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행교육금지법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4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행교육금지법의 정책결정과정에서 형성된 정책네트워크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관련 법령, 공청회, 신문 기사 등을 활용하여, 시기 및 쟁점에 따라 3단계(선행교육금지법 법제화, 사교육 기관 규제, 방과후학교 허용)로 나누어 행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민간 NGO가 중심 행위자로서 선 행교육금지법 정책 의제 형성부터 입법화까지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행위자들의 상호 작용은 협력과 갈등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른 교육정책들에 비해 비교적 빠르게 형성 된 이유를 살펴보면, 대통령 선거에 의한 공약이행이라는 요소가 작용하였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트워크 구조는 분산적이고 개방적이었는데 ‘정부 집중’보다는 ‘민간 분화’의 형태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정책은 민간주도로 ‘조속 입법화’된 독특한 교육 정책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정책결정과정의 외연 확대, 충분한 공론화 과정 확보를 통한 정책 추진 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선행교육금지법의 정책결정과정에서 형성된 정책네트워크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관련 법령, 공청회, 신문 기사 등을 활용하여, 시기 및 쟁...

      본 연구는 선행교육금지법의 정책결정과정에서 형성된 정책네트워크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관련 법령, 공청회, 신문 기사 등을 활용하여, 시기 및 쟁점에 따라 3단계(선행교육금지법 법제화, 사교육 기관 규제, 방과후학교 허용)로 나누어 행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민간 NGO가 중심 행위자로서 선 행교육금지법 정책 의제 형성부터 입법화까지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행위자들의 상호 작용은 협력과 갈등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른 교육정책들에 비해 비교적 빠르게 형성 된 이유를 살펴보면, 대통령 선거에 의한 공약이행이라는 요소가 작용하였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트워크 구조는 분산적이고 개방적이었는데 ‘정부 집중’보다는 ‘민간 분화’의 형태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정책은 민간주도로 ‘조속 입법화’된 독특한 교육 정책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정책결정과정의 외연 확대, 충분한 공론화 과정 확보를 통한 정책 추진 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what policy networks were formed o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prohibition of prior teaching.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network(Actor, Interaction, Network Structure) divided by the 3 levels(institutionalization of the Prohibition of Prior Teaching, regulation to institution of private tutoring, permission to after-school) according to issues using relevant legislation, public hearings and newspaper article. In the result, there was a strong leading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as a policy actor. The interaction of actors appeared coexistence of cooperation and conflict. The fulfillment of election campaign pledges was one of the reasons this prohibition was institutionalized faster than other educational policy. The network structure was distributed and opened. There was a formation of ‘private differentiation’ rather than 'government centralization'. Finally, this policy was a unique example that formed fast by a non-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futur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policy networks around the reform of the prohibi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what policy networks were formed o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prohibition of prior teaching.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network(Actor, Interaction, Network Structure) divided by the 3 levels(i...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what policy networks were formed o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prohibition of prior teaching.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network(Actor, Interaction, Network Structure) divided by the 3 levels(institutionalization of the Prohibition of Prior Teaching, regulation to institution of private tutoring, permission to after-school) according to issues using relevant legislation, public hearings and newspaper article. In the result, there was a strong leading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as a policy actor. The interaction of actors appeared coexistence of cooperation and conflict. The fulfillment of election campaign pledges was one of the reasons this prohibition was institutionalized faster than other educational policy. The network structure was distributed and opened. There was a formation of ‘private differentiation’ rather than 'government centralization'. Finally, this policy was a unique example that formed fast by a non-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futur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policy networks around the reform of the prohib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교육걱정없는세상, "한국학원총연합회의 선행교육 규제법 반대서명 가정통신문에 대한 반박"

      2 박준형, "한국의 교육정책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J.Habermas의 절차적 민주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26-49, 2006

      3 이승윤, "한국 양육수당의 확대는 어떠한 정책형성과정을 거쳤는가?: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195-232, 2013

      4 오욱환, "한국 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의 간파를 위한 상상력" 한국교육학회 47 (47): 97-117, 2009

      5 신재철, "한국 교육정책 결정에 대한 비판이론의 적용" 1-12, 1989

      6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학교현장 혼란만 부추기는 선행학습금지법"

