mandatory continuing education on insurance producers" 21 (21): 79-93, 2002

      43 Wong, C. S.,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13 (13): 243-274, 2002

      44 Halbesleben, J. R., "The construct validity of an alternative measure of burnout : Investigating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oldenburg burnout inventory" 19 (19): 208-220, 2005

      45 Hakanen, J. J.,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A three-year cross-lagged study of burnout, depression, commitment and work engagement" 22 (22): 224-241, 2008

      46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47 Sy, T., "Relation of employee and manager emotional intelligence to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68 (68): 461-473, 2006

      48 Kahn, W. A.,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33 (33): 692-724, 1990

      49 Luthans, F.,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ment : Toward a micro‐intervention" 27 (27): 387-393, 2006

      50 Luthans, F., "Psychological capital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51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1

      52 Goleman, D., "Primal leadership: Learning to lea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Perseus Publishers 2004

      53 Goleman, D., "Primal leadership : The hidden driver of great performance" 79 (79): 42-53, 2001

      54 Luthans, 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Beyond human and social capital" 47 (47): 45-50, 2004

      55 Avey, J. B.,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 attitudes, behaviors, and performance" 22 (22): 127-152, 2011

      56 McMurray, A. J., "Leadership, climate, psychological capital, commitment, and wellbeing in a non-profit organization" 31 (31): 436-457, 2010

      57 Carasco-Saul, M.,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proposing research agendas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14 (14): 38-63, 2014

      58 Bakker, A. B., "Job resources boost work engagement, particularly when job demands are high" 99 (99): 274-284, 2007

      59 Schaufeli, W.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 A multi-study" 25 (25): 293-315, 2004

      60 Maslach, C., "Job burnout" 52 (52): 397-422, 2001

      61 구효진, "JD-R model을 이용한 종사원 소진과 직무열의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3 (13): 47-65, 2010

      62 Levi, D., "Group dynamics for teams" Sage 2013

      63 Van den Broeck, A.,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burnout and engagement : The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22 (22): 277-294, 2008

      64 Koman, S. E., "Emotional intelligence competencies in the team and team leader : A multi-level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m performance" 27 (27): 55-75, 2008

      65 Wolff, S. B., "Emotional intelligence as the basis of leadership emergence in self-managing teams" 13 (13): 505-522, 2002

      66 Brotheridge, C. M., "Emotion labor and burnout :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60 (60): 17-39, 2002

      67 Maslach, C., "Early predictors of job burnout and engagement" 93 (93): 498-512, 2008

      68 Lee, Y. K., "Do emotion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 leadership styles and manager customer orientation and performance in service environment?" 30 (30): 942-952, 2011

      69 Leiter, M. P., "Burnout at work. A psychological perspective" Psychology Press 2014

      70 Bakker, A. B., "Burnout and work engagement : The JD–R approach. Annu. Rev" 1 (1): 389-411, 2014

      71 Brewer, E. W.,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tudent support services personnel" 13 (13): 169-186,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09-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6 2.1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