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 The Study of Teaching Collocation for the Beginner Level Chines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4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think that collocation should be introduced in the early stage of learning. Beginner level students have lack of ability to organize sentences because their vocabulary power is weak and their understanding of grammar is also poor. Teaching collocati...

      I think that collocation should be introduced in the early stage of learning. Beginner level students have lack of ability to organize sentences because their vocabulary power is weak and their understanding of grammar is also poor. Teaching collocation as a lump, it will be relatively easy to organize sentences. In particular, there is need to emphasize on collocation education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are good at memorizing since their early stage of education. The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is the existence of Chinese character in the vocabulary system of both languages, which is why it makes more difficult for Chinese students than English speaking learners. While teaching to the beginner level students, many such cases occur where collocation is not appropriat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list of collocation prepared for beginner level Chinese students. It will be very beneficial for the beginner level Chinese students and to the field of Korean teaching in China, If a list of collocation is selected, classified from Chinese grammar pattern and compared with Chinese expression and then the course is designed keeping target to make it easy to catch mistakes made by beginner level Chinese students. (Kyunghee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의 연어 연구" (6) : 2005

      2 박진희, "連語 制約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83-106, 2005

      3 강현화,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어의 유형에 대한 고찰: 기초어휘의 연어 관계를 바탕으로" 한국응용언어학회 24 (24): 197-217, 2008

      4 이충우, "한국어교육용어휘연구" 국학자료원 1994

      5 이승연,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299-322, 2007

      6 허영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제중심 연어교육 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서상규, "한국어 정보 처리와 연어 정보" 국어학회 39 : 321-353, 2002

      8 신자영,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회 (28) : 185-203, 2005

      9 임홍빈,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국어학회 39 : 279-311, 2002

      10 임근석, "한국어 연어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10

      1 김미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의 연어 연구" (6) : 2005

      2 박진희, "連語 制約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83-106, 2005

      3 강현화,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어의 유형에 대한 고찰: 기초어휘의 연어 관계를 바탕으로" 한국응용언어학회 24 (24): 197-217, 2008

      4 이충우, "한국어교육용어휘연구" 국학자료원 1994

      5 이승연,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34) : 299-322, 2007

      6 허영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제중심 연어교육 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서상규, "한국어 정보 처리와 연어 정보" 국어학회 39 : 321-353, 2002

      8 신자영,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회 (28) : 185-203, 2005

      9 임홍빈,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국어학회 39 : 279-311, 2002

      10 임근석, "한국어 연어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10

      11 김지은, "한국어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12 안정은,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13 홍종선, "한국어 연어 관계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01

      14 조현용,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박이정 2000

      15 문금현,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連語) 학습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09) : 8-250, 2002

      16 여춘연, "한국어 문법연어 연구" 집문당 2010

      17 이정현,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교육 양상 연구: 연세대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2) : 2009

      18 원극연, "한·중 연어 대조 연구를 위한 토대 구축 연구"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0 : 139-161, 2014

      19 김동국,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교육 방안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0 (20): 19-34, 2013

      20 장옥경,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체언+용언'형 연어목록 선정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1 도원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정보 기술 방안 —한중학습사전 개발을 위한 시고—" 인문학연구원 (22) : 209-239, 2012

      22 박현정,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43 : 2006

      23 김병욱,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24 김충실,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수방법 연구" 박이정 2006

      25 강서영,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6 임병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교육" 11 : 2003

      27 정숙향, "오류 분석을 통한 연어 교수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8 김진해, "연어의 계열 관계 연구" 35 : 2000

      29 한송화,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93-316, 2004

      30 김진해, "연어(連語)연구" 한국문화사 2000

      31 김진해, "연어 관계 제자리 찾기: 국내의 이론적 논의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7 : 229-260, 2007

      32 박경자, "언어교수학" 박영사 1994

      33 한영균, "어휘 기술을 위한 연어정보의 추출 및 활용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국어학회 39 : 137-171, 2002

      34 임근석, "문법적 연어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형태론 7 (7): 277-301, 2005

      35 강병규, "말뭉치에 기초한 중국어 연어(搭配) 연구 방법 고찰" 중국어문학연구회 (41) : 243-269, 2006

      36 임근석, "국어 어미적 연어의 필요성과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42) : 347-370, 2010

      37 辛平, "面向对外汉语教学的常用动词v+n搭配研究" 世界图书出版公司 2014

      38 한영균, "‘명사+동사’ 합성구의 형태론적 특징" 12 : 1997

      39 강현화, "[체언+용언]꼴의 연어 구성에 대한 연구" 8 : 1998

      40 I. S. P Nation,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UNVERSITY PRESS 2001

      41 I.S.P Nation, "I.S.P Nation의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소통 2012

      42 임홍빈,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구축분과 연어사전의정보구조와기술내용" 4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1.03 1.376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