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인 문법의 문법 교육적 함의 = Implications of Grammar Education on Interpersonal Gramm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역량 교육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교육적 흐름 속에서, 문법 교육이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포용성’이라는 인간상과 ‘인성 및 감성’ 역량, 그리고 OECD 교육 2030의 세 가지 변혁적 역량들에서 공통적으로 요청되는 본질적인 속성으로 ‘대인성’에 주목하였다. ‘언어’가 본질적으로 수행하는 의미기능 중 하나가 또한 ‘대인성’이므로, 이 지점에서 역량의 본질적인 속성과 접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때, ‘대인성’은 ‘태도 및 가치’와 같은 정의적인 요소이자 ‘기능’과 같은 수행적인 요소, ‘지식’과 같은 인지적인 요소일 수 있다. 본고는 정의적이고 수행적인 요소로서의 대인성을 실현하도록 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언어적인 ‘지식’을 동원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이 국어교육, 특히 문법 교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대인 문법’의 개념을 문법 교육에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대인 문법’의 도입이 문법 교육에 가져다 줄 수 있는 함의를 언급하였다.
      본고는 시론적인 성격의 연구로, 대인 문법, 대인 문법 교육의 구체적인 상을 보이지 못하고 ‘대인 문법’의 개념이 문법 교육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논하는 것에 집중하며 ‘대인 문법’을 다소 성글게 개념화한 것에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대인 문법’의 문법 교육적 수용을 위해서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대인 문법’을 보다 섬세하게 개념화하는 연구, 구어와 문어를 폭넓게 고려하여 ‘대인 문법’을 규명하는 연구, 언어 주체의 대인 문법 선택을 역동적으로 살피어 그 선택의 체계를 규명하는 연구 등이 요청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역량 교육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교육적 흐름 속에서, 문법 교육이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공동체・대인 ...

      본 연구는 역량 교육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교육적 흐름 속에서, 문법 교육이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포용성’이라는 인간상과 ‘인성 및 감성’ 역량, 그리고 OECD 교육 2030의 세 가지 변혁적 역량들에서 공통적으로 요청되는 본질적인 속성으로 ‘대인성’에 주목하였다. ‘언어’가 본질적으로 수행하는 의미기능 중 하나가 또한 ‘대인성’이므로, 이 지점에서 역량의 본질적인 속성과 접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때, ‘대인성’은 ‘태도 및 가치’와 같은 정의적인 요소이자 ‘기능’과 같은 수행적인 요소, ‘지식’과 같은 인지적인 요소일 수 있다. 본고는 정의적이고 수행적인 요소로서의 대인성을 실현하도록 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언어적인 ‘지식’을 동원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이 국어교육, 특히 문법 교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대인 문법’의 개념을 문법 교육에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대인 문법’의 도입이 문법 교육에 가져다 줄 수 있는 함의를 언급하였다.
      본고는 시론적인 성격의 연구로, 대인 문법, 대인 문법 교육의 구체적인 상을 보이지 못하고 ‘대인 문법’의 개념이 문법 교육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논하는 것에 집중하며 ‘대인 문법’을 다소 성글게 개념화한 것에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대인 문법’의 문법 교육적 수용을 위해서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대인 문법’을 보다 섬세하게 개념화하는 연구, 구어와 문어를 폭넓게 고려하여 ‘대인 문법’을 규명하는 연구, 언어 주체의 대인 문법 선택을 역동적으로 살피어 그 선택의 체계를 규명하는 연구 등이 요청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how grammar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current educational flow where competency education is constantly emphasized. To this e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human image of “inclusion” and “personality and emotion” competency which are expected to be se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thre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of OECD Education 2030, “interpersonal” property is considered an essential attribute. Since one of the semantic functions performed by “language” is “interpersonal metafunction”, it is believed that at this point,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essential property of competencies. This study considered it possible to mobilize linguistic “knowledge” to realize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as an attitude and skills, which can be don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grammar education. Hence, it was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interpersonal grammar” be introduced to education, its reconception, and the implications of which are then adduced.
      This study has certain limitations in that it is abstract and does not show a specific image of interpersonal grammar or interpersonal grammar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how grammar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current educational flow where competency education is constantly emphasized. To this e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human image of “inclusion” and “personality and emotion” co...

