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남성 이주노동자의 산업재해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796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성 이주노동자들의 산업재해 후 삶의 의미와 본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를 위해 13명의 남성 이주노동자들을 심층 면담하여 그 내용을 Van Manen(1990)의 체험적 현상...

      본 연구는 남성 이주노동자들의 산업재해 후 삶의 의미와 본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를 위해 13명의 남성 이주노동자들을 심층 면담하여 그 내용을 Van Manen(1990)의 체험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21개의 의미단위를 구성하고, 이 단위들을 압축 및 요약하여 38 개의 드러난 주제와 9개의 본질적 주제를 추출하였다. 본질적 주제들은 ‘이방인에게 가해진 산재병원 의 횡포’, ‘노동력을 상실한 잉여인간으로서의 대우’, ‘산재를 당해도 어쩔 수 없는 계급 아래의 계급’, ‘반동적 정서로 살아남기’, ‘익명의 대지에서 호모 사케르로서 살아가기’, ‘이주노동자간의 계층화 전략’, ‘실체 없는 그림자로서의 뿌리’, ‘현실을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 ‘내일이 없는 과거에 묶인 현재’이며, 이를 인간의 생활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네 가지 실존범주로 그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주노동자들의 훼손된 삶의 질을 복원하고,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 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aning and essence of male immigrant workers' life who underwent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Van Manen(1990)'s lived experience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actively d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aning and essence of male immigrant workers' life who underwent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Van Manen(1990)'s lived experience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actively describes the experiences about the industrial accidents in the perspective of male immigrant worker.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 thirteen male immigrant workers participants who underwent the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the interview, 121 meaning units and 38 disclosed themes were constructed. The following is the summarized results as 9 essential themes: the oppression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s hospitals to the aliens, being treated like the surplus man who lost the labor force, the class rank below despite undergoing the industrial accidents, survival having resistance sentiments, living at the anonymous lands as the Homo sacer, the stratified strategies between the immigrant workers, the origins as the bodiless shadow, struggling to escape the present conditions, present circumstances tied by the past experiences without hope, researcher sought th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about the four Life-world Existentials (Body, The other, Space and Time) of constructing human's live-world. Based on the study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restore the male immigrant workers' damaged quality of their lives who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and to contribute the social integration in view of the social welfa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숙, "회교공동체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신문화 기술지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109-132, 2011

      2 박진우,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3 윤인진,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이담 2010

      4 김영숙, "한국의 반다문화 담론 내용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25-151, 2015

      5 한건수, "한국의 다문화사회 이행과 이주노동자" 91 : 21-31, 2011

      6 김승만, "한국에서 이주노동자들의 노동현실" 2011 : 52-59, 2011

      7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ㆍ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8 이태정, "한국 이주노동자의 이주과정과 변형 아이덴티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선옥, "한국 이주노동자운동의 형성과 성격변화 : 고용허가제 도입시기 명동성당 농성단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순양,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방인: 사회적 배제와 정책적 대응" 집문당 2013

      1 김영숙, "회교공동체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신문화 기술지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109-132, 2011

      2 박진우,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3 윤인진,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이담 2010

      4 김영숙, "한국의 반다문화 담론 내용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25-151, 2015

      5 한건수, "한국의 다문화사회 이행과 이주노동자" 91 : 21-31, 2011

      6 김승만, "한국에서 이주노동자들의 노동현실" 2011 : 52-59, 2011

      7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ㆍ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8 이태정, "한국 이주노동자의 이주과정과 변형 아이덴티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선옥, "한국 이주노동자운동의 형성과 성격변화 : 고용허가제 도입시기 명동성당 농성단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순양,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방인: 사회적 배제와 정책적 대응" 집문당 2013

      11 이화진, "통원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가족 지지가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간호학회 7 (7): 188-196, 2004

      12 Van Manen, M., "체험연구" 동녘 1994

      13 오혜경,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서울지역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157-181, 2003

      14 한건수, "이주자가 본 한국의 정책과 제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5 최혜지,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63-194, 2009

      16 양옥경, "이주노동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5) : 141-175, 2010

      17 부종식, "이주노동자의 의료인권" 생명의료법연구소 6 (6): 69-81, 2012

      18 신순영,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배제와 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장기체류 미등록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2009

      19 임혁, "이주노동자의 레질리언스와 정신건강"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9 (29): 13-26, 2012

