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대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분석: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 Adjustment to College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 A Grounded Theory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38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iversity is where students encounter for the first time various problems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Students in college typically have difficulty in studying, adjustment, career, and also have troubles of academic studies, career issues, interpersonal relation, emotion and sexual issu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have difficulties in transition to college. For them, adjustment to college is more challengeable task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because their disabilities made it worse due to their psychological, emotional, and physical difficulties.
      This study aims to “literally” explore the key status for adjustment to college procedur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ausal, context, and other influential factors on solving the key status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 them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subjects are 4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oul area. Four of them are all male students; two of them have physical impairment from a muscular disease, one of them has low vision, and another has speech and physical impairment from cerebral palsy. All participants have had their disabilities by birth, and had been placed in a full-time classroom before they entered college.
      As a result, 103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were drawn. Furthermore, categories were combined with 'environmental difficulties', 'physical limitation due to their disability', 'lack of information', 'difficulty in studying' as causal condition, 'limitation in institutional support', 'perception in disability' as contextual condition, 'burden and unfamiliar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as phenomenon, 'institutional support', 'support of people around', 'personal characteristic', 'personal attitude and effort for studies', and 'support for classes' as intervening condition, 'broaden experiences', 'positive adaptation about disabilities', and 'personal effort for problem solving' as action strategies, and 'accept disabilities', 'broaden interpersonal relation', 'psychological and positive changes', 'changes of people around' and 'change to positive life' as consequences by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Key categories about participant’s college life adjustment procedures were ‘reality adaptation and effort for adjustment’, and according to procedure analysis,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dergo experience barrier, burden and unfamiliar, adaptation and effort, and integration therefore finally they could apply into college life through reality adaptation and effort.
      번역하기

      University is where students encounter for the first time various problems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Students in college typically have difficulty in studying, adjustment, career, and also have troubles of academic studies, career issues, interper...

      University is where students encounter for the first time various problems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Students in college typically have difficulty in studying, adjustment, career, and also have troubles of academic studies, career issues, interpersonal relation, emotion and sexual issu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have difficulties in transition to college. For them, adjustment to college is more challengeable task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because their disabilities made it worse due to their psychological, emotional, and physical difficulties.
      This study aims to “literally” explore the key status for adjustment to college procedur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ausal, context, and other influential factors on solving the key status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 them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subjects are 4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oul area. Four of them are all male students; two of them have physical impairment from a muscular disease, one of them has low vision, and another has speech and physical impairment from cerebral palsy. All participants have had their disabilities by birth, and had been placed in a full-time classroom before they entered college.
      As a result, 103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were drawn. Furthermore, categories were combined with 'environmental difficulties', 'physical limitation due to their disability', 'lack of information', 'difficulty in studying' as causal condition, 'limitation in institutional support', 'perception in disability' as contextual condition, 'burden and unfamiliar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as phenomenon, 'institutional support', 'support of people around', 'personal characteristic', 'personal attitude and effort for studies', and 'support for classes' as intervening condition, 'broaden experiences', 'positive adaptation about disabilities', and 'personal effort for problem solving' as action strategies, and 'accept disabilities', 'broaden interpersonal relation', 'psychological and positive changes', 'changes of people around' and 'change to positive life' as consequences by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Key categories about participant’s college life adjustment procedures were ‘reality adaptation and effort for adjustment’, and according to procedure analysis,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dergo experience barrier, burden and unfamiliar, adaptation and effort, and integration therefore finally they could apply into college life through reality adaptation and effo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에 입학하게 되면서 많은 학생들은 새로운 적응을 요구받게 된다. 특히 장애학생의 경우 자신이 지닌 장애로 인하여 추가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 과정에 관하여 근거이론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A대학에 재학 중인 총 4명의 장애대학생(시각장애 1명, 지체장애 3명)을 그 대상으로 선정한 후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내용을 근거이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 대학생들은 대학 생활 적응 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핵심범주로 ‘현실 수용과 노력을 통해 대학 장면으로 통합됨’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대학 생활 적응 과정을 개인적 특성에 따라 현실 수용형과 도전형으로 그 유형을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 과정의 시사점을 논의에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대학에 입학하게 되면서 많은 학생들은 새로운 적응을 요구받게 된다. 특히 장애학생의 경우 자신이 지닌 장애로 인하여 추가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