      This study explored how grammar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current educational flow where competency education is constantly emphasized. To this e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human image of “inclusion” and “personality and emotion” competency which are expected to be se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thre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of OECD Education 2030, “interpersonal” property is considered an essential attribute. Since one of the semantic functions performed by “language” is “interpersonal metafunction”, it is believed that at this point,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essential property of competencies. This study considered it possible to mobilize linguistic “knowledge” to realize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as an attitude and skills, which can be don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grammar education. Hence, it was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interpersonal grammar” be introduced to education, its reconception, and the implications of which are then adduced.
      This study has certain limitations in that it is abstract and does not show a specific image of interpersonal grammar or interpersonal grammar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규훈, "핵심 역량 기반 문법교육 내용 구성" 한국문법교육학회 22 : 27-61, 2014

      2 이주리애, "한일 기사문의 평가어(appraisal) 번역: 개입(engagement)표현의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통역번역학회 17 (17): 225-247, 2015

      3 이관규, "한국의 체계기능언어학 연구와 과제" 한국어문교육연구소 (40) : 227-276, 2022

      4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7

      5 이슬비,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6

      6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7 손혜옥,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연세대학교 2016

      8 김풀잎, "한국어 구어 문법의 종결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20

      9 이관규, "학교 문법론" 월인 2008

      10 김정자, "필자의 표현 태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 김규훈, "핵심 역량 기반 문법교육 내용 구성" 한국문법교육학회 22 : 27-61, 2014

      2 이주리애, "한일 기사문의 평가어(appraisal) 번역: 개입(engagement)표현의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통역번역학회 17 (17): 225-247, 2015

      3 이관규, "한국의 체계기능언어학 연구와 과제" 한국어문교육연구소 (40) : 227-276, 2022

      4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7

      5 이슬비,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6

      6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7 손혜옥,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연세대학교 2016

      8 김풀잎, "한국어 구어 문법의 종결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20

      9 이관규, "학교 문법론" 월인 2008

      10 김정자, "필자의 표현 태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1 노은희,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12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3 신희성, "텍스트의 대인적 기능에 대한 문법교육적 연구" 고려대학교 2019

      14 이관규, "체계기능 언어학 개관" 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15 송현주, "차별 표현에 대한 국어교육 내용 연구"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53 : 129-159, 2021

      16 맹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8

      17 김지영, "정서적 문식성 향상을 위한 정서 어휘 교육의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49) : 321-345, 2014

      18 박진희 ; 주세형, "전기문 서술 주체의 관점 개입 방식 연구: ‘백범일지’ 텍스트들에 나타난 평가어의 선택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60) : 153-195, 2021

      19 제민경,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5

      20 박형우,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서의 2015 개정 ‘국어’ 교육과정 문법 영역에 대한 검토" 청람어문교육학회 (71) : 95-124, 2019

      21 우경조, "에코페미니즘적 주제의식 관점에서 본 한강의 『채식주의자』 영역본 분석 -체계기능문법(SFG)의 ‘동사성(Transitivity)'과 ‘평가어(Appraisal)'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8

      22 김정은, "양태 표현 선택에 대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21

      23 제민경 ; 박진희 ; 박재현, "성차별적 표현에 대한 언어인식 교육 방향 탐색" 국어국문학회 (175) : 79-114, 2016

      24 강효경, "설득 목적 글쓰기의 양태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9

      25 노하늘 ; 신희성 ; 김대희, "상호교섭적 감정 어휘 의미 조정 경험을 통한 사회·감정 문식성 향상 방안 연구 - 의미 규범 형성을 통한 감정 인식 교육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2) : 63-102, 2018

