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修堂 李南珪의 시세계 연구 - 文才에 대한 自負와 ‘諫而死’의 삶의 태도 - = <A Study on the Chinese Poetry of Lee Nam-gyu> - Confidence in outstanding writing and the attitude of life to say the right things and di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8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attitude of Lee Nam-gyu’s life. So far, research on Lee Nam-gyu has been conducted by focusing on Lee Nam-gyu's negative perception of reality or his hard-line attitude and analyzing it. As a result, it was not clear what rituals Lee Nam-kyu's tough stance was caused by.Therefore, this paper solved these problems. The two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First, it is his outstanding writing skills and pride that occupy the basic consciousness of Lee Nam-gyu. Lee Nam-gyu was a descendant of Mogeun Leesaeg and was very proud of being a family of writers, and he had excellent writing skills from birth. Lee Nam-gyu's excellent writing skills and pride have positively influenced Lee's political aspirations to move on to the mediation. Lee Nam-gyu expressed his political views through Sangsomun and became the best authority in writing Sangsomun at that time because he had excellent writing skills.
      Second, Lee Nam-kyu tried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politics without turning a blind eye to the reality. In his hometown, he also submitted Sangsomun and continued his activities to help righteous soldiers. This is because Lee Nam-gyu was trying to live like Bigan. The attitude of life that Bagan pursued was to die by saying the right thing.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attitude of Lee Nam-gyu’s life. So far, research on Lee Nam-gyu has been conducted by focusing on Lee Nam-gyu's negative perception of reality or his hard-line attitude and analyzing it. As a result, it was not clear wh...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attitude of Lee Nam-gyu’s life. So far, research on Lee Nam-gyu has been conducted by focusing on Lee Nam-gyu's negative perception of reality or his hard-line attitude and analyzing it. As a result, it was not clear what rituals Lee Nam-kyu's tough stance was caused by.Therefore, this paper solved these problems. The two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First, it is his outstanding writing skills and pride that occupy the basic consciousness of Lee Nam-gyu. Lee Nam-gyu was a descendant of Mogeun Leesaeg and was very proud of being a family of writers, and he had excellent writing skills from birth. Lee Nam-gyu's excellent writing skills and pride have positively influenced Lee's political aspirations to move on to the mediation. Lee Nam-gyu expressed his political views through Sangsomun and became the best authority in writing Sangsomun at that time because he had excellent writing skills.
      Second, Lee Nam-kyu tried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politics without turning a blind eye to the reality. In his hometown, he also submitted Sangsomun and continued his activities to help righteous soldiers. This is because Lee Nam-gyu was trying to live like Bigan. The attitude of life that Bagan pursued was to die by saying the right th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수당 이남규의 삶의 태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 이남규에 대한 연구는 이남규의 부정적 현실인식이나 강직한 면모에 초점을 맞추고 시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이남규의 부정적 현실인식과 강직한 면모가 이남규의 어떠한 삶의 태도에서 기인된 것인지 밝히지 데까지는 이르지 못한 듯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다음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남규의 기저 의식을 차지하는 것은 ‘文才에 대한 自負’이다. 이남규는 목은 이색의 후손으로 문장가 집안이라는 자부심이 대단했으며 천부적인 文才 또한 갖추었다. 이러한 문재와 그에 대한 자부심은 이남규가 출사하여 사대부로서 정치적 포부를 펼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이남규가 상소문을 통해 정치적 견해를 개진하고 당대 상소문의 일인자로 우뚝 설 수 있었던 것은 이남규의 뛰어난 문재와 그에 대한 자부심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이남규가 홍문관으로 발령 받고 극도의 기쁨을 표출한 것도 홍문관이 직간과 언론의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었기 때문이다.
      둘째, 이남규는 당대의 현실을 不正의 현실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그는 부정의 현실이라고 외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정치에 참여하고자 하였다. 심지어 귀거래 한 은거지에서도 상소문을 올리고 의병활동을 돕는 등 정치적 활동을 지속하였다. 이는 이남규가 殷나라 폭군 紂王 앞에서도 直言을 서슴지 않았던 比干의 ‘諫而死’의 삶의 태도를 자신의 삶의 태도로 삼았기 때문이다. 김택영이 이남규의 상소문을 읽고 이남규를 宋나라 때 간신 王倫과 秦檜를 강력히 비판했던 胡銓으로 비유한 것도, 이남규의 ‘諫而死’의 삶의 태도를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는 수당 이남규의 삶의 태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 이남규에 대한 연구는 이남규의 부정적 현실인식이나 강직한 면모에 초점을 맞추고 시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

