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인식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활동 중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문헌분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66588
2021
-
COVID-19 ; 미술치료사 ; 스트레스 ; Q 방법론 ; COVID-19 ; Art Therapists ; Stress ; Q Methodology
379
KCI등재
학술저널
161-189(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인식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활동 중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문헌분석...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인식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활동 중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문헌분석과 심층 면담을 통해 40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Q 분류는 미술치료사 30명을 P 표본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Q 표본을 11점 분포도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한 후 QUANL Program을 활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총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 1은 ‘위기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적응형’, 유형2는 ‘변화된 치료환경을 불편해하는 안주 불안형’, 유형 3은 ‘안전한 치료를 위한 자기 돌봄형’, 유형 4는 ‘치료 효과를 위한 소통 중시형’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특성은 유형 1은 COVID-19 거리두기 상황에서 온라인과 같은 새로운 치료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유형 2는 거리두기와 같은 변화된 환경적 요인으로 상담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치료사로서 직업적 위기감을 느끼지만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3은 위기 상황에서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안전한 상담을 위해 위생관리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유형 4는 상담에서의 상호작용이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내담자와의 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주관적 스트레스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는 추후 유사한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미술치료사가 스트레스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개입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ess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ists who experienced COVID-19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herefore, in this study, 40 statements wer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ess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ists who experienced COVID-19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herefore, in this study, 40 statements wer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rt therapists working in the field and literature analysis. Q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30 art therapists as P sampl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after forcing Q samples to be distributed on an 11-point distribution map. A total of four typ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ype 1 is adaptive type that can respond flexibly to crisis situations , type 2 is anxiety-anxiety type uncomfortable in a changed treatment environment , type 3 is self-care for safe treatment , type 4 is therapeutic effect , respective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in the COVID-19 separation situation, Type 1 is actively using and applying a new treatment space such as online, and Type 2 is a therapist and a professional therapist. It seems that you are overcoming the given environment. Type 3 patients feel the need for treatment in a crisis situation, but they value hygiene management above all else for safe counseling. The focus is on communic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bjective stres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ists who experienced COVID-19 were identifi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finding various interventions that can help art therapists prepare for stress in a similar epidemic situation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소산,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말하기 평가 효능감" 한국화법학회 (30) : 1-36, 2015
2 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발전과정과 당면과제 -한국의 미술치료10년을 돌아보며" 3-32, 2002
3 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미술치료사 현황 및 발전방향"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157-169, 2009
4 이성희, "한국 미술치료사의 현황과 전망" 한국미술치료학회 24 (24): 43-69, 2017
5 중앙방역대책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정보"
6 이희순, "코로나19(COVID-19) 시대의 화상(畫像)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우울감 및 양육스트레스 완화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1059-1084, 2020
7 명준희, "코로나19 상황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30 (30): 35-44, 2021
8 정서혜, "코로나-19로 변화된 환경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1
9 이희정, "코로나(COVID-19) 사태의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은 모든 소비자가 동일할 것인가? -코로나 스트레스에 따른 소비자 세분시장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30 (30): 75-87, 2020
10 정성식, "코로나 블루, 이렇게 예방할 수 있다"
1 강소산,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말하기 평가 효능감" 한국화법학회 (30) : 1-36, 2015
2 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발전과정과 당면과제 -한국의 미술치료10년을 돌아보며" 3-32, 2002
3 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미술치료사 현황 및 발전방향"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157-169, 2009
4 이성희, "한국 미술치료사의 현황과 전망" 한국미술치료학회 24 (24): 43-69, 2017
