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문단 쓰기 지식과 인식이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agraph Knowledge and Paragraph Recognition on Writing Proficiency of Middle School Stu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50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문단 쓰기 지식과 인식이 쓰기 수행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학년 및 성별이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도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문단 쓰기 지식과 인식이 쓰기 수행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학년 및 성별이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도 함께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 전남의 중학교에서 문단 쓰기 지식과 인식, 쓰기 수행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문단 쓰기 지식은 중간 정도이며 문단 쓰기 인식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차이 없이 긍정적인 경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쓰기 수행에 대해 문단 쓰기 지식은 13.4% 설명력을 가졌으나, 문단 쓰기 인식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은 13.2%의 설명력을 가졌으나, 반면 학년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쓰기 수행에 대한 설명력이 큰 문단 쓰기 지식과 성별 변인을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이 두 변인은 쓰기 수행 변량을 2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proficiency and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paragraph writ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we also study the effect of the grade and gender to the writing proficiency.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g...

      This paper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proficiency and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paragraph writ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we also study the effect of the grade and gender to the writing proficiency.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given as follows. First, knowledge on paragraph writing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s middle and the trend of the recognition on paragraph writing is positive and no difference regardless to the grade and gender. Second, knowledge on paragraph writing shows 13.4% relationship, but the recognition on paragraph writing does not show the relationship to writing proficienc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Furthermore, the gender shows 13.2% relationship, but the grade does not shows the positive relationship to writing proficiency. Third, the explanation on writing proficiency shows 22% relationship to writing proficiency of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knowledge on paragraph writing and gen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명화, "효율적인 문단 쓰기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28 : 173-201, 2004

      2 권민균,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읽기 동기 구성요인과 읽기 능력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3 (43): 53-68, 2005

      3 박영민, "중학생 쓰기 동기의 수준 및 변화 양상 분석" 한국작문학회 (9) : 95-121, 2009

      4 교육부, "중학교 국어 지도서 1학년 2학기" 70-73, 1995

      5 교육부, "중학교 국어 1학년 2학기" 109-115, 1995

      6 문교부, "중학교 국어 1학년 1학기" 120-126, 1985

      7 Sullivan,Kathleen E, "작문 문단쓰기로 익히기" 삼영사 2000

      8 박영민,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지식과 쓰기 수행의 상관 및 성별·학년별 차이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7 (17): 175-202, 2009

      9 김승희, "워드프로세서 작문의 문단 쓰기 양상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2) : 1-20, 2005

      10 박영민,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어교육학회 (84) : 127-152, 2010

      1 송명화, "효율적인 문단 쓰기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28 : 173-201, 2004

      2 권민균,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읽기 동기 구성요인과 읽기 능력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3 (43): 53-68, 2005

      3 박영민, "중학생 쓰기 동기의 수준 및 변화 양상 분석" 한국작문학회 (9) : 95-121, 2009

      4 교육부, "중학교 국어 지도서 1학년 2학기" 70-73, 1995

      5 교육부, "중학교 국어 1학년 2학기" 109-115, 1995

      6 문교부, "중학교 국어 1학년 1학기" 120-126, 1985

      7 Sullivan,Kathleen E, "작문 문단쓰기로 익히기" 삼영사 2000

      8 박영민,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지식과 쓰기 수행의 상관 및 성별·학년별 차이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7 (17): 175-202, 2009

      9 김승희, "워드프로세서 작문의 문단 쓰기 양상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2) : 1-20, 2005

      10 박영민,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어교육학회 (84) : 127-152, 2010

      11 박영민,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어교육학회 (84) : 127-152, 2010

      12 가은아, "쓰기 발달의 양상과 특성 연구" 한국교원 대학교 2011

      13 문광진, "쓰기 동기와 쓰기 수행의 상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9

      14 임천택, "쓰기 기초학력의 재 개념화와 평가 틀의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1-21, 2009

      15 서종훈, "문단연결에 대한 인식 양상-고1, 2 학습자들의 문단 읽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2) : 243-267, 2008

      16 김미옥, "문단쓰기 지도를 통한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충북:한국교원대학교 2007

      17 김정애, "문단 쓰기를 통한 작문력 신장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7

      18 김현경, "문단 쓰기 교수.학습 양상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30 : 109-142, 2008

      19 서종훈, "담화연결표지 사용을 통한 문단 인식 양상" 한국어교육학회 (123) : 375-404, 2007

      20 박영민, "국어교사의 설명문 평가에 대한 모평균 추정과 평가 예시문 선정" 우리어문학회 (36) : 293-326, 2010

      21 박태호, "국어 표현에 대한 초등학생의 쓰기 특성 및 발달 고찰" 국어교육학회 (23) : 273-300, 2005

      22 정달영, "국어 단락 이론과 작문 교육" 집문당 1997

      23 교육부, "고등학교 국어(상)" 188-193, 1990

      24 Pajares,F., "Writing self-efficacy and its relation to gender, writing motivation, and writing competence:adevelopmental perspective, in Students in Writing Volume 19, Writing and Motivation" Elsevie 141-159, 2007

      25 Steve Graham, "Writing Better;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1 edition)" Brookes Publishing Company 2005

      26 Spandel,V, "Writing Assessment, In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ra of Restructuring" ASCD 1996

      27 Saddler,B.,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Quaterly" 23 (23): 231-247, 2007

      28 Taylor,B.M, "The effects of text structure instructionon middle-grade students’ comprehention and production of expository text" 19 : 134-146, 1984

      29 Englert,C.S, "Making writing strategies and self-talk visible: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in writing" 28 : 337-372, 1991

      30 McCutchen, "Knowledge,Processing,and Working Memory:Implication for a Theory of Writing" 35 (35): 13-23,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