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 활용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0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In this study, teachers overseeing classe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in preschools and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indicated strong general trends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order of skill, knowledge, and attitude. In the case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the smartphone and search program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emale teachers, teachers under the age of 30,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igital-related training showed higher results. In the case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teachers with higher age in charge and with experience in digital-related training experience used digital media more frequently. Third, there was an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In this study, teachers overseeing classe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in preschools and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indicated strong general trends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order of skill, knowledge, and attitude. In the case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the smartphone and search program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emale teachers, teachers under the age of 30,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igital-related training showed higher results. In the case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teachers with higher age in charge and with experience in digital-related training experience used digital media more frequently. Third, there was an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의 활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만 3, 4, 5세 유아반 담임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관련하여 기술, 지식, 태도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디지털 매체 활용의 경우 하드웨어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소프트웨어의 경우 전반적으로 제작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서는 여성이, 연령에서는 30대 미만이, 디지털 관련 연수 경험 여부에서는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 매체 활용의 경우 담당 연령이 높고 디지털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디지털 매체를 더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 활용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의 특성을 밝히고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의 활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만 3, 4, 5세 유아반 담임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관련하여 기술, 지식, 태도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디지털 매체 활용의 경우 하드웨어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소프트웨어의 경우 전반적으로 제작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서는 여성이, 연령에서는 30대 미만이, 디지털 관련 연수 경험 여부에서는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 매체 활용의 경우 담당 연령이 높고 디지털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디지털 매체를 더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 활용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의 특성을 밝히고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운지,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진단 비교분석"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42 (42): 125-144, 2022

      2 김남진, "특수학급교사의 ICT활용능력 인식수준과 교사효능감"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3 소효정 ; 박은혜 ; 김효진,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19 (19): 189-213, 2020

      4 교육부,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안)" 교육부 2020

      5 노들,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3 (13): 171-202, 2022

      6 엄우용 ; 강경철, "초등교실수업과정에서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요인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5-22, 2006

      7 이진원, "초등교사의 TPACK과 영향 요인들에 대한 상관 분석" 20 (20): 81-83, 2016

      8 김성렬, "초․중등교원들이 인식하는 스마트기기의 특성 분석" 19 (19): 67-72, 2015

      9 한국교육개발원, "유치원 현황(2022.4.1.기준, 교육통계자료)"

      10 정혜원,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1 이운지,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진단 비교분석"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42 (42): 125-144, 2022

      2 김남진, "특수학급교사의 ICT활용능력 인식수준과 교사효능감"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3 소효정 ; 박은혜 ; 김효진,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19 (19): 189-213, 2020

      4 교육부,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안)" 교육부 2020

      5 노들,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3 (13): 171-202, 2022

      6 엄우용 ; 강경철, "초등교실수업과정에서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요인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5-22, 2006

      7 이진원, "초등교사의 TPACK과 영향 요인들에 대한 상관 분석" 20 (20): 81-83, 2016

      8 김성렬, "초․중등교원들이 인식하는 스마트기기의 특성 분석" 19 (19): 67-72, 2015

      9 한국교육개발원, "유치원 현황(2022.4.1.기준, 교육통계자료)"

      10 정혜원,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11 교육부,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자료"

      12 노보람 ; 김정희,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및 콘텐츠 활용 실제와 신념에 관한 면담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1 (21): 91-125, 2022

      13 정지현 ; 이종길,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메이커 디지털 기반 유아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63-1390, 2020

      14 김은정, "유아의 음악적성, 음악적 성향과 교사의 음악관련 태도 변인 간의 구조분석"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221-249, 2011

      15 최혜진 ; 권유선, "유아의 강점에 기반한 교수 · 학습 적용 실행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53-180, 2015

      16 박주연 ; 이민정, "유아음악활동의 지식, 인식 및 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사의 음악활동 실제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43-368, 2014

      17 이경실, "유아사회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교육과학연구소 42 (42): 83-109, 2011

      18 김은영, "유아를 위한 원격교육프로그램" 교육부 2020

      19 유정은, "유아교육에서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0 정다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매체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21 하재옥,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태도 및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377-402, 2007

      22 오지은 ; 서현아 ; 허수윤, "유아교사의 신체표현 교과교육학지식과 교수실제의 관계에서 신체표현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417-431, 2017

      23 채영란, "유아교사의 미술교육 내용지식이 미술교수 학습활동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2 (12): 2071-2084, 2021