      본고는 수당 이남규의 삶의 태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 이남규에 대한 연구는 이남규의 부정적 현실인식이나 강직한 면모에 초점을 맞추고 시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이남규의 부정적 현실인식과 강직한 면모가 이남규의 어떠한 삶의 태도에서 기인된 것인지 밝히지 데까지는 이르지 못한 듯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다음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남규의 기저 의식을 차지하는 것은 ‘文才에 대한 自負’이다. 이남규는 목은 이색의 후손으로 문장가 집안이라는 자부심이 대단했으며 천부적인 文才 또한 갖추었다. 이러한 문재와 그에 대한 자부심은 이남규가 출사하여 사대부로서 정치적 포부를 펼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이남규가 상소문을 통해 정치적 견해를 개진하고 당대 상소문의 일인자로 우뚝 설 수 있었던 것은 이남규의 뛰어난 문재와 그에 대한 자부심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이남규가 홍문관으로 발령 받고 극도의 기쁨을 표출한 것도 홍문관이 직간과 언론의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었기 때문이다.
      둘째, 이남규는 당대의 현실을 不正의 현실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그는 부정의 현실이라고 외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정치에 참여하고자 하였다. 심지어 귀거래 한 은거지에서도 상소문을 올리고 의병활동을 돕는 등 정치적 활동을 지속하였다. 이는 이남규가 殷나라 폭군 紂王 앞에서도 直言을 서슴지 않았던 比干의 ‘諫而死’의 삶의 태도를 자신의 삶의 태도로 삼았기 때문이다. 김택영이 이남규의 상소문을 읽고 이남규를 宋나라 때 간신 王倫과 秦檜를 강력히 비판했던 胡銓으로 비유한 것도, 이남규의 ‘諫而死’의 삶의 태도를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대회, "한국한시의 분석과 시각" 연세대출판부 2000

      2 박우훈, "충남지역의 한문학 연구" 동방한문학회 26 : 175-211, 2004

      3 문정우, "수당 이남규의 현실인식과 시세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시업, "수당 이남규의 학문과 사상" 수당이남규선생기념사업회 2007

      5 송재소, "수당 이남규의 시에 대하여" 고전번역원 22 : 1999

      6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서간 연구" 어문연구학회 80 : 127-174, 2014

      7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상소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8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산문 연구" 충남대 2017

      9 임형택, "수당 이남규와 그의 奏議에 대한 이해 - 근대 전환기의 한 대응논리" 우리한문학회 1 : 1999

      10 안소라, "수당 이남규 한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 안대회, "한국한시의 분석과 시각" 연세대출판부 2000

      2 박우훈, "충남지역의 한문학 연구" 동방한문학회 26 : 175-211, 2004

      3 문정우, "수당 이남규의 현실인식과 시세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시업, "수당 이남규의 학문과 사상" 수당이남규선생기념사업회 2007

      5 송재소, "수당 이남규의 시에 대하여" 고전번역원 22 : 1999

      6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서간 연구" 어문연구학회 80 : 127-174, 2014

      7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상소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8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산문 연구" 충남대 2017

      9 임형택, "수당 이남규와 그의 奏議에 대한 이해 - 근대 전환기의 한 대응논리" 우리한문학회 1 : 1999

      10 안소라, "수당 이남규 한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1 이혜순, "대한제국의 문학(Ⅲ) : 修堂, 梅泉, 滄江의 우국 한시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1 : 1986

      12 李南珪, "국역 修堂集 3" 민족문화추진회 1997

      13 윤재환, "玉洞 李漵의 輓詩를 통해 본 朝鮮朝 輓詩의 一 樣相" 한민족어문학회 (65) : 343-383, 2013

      14 조국원, "牧隱과 修堂" 외솔회 28 : 1977

      15 전규태, "修堂의 문학사적 위치" 외솔회 28 : 1977

      16 임창순, "修堂과 한문학" 외솔회 28 : 1977

      17 李南珪, "修堂遺集 5책" 한국고전번역원

      18 배종석, "修堂 李南珪의 주체적 대외의식과 시" 근역한문학회 29 : 163-184, 2009

      19 임형택, "修堂 李南珪의 사상과 문학" 한국고전번역원 51 : 251-276, 2018

      20 이가원, "修堂 李南珪의 사상과 문학" 외솔회 28 : 1977

      21 김종철, "修堂 李南珪 律文의 形式과 修辭特性" 동방한문학회 (45) : 339-35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1.2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