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수치심과 자기개방의 관계: 자기자비와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Effect of Supervisee’s Shame on Self-Disclosure in The Individual Counseling Supervision: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Self-Concept Cla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0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Compass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s shame and self-disclosure, and whether such mediating effect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Concept Clarity. A total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Compass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s shame and self-disclosure, and whether such mediating effect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Concept Clarity. A total of 373 supervisees who had recently engaged in individual counseling supervision (within the past year), completed a questionnaire probing Shame In Supervision Instrument (SISI), Korean Counselor Nondisclosure Scale (K-CNS),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K-SCS), and Self-Concept Clarity scal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upervisee’s shame, Self-compassion, Self-Concept Clarity, and self-disclosu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Self-compa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s shame and self-disclosure. Third, Self-Concept Clar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ee’s shame on self-disclosure via Self-compa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수치심이 자기개방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 자기개념명확성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본 연구에서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수치심이 자기개방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 자기개념명확성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안에 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수퍼바이지 373명을 대상으로 수퍼바이지의 수치심, 자기자비, 자기개념명확성, 자기개방 수준을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수퍼바이지의 수치심은 자기자비 및 자기개방과 부적상관을, 자기개념명확성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자기자비는 자기개방과 정적 상관을, 자기개념명확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개념명확성은 자기개방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수퍼바이지의 수치심과 자기개방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자비를 매개로 수퍼바이지의 수치심이 자기개방으로 가는 경로가 자기개념명확성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의,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023-1044, 2008

      2 金大翼, "한국인의 자아개념 명료성에 대한 연구 : 성격,자의식,행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8

      3 조유경, "초심상담자의 사적자의식, 자기개념 명확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역전이 활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 McWilliams, N., "정신분석적심리치료" 학지사 2007

      5 문은주,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정서인식명료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1-16, 2015

      6 Gilbett, P., "자비중심치료" 학지사 2014

      7 백수희, "자기존중감, 자기명확성과 타인의 평가에 따른 정서적 반응"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8 고은정, "자기자비와 자존감이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시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9 문경하,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평가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0 김윤희, "완벽주의에 대한 고찰: 평가와 치료"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581-613, 2008

      1 김경의,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023-1044, 2008

      2 金大翼, "한국인의 자아개념 명료성에 대한 연구 : 성격,자의식,행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8

      3 조유경, "초심상담자의 사적자의식, 자기개념 명확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역전이 활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 McWilliams, N., "정신분석적심리치료" 학지사 2007

      5 문은주,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정서인식명료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1-16, 2015

      6 Gilbett, P., "자비중심치료" 학지사 2014

      7 백수희, "자기존중감, 자기명확성과 타인의 평가에 따른 정서적 반응"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8 고은정, "자기자비와 자존감이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시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9 문경하,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평가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0 김윤희, "완벽주의에 대한 고찰: 평가와 치료"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581-613, 2008

      11 손승희, "수퍼비전에서 상담수련생의 비개방 내용, 이유 및 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57-74, 2005

      12 서은경, "수퍼바이지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개인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수치심, 자기수용, 인지대처의 매개효과 - 상담수련생과 상담자격증 소지자 집단비교"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1-26, 2012

      13 서은경, "수퍼바이지의 완벽주의와 개인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 : 수치심, 자기수용, 인지대처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4 박진희, "수퍼바이지의 성인애착이 놀이치료 수퍼비전 과정에서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작업동맹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2 (12): 129-142, 2011

      15 윤제현, "수퍼바이지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에 따른 수치심의 차이: 수퍼바이저 과업지향적 스타일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6 김민정, "수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수퍼바이저의 윤리 행동 수준이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9 (29): 607-627, 2017

      17 강지연, "수퍼바이지 수치심과 수퍼비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작업동맹 및 자기개방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7 (7): 1005-1021, 2006

      18 강순화,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과 작업동맹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한국심리학회 32 (32): 631-651, 2013

      19 차하나, "수치심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철학상담적 연구: 유교사상의 인간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대학원 2018

      20 유지혜,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1 Bernard, J. M., "상담 수퍼비전의 기초" 시그마프레스 2008

      22 Haynes, R, "상담 및 조력전문가를 위한 수퍼비전의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6

      23 홍영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공포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195-212, 2018

      24 윤소야, "문화성향과 일관성 추구 경향, 자기개념 명료성 및 성격 특성 지각"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5 김다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1669-1694, 2020

      26 이다예,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9

      27 윤양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26): 1-20, 2019

      28 고종숙,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29 전슬기,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30 김소연,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31 손승희, "개인수퍼비전에서 상담수련생의 비개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2 Stucke, T. S., "When a grandiose self‐image is threatened: 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as predictors of negative emotions and aggression following ego threat" 70 (70): 509-532, 2002

