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중학교 향토사 학습방안 :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 The Local History Learning Plan related to a local museum : Centering on the Changwon Distri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62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교육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고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역사의식을 길러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역사적 사고력과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역사학습 방법의 하나가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이다. 박물관은 현재와 과거의 문화유산을 미래에 전승하고 사회와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박물관과 학교는 교육적인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상호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박물관 교육은 직접 박물관에 가서 실제의 표본, 유물, 작품들을 눈으로 확인하고 깊이 이해함으로써 그동안 교실에서만 수업해야 했던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지역의 박물관은 지역 문화의 상징의 결합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확보함으로써 향토사를 파악하기에 유리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역사 연구의 한 분야로써 향토사와 박물관의 개념과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고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고, 다음으로 박물관과 연계한 중학교 향토사 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박물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형식적 수업으로 인해 우리 고장의 문화재에 대한 관심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물관 학습의 방향이 관람뿐 아니라 실제로 체험하여 활동할 수 있는 적극적 수업을 원했다. 이러한 설문을 바탕으로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이 역사교육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창원지역 내 창원대학교 박물관과 성산유적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중학교 국사교과서와 연계될 수 있도록 서술부분을 찾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자료 제시하고 학습방안을 재구성해 보았다. 현장학습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역사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적절한 지도안을 작성하여 그 동안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던 수동적 수업을 개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학습은 학습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채워 줄 수 있고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어 학습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고,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시켜 계속해서 강조되어 왔던 향토사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박물관의 소장품을 전시하고 유물, 유적의 발굴 보고에만 치우쳐 있던 기능을 교육을 위한 학습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교육현장으로서의 역할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역사교육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고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역사의식을 길러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역사적 사고력과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

      역사교육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고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역사의식을 길러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역사적 사고력과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역사학습 방법의 하나가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이다. 박물관은 현재와 과거의 문화유산을 미래에 전승하고 사회와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박물관과 학교는 교육적인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상호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박물관 교육은 직접 박물관에 가서 실제의 표본, 유물, 작품들을 눈으로 확인하고 깊이 이해함으로써 그동안 교실에서만 수업해야 했던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지역의 박물관은 지역 문화의 상징의 결합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확보함으로써 향토사를 파악하기에 유리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역사 연구의 한 분야로써 향토사와 박물관의 개념과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고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고, 다음으로 박물관과 연계한 중학교 향토사 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박물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형식적 수업으로 인해 우리 고장의 문화재에 대한 관심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물관 학습의 방향이 관람뿐 아니라 실제로 체험하여 활동할 수 있는 적극적 수업을 원했다. 이러한 설문을 바탕으로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이 역사교육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창원지역 내 창원대학교 박물관과 성산유적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중학교 국사교과서와 연계될 수 있도록 서술부분을 찾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자료 제시하고 학습방안을 재구성해 보았다. 현장학습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역사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적절한 지도안을 작성하여 그 동안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던 수동적 수업을 개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학습은 학습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채워 줄 수 있고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어 학습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고,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시켜 계속해서 강조되어 왔던 향토사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박물관의 소장품을 전시하고 유물, 유적의 발굴 보고에만 치우쳐 있던 기능을 교육을 위한 학습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교육현장으로서의 역할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is growing desirabl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grasping the historical truth, and establish the power of though to history, not just cram the historical truth. And one of way that met these important matters is local history connected local museum. A museum is nonprofit organization established to hand down property of ancestors and contribute of society and culture of mordern times. And the museum and school can help each other when we review in the side of education. The education in museum overcome the problem of the education in school to see the exhibition by theirselves in museum. Specially the local museum is better to know local history as secure local identity through connection the symbol of loc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show the general idea and characteristic of local history and museum as a part of history study, then, investigate and analysi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ocal history education connected museum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most of students know the importance of museum, but they have little interest of our local cultural assets due to formal class. Moreover they want not only viewing the museum but also experience. Therefore this paper selected the contacts of study laying stress on the museum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ungSan relics and suggest description part so that the local history study connected local museum is accomplished in history education and these can be connected to the meddle school course as well. And through this, for suitable study, showed the data of the study and reconstructed pertinent way. Additionally, this paper tried to improve formal and passive class as pertinent teaching plan so that the students can pick up the way to history by themselves.
      The study like this can fill up their mental curious, increase study effect as activity taking part, and reach the goal of local history education that put emphasis at every moment. And the ability of museum that just keeping exhibition and finding, reporting historic relics is expected to be a part enlargement to use as study space for education.
      번역하기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is growing desirabl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grasping the historical truth, and establish the power of though to history, not just cram the historical truth. And one of way that met these important matters is local h...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is growing desirabl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grasping the historical truth, and establish the power of though to history, not just cram the historical truth. And one of way that met these important matters is local history connected local museum. A museum is nonprofit organization established to hand down property of ancestors and contribute of society and culture of mordern times. And the museum and school can help each other when we review in the side of education. The education in museum overcome the problem of the education in school to see the exhibition by theirselves in museum. Specially the local museum is better to know local history as secure local identity through connection the symbol of loc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show the general idea and characteristic of local history and museum as a part of history study, then, investigate and analysi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ocal history education connected museum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most of students know the importance of museum, but they have little interest of our local cultural assets due to formal class. Moreover they want not only viewing the museum but also experience. Therefore this paper selected the contacts of study laying stress on the museum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ungSan relics and suggest description part so that the local history study connected local museum is accomplished in history education and these can be connected to the meddle school course as well. And through this, for suitable study, showed the data of the study and reconstructed pertinent way. Additionally, this paper tried to improve formal and passive class as pertinent teaching plan so that the students can pick up the way to history by themselves.
      The study like this can fill up their mental curious, increase study effect as activity taking part, and reach the goal of local history education that put emphasis at every moment. And the ability of museum that just keeping exhibition and finding, reporting historic relics is expected to be a part enlargement to use as study space for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방법 = 2
      • Ⅱ. 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의 필요성 = 5
      • 1. 향토사 학습의 의미와 기능 = 5
      • Ⅰ. 머리말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방법 = 2
      • Ⅱ. 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의 필요성 = 5
      • 1. 향토사 학습의 의미와 기능 = 5
      • 2. 박물관 학습의 이론적 기초 = 9
      • Ⅲ. 박물관과 연계한 국사과 향토사 학습을 위한 실태조사 = 13
      • 1. 실태조사 = 13
      • 2. 실태조사의 분석과 그 의미 = 21
      • Ⅳ. 박물관 자료의 활용 방안 = 23
      • 1. 사전 준비를 하는 단계 = 25
      • 2. 박물관 현장 학습 단계 = 27
      • 3. 사후활동 및 평가 단계 = 28
      • 4. 예상되는 문제점 = 29
      • Ⅴ. 박물관과 연계한 중학교 향토사 학습의 방안 = 31
      • 1. 중학교 교과서 단원별 박물관 자료 이용 방안 = 31
      • 2. 창원대학교 박물관의 특성과 학습방안 검토 = 32
      • 3. 창원대학교 박물관과 연계한 학습방안 = 34
      • 4. 창원시 성산패총유적을 이용한 학습 방안 = 43
      • Ⅵ. 맺음말 = 56
      • 참고문헌 = 59
      • 부록 : 설문지 = 61
      • Abstract =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