      대학에 입학하게 되면서 많은 학생들은 새로운 적응을 요구받게 된다. 특히 장애학생의 경우 자신이 지닌 장애로 인하여 추가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 과정에 관하여 근거이론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A대학에 재학 중인 총 4명의 장애대학생(시각장애 1명, 지체장애 3명)을 그 대상으로 선정한 후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내용을 근거이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 대학생들은 대학 생활 적응 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핵심범주로 ‘현실 수용과 노력을 통해 대학 장면으로 통합됨’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대학 생활 적응 과정을 개인적 특성에 따라 현실 수용형과 도전형으로 그 유형을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 과정의 시사점을 논의에서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정진, "통합교육" 학지사 2005

      2 강민우, "체육전공 장애학생의 대학생활 : 희망과 도전을 향한 담금질"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카데이프레스 2012

      4 이효신, "정서 및 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4

      5 김남순, "장애학생의 특례입학과 대학시설 환경 및 제도에 대한 연구" 36 (36): 81-100, 2001

      6 장순옥, "장애인 특례입학 대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관한 연구-지체장애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 방안을 중심으로" 5 (5): 85-108, 2001

      7 양재신, "장애인 대학특례입학 장애대학생의 교육환경" 40-44, 2000

      8 구자현, "장애아동 비장애 형제 생활경험의 근거이론적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99-218, 2008

      9 이옥경, "장애대학생의 진로지도와 취업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3 (23): 169-195, 2004

      10 석말숙,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71-194, 2005

      1 정정진, "통합교육" 학지사 2005

      2 강민우, "체육전공 장애학생의 대학생활 : 희망과 도전을 향한 담금질"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카데이프레스 2012

      4 이효신, "정서 및 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4

      5 김남순, "장애학생의 특례입학과 대학시설 환경 및 제도에 대한 연구" 36 (36): 81-100, 2001

      6 장순옥, "장애인 특례입학 대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관한 연구-지체장애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 방안을 중심으로" 5 (5): 85-108, 2001

      7 양재신, "장애인 대학특례입학 장애대학생의 교육환경" 40-44, 2000

      8 구자현, "장애아동 비장애 형제 생활경험의 근거이론적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99-218, 2008

      9 이옥경, "장애대학생의 진로지도와 취업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3 (23): 169-195, 2004

      10 석말숙,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71-194, 2005

      11 이웅,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감과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연구: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0 (10): 245-268, 2011

      12 권현용, "장애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우울 및 불안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7 (7): 34-56, 2004

      13 김자경, "장애대학생의 불안,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61-476, 2007

      14 이경림,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실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89-308, 2007

      15 이은진,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을 통한 변화과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1083-1115, 2011

      16 최지영,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2571-2589, 2009

      17 김미선, "장애대학생의 대학 내 지원에 관한 당사자들의 인식 및 요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121-136, 2008

      18 김진호, "장애대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분석" 13 : 119-136, 2004

      19 박재국, "장애대학생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09-125, 2008

      20 한경임, "장애 남자 대학생 생활 경험의 근거이론적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23, 2011

      21 문승태, "동일계 진학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19 (19): 237-248, 2006

      22 김미정,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현황" 29 : 78-93, 1996

      23 옥경희,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연구" 8 : 21-39, 2001

      24 Strauss, A.,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25 한경임, "근거이론에 의한 장애 여대생의 생활 경험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255-280, 2006

      26 송주영, "고등교육 청각장애 학생들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N 대학을 중심으로"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8

      27 한국재활복지대학, "고등교육 기관의 장애학생 교수-학습 지원 협력체제 구축 방안" 2005

      28 최귀순,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14 (14): 82-90, 2005

      29 Padgett, D. K.,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Sage 1998

      30 Baker, R. W.,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1 : 179-189, 1984

      31 Wang, K., "Disability and autonomy: Priming alternative identities" 56 (56): 123-127, 2011

      32 Strauss, A.,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In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 Inc 1998

      33 서울대 학생생활 연구소, "2003학년도 서울대학교 신입생 특성조사 보고서"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