      7 김정민, "학교교육 내 선행학습 유발 요인 분석 및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8 사교육걱정없는세상, "학교 방과후 교실 속 선행교육 허용 담은 선행교육 규제법 개정 유감 성명"

      9 한경닷컴, "첫돌 맞은 '선행학습금지법'.. 잘 시행되고 있나"

      10 남궁근, "정책학" 法文社 2008

      1 사교육걱정없는세상, "한국학원총연합회의 선행교육 규제법 반대서명 가정통신문에 대한 반박"

      2 박준형, "한국의 교육정책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J.Habermas의 절차적 민주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26-49, 2006

      3 이승윤, "한국 양육수당의 확대는 어떠한 정책형성과정을 거쳤는가?: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195-232, 2013

      4 오욱환, "한국 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의 간파를 위한 상상력" 한국교육학회 47 (47): 97-117, 2009

      5 신재철, "한국 교육정책 결정에 대한 비판이론의 적용" 1-12, 1989

      6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학교현장 혼란만 부추기는 선행학습금지법"

      7 김정민, "학교교육 내 선행학습 유발 요인 분석 및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8 사교육걱정없는세상, "학교 방과후 교실 속 선행교육 허용 담은 선행교육 규제법 개정 유감 성명"

      9 한경닷컴, "첫돌 맞은 '선행학습금지법'.. 잘 시행되고 있나"

      10 남궁근, "정책학" 法文社 2008

      11 고길곤, "정책네트워크 연구의 유용성과 사회연결망 이론 활용 방법의 고찰" 한국행정연구소 45 (45): 138-164, 2007

      12 강동완, "정책네트워크 분석(Policy-Network Analysis)을 통한 대북지원정책 거버넌스 연구:정책 결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293-323, 2008

      13 김옥일, "정책네트워크 변화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사업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14 배응환, "정책네트워크 모형의 행정학 연구에 적용탐색" 10 (10): 258-298, 2001

      15 김순양, "정책 네트워크 모형의 이론적 쟁점 분석" 정부학연구소 9 (9): 7-217, 2003

      16 한국학원총연합회, "전국학원교육자대회 개최"

      17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전국 17개 사교육 과열 지역 선행학습 실태 조사결과보도"

      18 권지혜, "자율형 사립고 도입 정책결정과정의 네트워크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9 강석봉, "의원발의 교육 법률안 증가와 그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293-317, 2008

      20 열린사회참교육학부모회, "왜, 선행학습을 금지해야할까?" 베이직북스 2013

      21 조만형, "옹호연합 틀(ACF)을 활용한 교육정책이해관계자간 정책갈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1 (21): 121-152, 2010

      22 한진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을 둘러싼 행위자간 정책네트워크 -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0 (20): 81-108, 2011

      23 "안철수의 약속"

      24 송성수, "신기술의 사회윤리적 논쟁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분석 : 생명윤리와 인터넷 내용규제의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25 새누리당, "세상을 바꾸는 약속, 책임있는 변화"

      26 안상진, "선행학습의 유발요인 분석과 대책"

      27 한국일보, "선행학습 법으로 금지? 시민단체 추진에 "글쎄요""

      28 문화일보, "선행학습 무익하지만, 금지법은 과잉규제"

      29 서울경제, "선행학습 금지특별법 추진"

      30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선행학습 금지법 제정 운동 특별 기자회견 전문"

      31 이데일리, "선행학습 금지 이후 첫 방학.. 학원만 웃었다"

      32 이상민,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안"

      33 뉴시스, "서남수 교육 "사교육기관 선행학습 규제는 기본권 침해""

      34 김복태, "사회복지정책 결정구조의 정책네트워크 분석:노인장기요양과 모성보호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7 (17): 27-60, 2013

      35 홍경준, "사회복지정책 결정 구조에 대한 정책 연결망 분석: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비교"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5-34, 2005

      36 김동한, "사학정책의 결정모형 연구: 사립학교법 개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9 (19): 25-49, 2009

      37 강원도민일보, "사교육비 절감문제 점진적 해법 찾아야"

      38 이종재, "사교육 대책의 유형에 관한 분석적 연구" 교육연구소 9 (9): 173-200, 2008

      39 문화일보, "사교육 규제 필요성엔 공감.. 해법은 제각각"