      33 Mehr, K. E., "Trainee nondisclosure in supervision: what are they not telling you?" 10 (10): 103-113, 2010

      34 Hemlick, L. M, "The role of shame in clinical supervision: development of the shame in supervis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7

      35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36 De Dreu, C. K., "The possessive self as a barrier to conflict resolution : effects of mere ownership, process accountability, and self-concept clarity on competitive cognitions and behavior" 89 (89): 345-, 2005

      37 Treese, G. G., "The phenomenon of shame in supervision and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n psychologists" The Fielding Institute 1989

      38 Germer, C. K., "The mindful path to self-compassion freeing yourself from destructive thoughts and emotions" New York Guilford Press 2009

      39 Bigler, M., "The divided self revisited :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elf-concept differenti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20 (20): 396-415, 2001

      40 Neff, K. 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2 (2): 223-250, 2003

      41 Pica, M., "The ambiguous nature of clinical training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clinicians" 35 (35): 361-365, 1998

      42 Sobel, M. E.,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290-312, 1982

      43 Campbell, J. D., "Self-esteem and clarity of the self-concept" 59 (59): 538-549, 1990

      44 Ferguson, T. J., "Self-conscious emotions: The psychology of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Guilford Press 174-197, 1995

      45 Tajmirriyahi, M., "Self-concept clarity as a predictor of self-disclosure in romantic relationships" 37 (37): 1873-1891, 2020

      46 Fullwood, C., "Self-concept clarity and online self-presentation in adolescents" 19 (19): 716-720, 2016

      47 Campbell, J. D., "Self-concept clarity :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70 (70): 141-156, 1996

      48 Neff, K. D.,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2 (2): 85-101, 2003

      49 Leary, M. R.,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92 (92): 887-904, 2007

      50 Neff, K. D.,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41 (41): 139-154, 2007

      51 Guerrettaz, J., "Self-Concept Clarity : buffering the impact of self-evaluative information" 12 (12): 180-190, 2014

      52 VanDijk, M. P., "Self- concept clarity across adolescence: longitudinal associations with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internalizing symptoms" 43 (43): 1861-1876, 2014

      53 Bechtoldt, M. N., "Self concept clarity and the management of social conflict" 78 (78): 539-574, 2010

      54 Smith, M., "Self concept clarity and preferred coping styles" 64 (64): 407-434, 1996

      55 정소라, "SNS 이용자의 상향비교 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중재효과: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703-717, 2015

      56 Stopa, L., "Reconceptualizing the self" 16 (16): 142-148, 2009

      57 Tracy, J. L., "Putting the self into self-conscious emotions: A theoretical model" 15 (15): 103-125, 2004

      58 Ladany, N., "Psychotherapy supervision : how dressed is the emperor" 37 (37): 14-18, 2002

      59 Campbell, J. D.,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1-198, 2002

      60 Yourman, D. B., "Nondisclosure and distortion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33 (33): 567-575, 1996

      61 Ladany, N., "Nature, extent, and importance of what psychotherapy trainees do not disclose to their supervisors" 43 (43): 10-24, 1996

      62 Aiken, L. S.,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1991

      63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The Guilford Press 2017

      64 Gilbert, P., "Introducing compassion-focused therapy" 15 : 199-208, 2009

      65 Yourman, D. B., "Internalized shame, representations of the supervisory process, and trainee perceptions of non-disclose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Columbia University 2000

      66 Lewis, M., "Handbook of emotions" Guilford Press 623-636, 2000

      67 Csank, P. A. R., "Engaging in self-reflection changes self-concept clarity : on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and low-and high-clarity individuals" 50 (50): 469-480, 2004

      68 Eisenberg, N., "Emotion, Regulation, and Moral Development" 51 : 665-697, 2000

      69 Gilbert, P.,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13 (13): 353-379, 2006

      70 Watkins Jr, C. E., "Common and specific factors converging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a supervisory extrapolation of the Wampold/ Budge psychotherapy relationship model" 25 (25): 214-235, 2015

      71 Falender, C. A., "Clinical supervision: a competency-based approach"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72 Efron, B., "Bootstrap methods : another look at the jackknife" 7 (7): 1-26, 1979

      73 Hayes, A. F., "Beyond baron and kenny :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in the new millennium" 76 (76): 408-420, 2009

      74 Stoltenberg, C., "Approaching supervis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counselor complexity model" 28 (28): 59-65, 1981

      75 Preacher, K. J.,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is :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42 (42): 185-227,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2 2.3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58 3.68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