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고찰 = Review of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garding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7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trends in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identified trends. Method: A total of 60 studies on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our criteria: overall research trends,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ypes. Results: A total of 38 journal articles (63.3%) and 22 theses (36.6%) were published. The number of papers and these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16 was the largest. The most common research topics were group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s, perception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parental counseling, support needs for counseling, parent counseling content, and professional competency development—in order.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family members were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experts, the literature, families and experts. Parents and families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studied. The most common types of disabilities studied w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spectrum disorders, physical disabilities, and emotional/behavioral disabilities—in that order. Regarding research types, the frequencie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similar, with qualitative research increasing after 2012.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garding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trends in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identified trends. Method: A total of 60 studies on parental and famil...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trends in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identified trends. Method: A total of 60 studies on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our criteria: overall research trends,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ypes. Results: A total of 38 journal articles (63.3%) and 22 theses (36.6%) were published. The number of papers and these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16 was the largest. The most common research topics were group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s, perception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parental counseling, support needs for counseling, parent counseling content, and professional competency development—in order.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family members were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experts, the literature, families and experts. Parents and families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studied. The most common types of disabilities studied w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spectrum disorders, physical disabilities, and emotional/behavioral disabilities—in that order. Regarding research types, the frequencie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similar, with qualitative research increasing after 2012.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garding parental and family counsel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논문 60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전반적 연구 동향,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유형의 분석틀에 따라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표 유형은 학술지 논문이 38편(63.3%), 학위논문이 22편(36.6%)이었고, 2012∼2016년에 가장 많은 발표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주제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중재, 부모상담 실태 인식, 상담지원 요구, 부모상담 내용, 전문가 역량 개발 등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대상 유형은 가족구성원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전문가, 문헌, 가족과 전문가 대상 순으로 나타났고, 연구 대상 자녀의 연령은 취학 전과 초등 대상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지체장애, 정서·행동장애 등의 순이었다. 넷째, 연구 유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전체 빈도로 볼 때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졌으며, 2012년 이후 질적 연구가 증가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현재까지 국내에...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논문 60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전반적 연구 동향,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유형의 분석틀에 따라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표 유형은 학술지 논문이 38편(63.3%), 학위논문이 22편(36.6%)이었고, 2012∼2016년에 가장 많은 발표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주제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중재, 부모상담 실태 인식, 상담지원 요구, 부모상담 내용, 전문가 역량 개발 등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대상 유형은 가족구성원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전문가, 문헌, 가족과 전문가 대상 순으로 나타났고, 연구 대상 자녀의 연령은 취학 전과 초등 대상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지체장애, 정서·행동장애 등의 순이었다. 넷째, 연구 유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전체 빈도로 볼 때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졌으며, 2012년 이후 질적 연구가 증가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청한,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자존감, 양육효능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효과 연구 -취학전 발달장애아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1-28, 2014

      2 최예리, "해결중심 단기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령전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9

      3 우정한, "특수학급학생 교육에 있어 부모참여 및 역할 실태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55-180, 2005

      4 한송이,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상담에 대한 인식과 기대" 교육발전연구소 28 (28): 493-517, 2018

      5 남은경, "특수학급 교사의 상담교육 요구에 관한 질적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6 이미숙, "특수학교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443-464, 2012

      7 배언경, "특수학교 장애학생 부모상담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8 이병인,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한국(2007~2018)과 미국(2004~2018)의 특수교육 전문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33, 2019

      9 이병인, "특수교육과 관련된 가족지원 및 상담지원에 대한 요구 분석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17-238, 2012

      10 권주석, "특수교육 교사의 장애학생 학부모상담 현황과 중요도 인식" 17 : 123-137, 2002

      1 류청한,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자존감, 양육효능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효과 연구 -취학전 발달장애아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1-28, 2014

      2 최예리, "해결중심 단기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령전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9

      3 우정한, "특수학급학생 교육에 있어 부모참여 및 역할 실태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55-180, 2005

      4 한송이, "특수학급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상담에 대한 인식과 기대" 교육발전연구소 28 (28): 493-517, 2018

      5 남은경, "특수학급 교사의 상담교육 요구에 관한 질적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6 이미숙, "특수학교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443-464, 2012

      7 배언경, "특수학교 장애학생 부모상담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8 이병인, "특수교육대상자 가족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한국(2007~2018)과 미국(2004~2018)의 특수교육 전문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33, 2019

      9 이병인, "특수교육과 관련된 가족지원 및 상담지원에 대한 요구 분석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17-238, 2012

      10 권주석, "특수교육 교사의 장애학생 학부모상담 현황과 중요도 인식" 17 : 123-137, 2002

      11 박경자, "코로나-19 상황에서 장애아동 양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맞벌이 가정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245-259, 2021

      12 김향지, "초임 특수교사가 경험하는 부모면담의 어려움과 예비 특수교사 교육 방안"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0, 2012