      40 교육부, "사교육 경감 방안 모색을 위한 대국민 온라인 정책토론 개최"

      41 한국학원총연합회, "본회 학원법개정추진위, <선행학습금지법 반대 서명부>국회에 전달"

      42 한겨레, "법제처 "학원 규제하면 강사 등 직업자유 제한" 학원 선행교육 금지발목 잡히나"

      43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방과후학교의 선행학습 허용 법률 개정 추진에 대한교총 입장"

      44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박근혜 당선인의 새 정부 교육정책 방향 제시 관련교총 논평"

      45 민주통합당, "미래를 여는 문"

      46 김만배, "무인과속단속 시스템의 확산에 관한 정책 네트워크 분석" 한국정책학회 13 (13): 117-145, 2004

      47 신현석,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의 정책변동분석: 법률 시행령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199-225, 2013

      48 김가람,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반값등록금 정책 변동과정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1 (21): 27-49, 2014

      49 매일경제, "국회 선행금지법 발의.. 학원가 반발"

      50 이동호, "국민연금 기금운용 정책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14 (14): 157-205, 2008

      51 이광수, "교장공모제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291-315, 2012

      52 양승일, "교육정책형성과정의 동태성 분석: 참여정부의 사학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53-78, 2007

      53 김덕근, "교육정책참여자들의 이슈네트워크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79-100, 2006

      54 이차영, "교육정책론" 학지사 2015

      55 이주희, "교육정책결정과정의 정책 네트워크 분석 : 교원성과상여금정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56 윤여각, "교육정책 결정·집행 과정에 대한 교육인류학적 검토 : 학점은행제를 중심으로" 3 (3): 19-50, 2000

      57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부장관의 ‘선행교육 금지법’ 뉴시스 7월 8일자 인터뷰 유감"

      58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회의록"

      59 류민영,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네트워크의 특성을 통한 정책과정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227-255, 2013

      60 교육과학기술부, "교과부, 선행학습 해소를 위한 대책 본격 추진"

      61 "공교육 정상화 촉진에 관한 특별법안"

      62 김정민,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63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64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은 선행학습 허용을 반대합니다"

      65 신현정, "거버넌스 네트워크를 통한 정책 형성 과정 분석 : 학원교습시간 규제 정책"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69-194, 2011

      66 교육부, "「공교육정상화법 일부개정법률(안)」입법예고"

      67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선행 교육 금지법’ 제정 관련 인수위 촉구 기자회견"

      68 Waarden, F. V., "The historical instituionalization of typical national patterns in policy networks between state and industry: a comparison of the USA and the Netherlands" 21 (21): 131-162, 1992

      69 Heinz, J. P., "The Hollow Core : Private Interest in National Policy making"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70 Anderson, J. E., "Public Policy-Making" Houghton Mifflin Company 2005

      71 Rhodes, R. W., "Policy networks in British Government" Clarendon Press 1992

      72 Marsh, D, "Policy network in British government" Oxford Univ Press 1992

      73 Ferro, E., "Policy making 2. 0 : From theory to practice" 30 : 359-368, 2013

      74 Ripley, R. B., "Policy Implementation and Bureaucracy" Dorsey 1986

      75 박균열,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정책변동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42 (42): 41-71, 2012

      76 박소영, "Kingdon의 다중정책흐름 모형을 활용한 수석교사제 정책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151-173, 2012

      77 이광수, "Kingdon 모형을 적용한 교장공모제 정책변동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133-155, 2010

      78 Howlett, M, "Do Policy Networks Matter? Linking Policy Network Structure to Policy Outcomes: Evidence from Four Canadian Policy Sectors 1990-2000" 35 : 235-267, 2002

      79 Browne, W. P., "Cultivating Congress : Constituents, Issues, and Interest in Agricultural Policy Making"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5

      80 Montpetit, E, "A Policy Network Explanation of Biotechnology Policy Differe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25 (25): 339-366, 2005

      81 Blom-Hansen, J., "A New Institutional Perspective on Policy Networks" 75 : 669-693, 1997

      82 한국학원총연합회, "5월 30일 본회 학원법개정추진위, 학원 선행교습 금지 반대 2차 서명부 국회에 전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