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정숙, "척수장애인의 우울과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단기심리상담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 이한나, "척수손상인의 장애정체감과 사회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 신성례, "척수 손상 환자의 삶의 질영향요인 분석" 31 (31): 126-138, 2001
4 박현숙,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및 대인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55-76, 2013
5 윤용석,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 후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6 박미형, "자폐스펙트럼 청소년과 함께한 미술치료사의 관계경험 내러티브 탐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2 (22): 151-168, 2015
7 정여주, "인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교육적미술치료" 4 (4): 149-163, 1999
8 박세원, "이해의 선물" 교육과학사 2013
9 이모영, "예술심리치료에서 미적체험의 치료적 차원에 대한 고찰 - 치료미학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81-104, 2010
10 이모영, "예술가가 되려면......" 학지사 2008
1 정정숙, "척수장애인의 우울과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단기심리상담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 이한나, "척수손상인의 장애정체감과 사회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 신성례, "척수 손상 환자의 삶의 질영향요인 분석" 31 (31): 126-138, 2001
4 박현숙,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및 대인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55-76, 2013
5 윤용석,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 후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6 박미형, "자폐스펙트럼 청소년과 함께한 미술치료사의 관계경험 내러티브 탐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2 (22): 151-168, 2015
7 정여주, "인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교육적미술치료" 4 (4): 149-163, 1999
8 박세원, "이해의 선물" 교육과학사 2013
9 이모영, "예술심리치료에서 미적체험의 치료적 차원에 대한 고찰 - 치료미학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81-104, 2010
10 이모영, "예술가가 되려면......" 학지사 2008
11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아문화사 1994
12 최규진, "미술치료에서의 그림(Bild)과 그림 시각화 과정에 대한 고찰" 한독교육학회 18 (18): 95-123, 2013
13 이민정, "미술치료 과정에 나타난 생활지도원의 자기탐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1427-1447, 2014
14 공마리아, "미술심리치료" 학지사 2008
15 신승경, "모-자 미술치료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치료자와 어머니의 자기탐색"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4
16 이동식, "도정신치료 입문" 한강수 2008
17 소경희, "내러티브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7
18 이현정,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서 본 초등학생 예비 가장의 생활 경험에 나타난 심리적 탐색"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9 염지숙,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통한 유아세계 이해: 유치원에서 초등학교1학년으로의 전이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2 (2): 57-82, 1999
20 염지숙,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그 방법과 적용" 2001 (2001): 37-45, 2001
21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22 Clandinin, D. J., "The reflective turn" Teachers College Press 258-281, 1991
23 Coles, R., "The call of stories: Teaching and the moral imagination"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1989
24 Connelly, F. M.,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19 (19): 2-14, 1990
25 Kennedy, P., "Psychological adjustment to spinal cord injury : The contribution of coping, hope and cognitive appraisals. Psychology" 14 (14): 17-33, 2009
26 Levine, S. K., "Principles and practice of expressive arts therapy"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5-74, 2005
27 Mckiel, R. E., "Participatory care: The experiences of parents of hospitalized childen" University of Alberta 1996
28 Clandinin, D. J., "Narr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2000
29 Hammell, K. W., "Exploring quality of life following high spinal cord injury : a review and critique" 42 (42): 491-502, 2004
30 Wadeson, H., "Dynamics of Art Psychotherapy" John Wiley & Sons 1987
31 Baudrillard, J., "Die Intelligenz des Bösen" Passagen 2010
32 Elliott, R., "Comprehensive process analysis of insight events in cognitive-behavioral and psychodynamicinterpersonal psychotherapies" 41 : 449-463, 1994
33 Wadeson, H., "Art Psychotherapy" John Wiley & Sons 1980
34 한국척수장애인협회, "2012년 척수장애인 재활훈련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35 보건복지부, "2011년장애인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