5 중앙방역대책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정보"
6 이희순, "코로나19(COVID-19) 시대의 화상(畫像)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우울감 및 양육스트레스 완화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1059-1084, 2020
7 명준희, "코로나19 상황이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30 (30): 35-44, 2021
8 정서혜, "코로나-19로 변화된 환경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1
9 이희정, "코로나(COVID-19) 사태의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은 모든 소비자가 동일할 것인가? -코로나 스트레스에 따른 소비자 세분시장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30 (30): 75-87, 2020
10 정성식, "코로나 블루, 이렇게 예방할 수 있다"
11 행정안전부, "코로나 블루 심리지원 확대...우울감 극복 돕는다"
12 박창연,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관광종사자들의 스트레스와 직업불안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43-57, 2020
13 김송이,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 11 (11): 423-431, 2020
14 정혜욱,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1-53, 2011
15 임유선, "초보 미술치료사가 임상에서 겪는 좌절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1
16 권오철, "지역사회서비스혁신사업을 통해서 본 미술치료 지원실태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17 강아림, "음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 13 (13): 45-65, 2011
18 강초롱, "예술가적 역량을 가진 초보미술심리치료사의 창작자이자 예술치료자로서의 직업적 포기 고민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연기예술학회 10 (10): 77-95, 2017
19 홍기묵, "아동삼담자의 자기돌봄 척도개발"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2014
20 서정훈, "심리치료사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재활심리학회 21 (21): 233-250, 2014
21 최명선, "실천가로서 미술치료사의 전문성과 교육적 접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169-192, 2014
22 정현희, "실제적용 중심의 미술치료" 학지사 2010
23 이현진, "세계는 왜 한국에 주목하는가" 모시는사람들 153-166, 2020
24 장은경, "서울 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 현황과 과제" 한국콘텐츠학회 9 (9): 350-359, 2009
25 최아린,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COVID-19 상황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8 (28): 369-395, 2021
26 김흥규, "복합 쇼핑공간에서의 몰링에 관한 소비자의 인식 유형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3) : 221-237, 2011
27 김경희, "미술치료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28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2014
29 김보현, "미술치료사의 직업적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30 이소은,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31 정현희,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7 (7): 1-17, 2017
32 김예은,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 자기돌봄의 매개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6 (16): 29-54, 2020
33 김희정,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8 (18): 73-87, 2018
34 정귀연, "미술치료사의 역전이 체험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35 홍혜정, "미술치료사의 미술작업을 통한 자기 돌봄 체험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2 (22): 777-798, 2015
36 최선남, "미술치료사 양성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치료학회 25 (25): 691-710, 2018
37 최선남,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659-674, 2013
38 김보나, "미술심리상담사의 발달수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자기 돌봄과자기성찰 매개효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8
39 이동훈,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35 (35): 355-383, 2016
40 윤기영, "뉴 노멀" 책들의 정원 2020
41 "국가생명윤리정책원"
42 김현경,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유형" 한국주관성연구학회 (52) : 127-145, 2020
43 김순애,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트레스 유형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237-247, 2020
44 WHO, "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dia briefing on COVID-19–11 March 2020"
45 Jenkins, S. R.,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vicarious rauma : A validational study" 15 (15): 423-432, 2002
46 길병옥, "Q 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47 김애림, "Q 방법론을 활용한 아동복지의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48 김흥규, "Q 방법론 :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49 Siebert, D. C., "Personal and occupational factors in burnout among practicing social workers : Implications for research, practitioners, and managers" 32 : 25-44, 2005
50 Pedraza, P., "Life dissatisfaction and anxiety in COVID-19 pandemic" GLO 1-19, 2020
51 Ross, R. R.,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ing center staff" 36 (36): 464-470, 1989
52 Gökmen Arslan, "Coronavirus Stress, Optimism-Pessimism,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oronavirus Stress Measur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9 (19): 2423-2439, 2021
53 Delongis, A., "Coping with the threat of Severe Acute Resporatory Syndrome : Role for threat appraisals and coping responses in health behaviors" 7 (7): 9-23, 2004
54 Keaveny, R, "COVID-19: Creative arts therapies crossing the digital divide in Ireland"
55 Oddie, S., "Assessing-burn-out and occupational stress in a medium secure service" 9 (9): 32-48, 2007
56 Rohland, B. M., "A survey of burnout among mental health center directors in a rural state" 27 (27): 221-237, 2000
장애인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탐색 -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사회연결망 분석 -
유튜브(YouTube)에 나타난 성인 ADHD 당사자의 인식 분석 - Mad Studies 관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 | 0.98 | 1.17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