      26 제민경, "변화하는 시대에 변하지 않는 것은 무엇일까 - 변혁적 역량을 갖춘 문법하는 인간을 위한 교육 내용" 2019 : 355-367, 2019

      27 이상은 ; 소경희,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39-164, 2019

      28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9 주형미, "미래 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Ⅰ):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30 김자영, "문장 종결 표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1 최선희, "문장 구조 교육의 종적 연계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2020

      32 구본관,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국어교육학회 (37) : 185-218, 2010

      33 안찬원, "문법 교육의 변화와 국어과 핵심역량 - 교육과정 내용과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29 : 215-245, 2017

      34 오현아 ; 강효경,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 가능성 탐색 - -잖아(요), -거든(요)를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3) : 79-111, 2015

      35 김은성, "문법 교육에서 창의 · 인성의 방향과 내용" 한국어교육학회 (140) : 73-107, 2013

      36 마승혜, "독자 수용성 제고를 위한 번역 비가시성 요소 분석 및 논의: 『채식주의자』와 영역본 The Vegetarian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1 (21): 101-135, 2017

      37 정혜승, "대화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상위담화(metadiscourse) 범주 구성 연구" 국어교육학회 (43) : 459-485, 2012

      38 김은성,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39 강보선,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함양을 위한 문법교육의 내용 탐색 -‘언어 다양성 존중’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84 : 33-59, 2020

      40 차경미, "감정 어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41 張京姬, "現代國語의 樣態範疇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42 박미준, "‘참여(engagement)’ 표지의 영한 번역 연구 - <월스트리트 저널>의 오피니언 번역 사례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9 (19): 183-202, 2015

      43 박진희 ; 주세형, "‘건의하는 글’에 나타난 필자와 독자의 의사소통 방식 연구 -필자의 스탠스 조정과 평가어 선택의 양상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77) : 187-231, 2020

      44 양영희, "‘2022 국어과 개정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 내용 설계 — 현행 문법 교육 내용의 적합성 검증" 국어교육학회 56 (56): 165-203, 2021

      45 Martin, J. R., "The language of evaluation: Appraisal in english" Palgrave Macmillan 2005

      46 Quiroz, B., "The interpersonal and experiential grammar of Chilean Spanish: Towards a principled systemic-functional description based on axial argumentation" University of Sydney 2013

      47 McGregor, W. B., "The evolutionary origins of interpersonal grammar" 26 : 112-135, 2019

      48 김병건, "TV 뉴스 발화의 개입(engagement) 표현과 수용자의 뉴스에 대한 신뢰도의 상관관계 - KBS <뉴스9>와 JTBC <뉴스룸> 비교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48) : 5-29, 2018

      49 이상은,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8

      50 윤종혁, "OECD ‘교육 2030: 미래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6

      51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 Concept not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for 2030"

      52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 Concept note: Skills for 2030"

      53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 Concept note: Attitudes and values for 2030"

      54 이상은,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9 (29): 123-153, 2019

      55 이미경,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내용 맵핑 참여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56 Martin, J. R., "Interpersonal meaning" 25 (25): 2-19, 2018

      57 Martin, J. R., "Interpersonal grammar: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 theory and descrip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58 Shin, G. H., "Interpersonal grammar of Korean: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25 : 20-53, 2018

      59 Halliday, M. A. K., "HALLIDAY의 기능문법 입문체계기능언어학" 박이정 2022

      60 Martin, J. R., "Genre and institutions: Social processes in the workplace and school" A&C Black 3-39, 1997

      61 Halliday, M. A. K.,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Routledge 2014

      62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2021.11.24.)"

      63 김창원, "2015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 발전의 논제 - 영역과 내용 체계" 국어교육학회 51 (51): 5-34, 2016

      64 구본관, "2015 교육과정 ‘문법’ 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학회 51 (51): 89-133, 2016

      65 김종윤 ; 옥현진 ; 조재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양상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1-22,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