      13 김경연, "초등학교 통합학급 특수교육대상 학생 부모의 원격교육 관련 경험 및 지원요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14 이선민,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장애아동 교육 상담 실태 및 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349-370, 2009

      15 韓東洛, "집단상담이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정동불안정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大邱大學校 社會開發大學院 1996

      16 김춘희, "집단상담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 수준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1

      17 조은미, "지지적 집단상담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18 (18): 49-71, 2011

      18 임선희,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장애학생 및 부모상담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9 이동열, "정서장애아의 부모상담" 2 (2): 82-92, 1986

      20 김선민,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과정에의 부모의 참여 정도와 만족도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9 (9): 47-72, 2016

      21 도혜진, "장애학생 부모상담을 위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에 관한 고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2 구신실, "장애학생 부모상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요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59-180, 2014

      23 여광응,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상담모형 개발을 위한 특수교사와 학부모 상담욕구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9 (9): 1-16, 2005

      24 심혜숙, "장애자녀를 둔 부모상담모형 개발을 위한 상담 욕구 분석" 14 : 31-51, 2004

      25 최하나,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의 현장상담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2 (22): 127-159, 2018

      26 조남옥, "장애인과 가족의 자발적 문제해결증진을 위한 모바일 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 (20): 47-57, 2017

      27 김치훈, "장애인가족 지원의 제도 구축을 위한 논의 지점"

      28 김향지, "장애유아 부모상담의 특성 및 내용구성 방안" 3 : 127-143, 2001

      29 장혜연, "장애유아 가족의 상담지원을 위한 부모 요구조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6

      30 김희영, "장애아동 부모상담의 성공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227-246, 2013

      31 최미숙, "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경험과 상담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 부와 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2

      32 조현근, "장애아동 가족 관련 국내ㆍ외 연구의 동향 비교분석 - 한국과 미국의 특수교육 전문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99-127, 2014

      33 전영식, "장애아 아버지의 심리와 상담요구 분석" 고신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2010

      34 정영선, "장애아 부모상담" 4 (4): 47-61, 2013

      35 김영미, "장애아 부모 집단상담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6 옥민욱,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관련 고충과 지원요구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79-115, 2021

      37 전미린,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와 상담욕구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 24 (24): 47-58, 2016

      38 윤의정,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39 이영옥,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와 미술활동을 이용한 부모상담이 아동의 ADHD 경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543-567, 2009

      40 이성옥, "웹 시스템에 기반한 아동 그림과 양육스트레스 분석을 통한 정서 관리 프로그램 적용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201-209, 2020

      41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20

      42 이원희, "액션러닝 활동을 적용한 예비교사의 장애아부모상담 프로그램 실행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39-268, 2015

      43 이혜자, "아동 미술 치료에서의 부모상담 현황 및 부모상담에 대한 치료사와 부모의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8 (8): 17-38, 2008

      44 조정원,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전문능력에 따른 가족상담의 역할인식과 능력에 관한연구" 3 (3): 115-134, 1996

      45 김호연, "시각장애아동의 부모 상담 내용 분석을 통한 가족 지원 방안 모색"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27-47, 2009

      46 황미연,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상담요구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42 (42): 191-211, 2016

      47 옥정달, "상담, 자문, 기관지원이 장애학생에 대한 상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1-18, 2018

      48 임은영, "사설 치료실에서의 부모상담 내용과 부모상담에 대한 어머니 인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9 양희택,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1) : 43-68, 2013

      50 전혜인, "발달장애인 부모 동료에 의한 상담 시행방안" 한국발달장애학회 22 (22): 25-45, 2018

      51 강경숙, "발달장애아동 가족지원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부모의 어려움과 삶의 질 인식 및 욕구 조사" 한국통합교육학회 11 (11): 217-247, 2016

      52 김경민, "발달장애 성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상담지원에 대한 생애주기별 요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3 (23): 1-27, 2019

      53 박정희, "도예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이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특수학급 학부모를 중심으로"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54 홍정숙, "국내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특수교육연구소 18 (18): 5-34, 2019

      55 성태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20

      56 이종승,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9

      57 문장원, "과잉행동아동의 부모에 대한 상담 및 훈련" 13 (13): 51-70, 1997

      58 신지희,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9 이정윤, "가족지원에 대한 국내 학술분야의 연구동향 - 특수교육, 가족ㆍ가정, 복지(가족, 장애인)분야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407-426, 2015

      60 具大會, "視覺障碍兒 敎師의 家族相談 能力 연구"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2

      61 Laimayum, N. D., "Stress and burden among parents of students in special schools of Mangaluru : A cross-sectional study" 10 (10): 66-72, 2019

      62 김장회, "SNA 기법을 활용한 웹기반 상담시스템 연구 동향" 한국상담학회 17 (17): 133-157, 2016

      63 Johnson, R. B., "Educational research: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19

      64 교육부, "2021 특수교육 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