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척수장애 남성의 미술치료 활동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n Inquiry into the Narrative of a Man with Spinal Disorder who Experienced Art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2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nvolves a man, who was physically healthy before his vertebrae was damaged in an unexpected accident, was explored. Through art therapy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 talked about each other's lives. The participant accepted he was disabled and inquired into the meaning of art therapy to him. The participant received 11 sessions of art therapy once a week. Each session lasted 90 minutes. This study looked in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they were and focused on the existential and qualitative change in the participant’s life. The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the main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during art therapy were expressed as follows: ‘I need someone to communicate with', 'I am afraid of expressing myself', 'a sense of guilt that it was because of me', and ‘I come to love myself taking my mind off guilt', ’a future that I never imagined, but I may have a future’. The participant was led to look into his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him and gradually came to think that he should love himself realizing his own distorted ideas. Eventually, he was able to express his feelings one by one though it was not easy for him. Through art therapy, the participant came to feel ‘draw too' though he had difficulty expressing himself. He could ‘connec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ith one another' and ‘could live his life as it is' through this opportunity of art therapy given to him.
      번역하기

      In this study involves a man, who was physically healthy before his vertebrae was damaged in an unexpected accident, was explored. Through art therapy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 talked about each other's lives. The participant accepted he was disa...

      In this study involves a man, who was physically healthy before his vertebrae was damaged in an unexpected accident, was explored. Through art therapy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 talked about each other's lives. The participant accepted he was disabled and inquired into the meaning of art therapy to him. The participant received 11 sessions of art therapy once a week. Each session lasted 90 minutes. This study looked in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they were and focused on the existential and qualitative change in the participant’s life. The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the main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during art therapy were expressed as follows: ‘I need someone to communicate with', 'I am afraid of expressing myself', 'a sense of guilt that it was because of me', and ‘I come to love myself taking my mind off guilt', ’a future that I never imagined, but I may have a future’. The participant was led to look into his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him and gradually came to think that he should love himself realizing his own distorted ideas. Eventually, he was able to express his feelings one by one though it was not easy for him. Through art therapy, the participant came to feel ‘draw too' though he had difficulty expressing himself. He could ‘connec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ith one another' and ‘could live his life as it is' through this opportunity of art therapy given to hi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건강한 사회인으로 살아가던 한 남성이 불의의 사고로 척추 손상을 입은 중도 척수 장애 남성의삶을 탐구한 것이다.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인 척수장애 남성이 자신의 삶에 대해 무엇을 이야기하며, 장애인 자신의 삶을 수용하는 가운데 미술치료가 주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총 11 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일주일에 한번 씩, 1회기는 90분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자의 체험을‘있는 그대로’ 봄으로써 실존적이고 질적인 변화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경험한 내용은 ‘소통의 대상이 필요해’, ‘나를 표현하기에는 두려워요’, ‘나 때문이라는 죄책감’, ‘죄책감을 내려놓으며 나를 사랑하게 되다’, ‘생각도 할 수 없었던 미래, 나에게도 찾아올 것 같아’와 같이 처음에는 참여자와 관계 맺고 있는 주변인들을 탐색하였고 부정적이고 왜곡된 생각들을 지각하면서 자신을 먼저 사랑해야 함을 알게 되었고,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표현하는데 서투름이 많았으나 하나하나 씩 표현하게 되었다. 또한 미술치료는 연구 참여자에게 ‘표현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도그릴 수 있구나’하는 용기를 가졌으며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나에게 찾아온 표현기회’를 통해 ‘과거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고’, ‘있는 그대로의 나로 살아냄’의 의미를 가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건강한 사회인으로 살아가던 한 남성이 불의의 사고로 척추 손상을 입은 중도 척수 장애 남성의삶을 탐구한 것이다.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인 척수장애 남성이 자...