      24 유영의 ; 이성주 ; 장은정 ; 양선희,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1 (21): 121-141, 2022

      25 김교령,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26 김영희,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ICT에 대한 태도 및 스마트교육 교수효능감이 스마트교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2

      27 장보영 ; 최나야, "유아교사의 다중매체 활용능력, 이야기 들려주기를 위한 다중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5-23, 2014

      28 조준오 ; 홍광표,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육태도가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117-141, 2018

      29 유은영, "유아교사의 과학수업 적극성에 영향을 주는 내적 신념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모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5-26, 2013

      30 양옥승 ; 양유진, "유아교사를 위한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평가척도의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29-56, 2018

      31 이재은,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육아지원학회 17 (17): 119-144, 2022

      32 "위키백과" 디지털미디어

      33 김다솜,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2022

      34 오현순,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35 이현정 ; 강민경 ; 김영태, "어머니가 인식한 자녀의 의사소통 어려움과 스마트미디어 활용 현황 및 요구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8 (18): 163-171, 2013

      36 보건복지부, "어린이집및이용자통계,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현황" 2021

      37 김윤지, "어린이집 조직혁신성,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38 김민경 ; 이정순 ; 유구종, "스마트기기 활용 이야기나누기활동에서의 사회적 행동 및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 전자칠판을 활용한 유아안전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263-289, 2016

      39 백은영 ; 김혜숙, "수업에서 유아반 교사들의 디지털 매체 활용 현황" 미래유아교육학회 28 (28): 67-96, 2021

      40 김혜경, "미디어 리터리시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 요구조사 어린이가 살아갈 앞으로의 100년" 166-, 2022

      41 홍혜미, "디지털시대 자기의 테크놀로지로서 '사진찍기'와 여성주체성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2 유구종 ; 김민경 ; 이정순 ; 한명옥, "디지털기기, 스마트기기, 스마트 전자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현황"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3-70, 2013

      43 이성희 ; 이미연,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23-53, 2020

      44 교육부,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안)" 2020

      45 강인애 ; 이재경 ; 김미수,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를 활용한 미술수업에서의 시각적 문해력 증진: 고등학교 사례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49) : 1-28, 2014

      46 김이영 ; 최윤희, "글로벌 미디어 시대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문제행동을 매개로" 글로벌교육연구학회 8 (8): 25-46, 2016

      47 이동국 ; 김현진,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1 (21): 91-110, 2015

      48 최유현, "교사의 정보 활용 능력에 대한 실태 분석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49 백수현, "교사의 유아원격교육 경험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50 박윤미, "교사의 경력과 ICT 연수 참여 횟수가 ICT 활용 수준과 빈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1 Barcena, A., "Women in the digital economy: Breaking through the equality threshold" UN ECLAC 2013

      52 Koehler, M., "What i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9 (9): 60-70, 2009

      53 UNESCO, "UNESCO Roadmap for Implementing the Global Action Program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14

      54 Murcia, K.,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and professional learning with digital technologies" 68 (68): 249-264, 2018

      55 Scherer, R., "The importance of attitudes toward technology for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Compar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es" 80 : 67-80, 2018

      56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hallenge Insight 3-32, 2016

      57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the future we want, position paper" 2018

      58 Albirini, A., "Teachers’ attitudes towar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case of syrian EFL teachers" 47 (47): 373-398, 2006

      59 McFarlane, T. A., "Teachers’ Attitudes toward Technology: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echnology Attitude Survey" 13-, 1997

      60 Kim, C., "Teacher beliefs and technology integration" 29 : 76-85, 2013

      61 Reisoglu, I., "How can the digital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s be developed? Examining a case study through the lens of DigComp and DigCompEdu" 156 : 103940-, 2020

      62 UNESCO, "Global education digest 2010: Comparing education statistics across the world"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10

      63 Huda, M., "Empowering children with adaptive technology skills: Careful engagement in the digital information age" 9 (9): 693-708, 2017

      64 Kirschner, P. A., "Do we need teachers as designers of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43 (43): 309-322, 2015

      65 Lindeman, S., "Digitalis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 domestication theoretical perspective on teachers’ experiences" 26 (26): 4879-4903, 2021

      66 Gjelaj, M., "Digital technologies in early childhood: Attitudes and practices of parents and teachers in Kosovo" 13 (13): 165-184, 2020

      67 양수영,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 운영방법의 적절성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7) : 209-230, 2016

      68 교육부, "2022개정 초중등교육과정 총론 시안" 교육부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