      본 연구는 건강한 사회인으로 살아가던 한 남성이 불의의 사고로 척추 손상을 입은 중도 척수 장애 남성의삶을 탐구한 것이다.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인 척수장애 남성이 자신의 삶에 대해 무엇을 이야기하며, 장애인 자신의 삶을 수용하는 가운데 미술치료가 주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총 11 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일주일에 한번 씩, 1회기는 90분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자의 체험을‘있는 그대로’ 봄으로써 실존적이고 질적인 변화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경험한 내용은 ‘소통의 대상이 필요해’, ‘나를 표현하기에는 두려워요’, ‘나 때문이라는 죄책감’, ‘죄책감을 내려놓으며 나를 사랑하게 되다’, ‘생각도 할 수 없었던 미래, 나에게도 찾아올 것 같아’와 같이 처음에는 참여자와 관계 맺고 있는 주변인들을 탐색하였고 부정적이고 왜곡된 생각들을 지각하면서 자신을 먼저 사랑해야 함을 알게 되었고,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표현하는데 서투름이 많았으나 하나하나 씩 표현하게 되었다. 또한 미술치료는 연구 참여자에게 ‘표현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도그릴 수 있구나’하는 용기를 가졌으며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나에게 찾아온 표현기회’를 통해 ‘과거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고’, ‘있는 그대로의 나로 살아냄’의 의미를 가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정숙, "척수장애인의 우울과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단기심리상담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 이한나, "척수손상인의 장애정체감과 사회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 신성례, "척수 손상 환자의 삶의 질영향요인 분석" 31 (31): 126-138, 2001

      4 박현숙,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및 대인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55-76, 2013

      5 윤용석,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 후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6 박미형, "자폐스펙트럼 청소년과 함께한 미술치료사의 관계경험 내러티브 탐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2 (22): 151-168, 2015

      7 정여주, "인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교육적미술치료" 4 (4): 149-163, 1999

      8 박세원, "이해의 선물" 교육과학사 2013

      9 이모영, "예술심리치료에서 미적체험의 치료적 차원에 대한 고찰 - 치료미학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81-104, 2010

      10 이모영, "예술가가 되려면......" 학지사 2008

      1 정정숙, "척수장애인의 우울과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단기심리상담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 이한나, "척수손상인의 장애정체감과 사회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 신성례, "척수 손상 환자의 삶의 질영향요인 분석" 31 (31): 126-138, 2001

      4 박현숙,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및 대인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55-76, 2013

      5 윤용석,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 후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6 박미형, "자폐스펙트럼 청소년과 함께한 미술치료사의 관계경험 내러티브 탐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2 (22): 151-168, 2015

      7 정여주, "인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교육적미술치료" 4 (4): 149-163, 1999

      8 박세원, "이해의 선물" 교육과학사 2013

      9 이모영, "예술심리치료에서 미적체험의 치료적 차원에 대한 고찰 - 치료미학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81-104, 2010

      10 이모영, "예술가가 되려면......" 학지사 2008

      11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아문화사 1994

      12 최규진, "미술치료에서의 그림(Bild)과 그림 시각화 과정에 대한 고찰" 한독교육학회 18 (18): 95-123, 2013

      13 이민정, "미술치료 과정에 나타난 생활지도원의 자기탐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1427-1447, 2014

      14 공마리아, "미술심리치료" 학지사 2008

      15 신승경, "모-자 미술치료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치료자와 어머니의 자기탐색"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4

      16 이동식, "도정신치료 입문" 한강수 2008

      17 소경희, "내러티브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7

      18 이현정,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서 본 초등학생 예비 가장의 생활 경험에 나타난 심리적 탐색"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9 염지숙,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통한 유아세계 이해: 유치원에서 초등학교1학년으로의 전이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2 (2): 57-82, 1999

      20 염지숙,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그 방법과 적용" 2001 (2001): 37-45, 2001

      21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22 Clandinin, D. J., "The reflective turn" Teachers College Press 258-281, 1991

      23 Coles, R., "The call of stories: Teaching and the moral imagination"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1989

      24 Connelly, F. M.,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19 (19): 2-14, 1990

      25 Kennedy, P., "Psychological adjustment to spinal cord injury : The contribution of coping, hope and cognitive appraisals. Psychology" 14 (14): 17-33, 2009

      26 Levine, S. K., "Principles and practice of expressive arts therapy"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5-74, 2005

      27 Mckiel, R. E., "Participatory care: The experiences of parents of hospitalized childen" University of Alberta 1996

      28 Clandinin, D. J., "Narr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2000

      29 Hammell, K. W., "Exploring quality of life following high spinal cord injury : a review and critique" 42 (42): 491-502, 2004

      30 Wadeson, H., "Dynamics of Art Psychotherapy" John Wiley & Sons 1987

      31 Baudrillard, J., "Die Intelligenz des Bösen" Passagen 2010

      32 Elliott, R., "Comprehensive process analysis of insight events in cognitive-behavioral and psychodynamicinterpersonal psychotherapies" 41 : 449-463, 1994

      33 Wadeson, H., "Art Psychotherapy" John Wiley & Sons 1980

      34 한국척수장애인협회, "2012년 척수장애인 재활훈련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35 보건복지부, "2011년장애인 실태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 0.92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