      20 이선웅, "이주노동자와 국내 한국인노동자의 산업재해현황 및 특성 비교"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0 (20): 351-361, 2008

      21 김석호,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의 효과 분해: 한국, 일본, 대만 비교연구" 한국인구학회 34 (34): 129-157, 2011

      22 노지현, "이주노동자를 접촉한 산재보험 업무종사자의 경험 -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8 (8): 93-124, 2014

      23 차옥숭, "이주노동자들의 실태와 문제점 해결 방안 모색 - 남양주 가구단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6 (16): 165-193, 2013

      24 노지현, "이주노동자 자살 사례 연구 - 자살원인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247-281, 2015

      25 안설희,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6 이덕남, "이주남성노동자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27 이세기, "이주, 그 먼 길" 후마니타스 2012

      28 설동훈, "외국인노동자의 인권" 45 (45): 12-25, 2008

      29 이병운, "외국인근로자의 보건의료 현황과 문제점" 한양법학회 (31) : 323-352, 2010

      30 근로복지공단, "외국인근로자 산재보상 실태분석" 근로복지공단 2013

      31 이승길, "외국인 산업재해근로자의 안전 보건실태 및 산업재해보험 처리에 관한 조사 연구" 81-82, 2002

      32 이순희,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간호과학회 39 (39): 899-910, 2009

      33 김환철, "외국인 노동자 고용 및 관리정책" 8 (8): 133-153, 2001

      34 이관형,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실태 및 보호방안 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0

      35 임선일, "에스니시티(ethnicity) 변형을 통한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연구 : 한국계와 비한국계 이주노동자의 사례 비교"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10

      36 서경현, "신체손상을 입은 산업재해 환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431-442, 2014

      37 박수경, "산재환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0 (10): 150-174, 2006

      38 탁진국, "산재환자 심리검사도구(척도)개발 및 활용방안" 고용노동부 2010

      39 박수경, "산재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복귀 과정과 관련 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6 (16): 293-318, 2012

      40 양재성, "산재보험의 사업주 책임 및 공동 부담기능 개선에 관한 연구-산재보험료율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249-272, 2013

      41 최윤영, "산재보험 재활서비스 증대를 위한 사회재활 법제화의 필요성" 4 (4): 31-41, 2011

      42 오종은, "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연구: 퀵서비스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111-135, 2011

      43 정원일, "산재발생요인과 근로손실분석- 소규모 제조업체에 고용된 국내 근로자와 외국인 노동자 비교분석 -"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39-174, 2011

      44 문성현, "산재근로자의 장기요양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연구" 근로복지공단노동보험연구원 2009

      45 안치민, "산재근로자의 원직복귀 예측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 177-194, 2006

      46 오순복, "산재 근로자 실태 및 재활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07

      47 문성현, "산업재해발생의 요인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155-170, 2004

      48 노지현, "산업재해를 겪은 후 여성 이주노동자들의 삶에 대한 연구 - Giorgi 현상학 연구 접근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9 (9): 315-347, 2015

      49 김수인,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 자살사고 및 우울증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416-424, 2001

      50 강선경, "산업재해 이후 산재장해인의 삶의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삶의 재구축"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107-129, 2013

      51 이현주, "산업재해 근로자의 삶의 질 모형 : 산재보험 급여 수급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2 Padgett, D,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출판 2001

      53 이종일,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 인종편견 특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95-120, 2012

      54 정성철,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발생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55 이민경, "미등록 이주 노동자들의 초국적 가족 형성과 경계적 정체성"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79-209, 2012

      56 김정우, "다문화 사회의 교육의 방향" 143 : 132-137, 2009

      57 박지영, "노인 자살 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58 박혜전, "노령 장애인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83-110, 2007

      59 박노해, "노동의 새벽" 느린걸음 2014

      60 박경태, "노동력 송출국에서 본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연결망:필리핀의 가족과 공동체를 중심으로" 113 : 26-48, 2001

      61 박은주, "남성 산재근로자의 보험급여수급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62 김용규, "국내 이주노동자의 정신건강 현황 및 과제" 4 : 38-53, 2010

      63 한동우, "국내 이주노동자의 실태와 사회적 대응방안" 12 : 13-42, 2002

      64 한건수, "국내 아프리카 이주노동자의 유입과정과 실태" 한국아프리카학회 21 (21): 215-239, 2005

      65 이욱정, "국내 방글라데시 노동자들의 생활 실태와 적응 전략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66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 : 319-360, 2007

      67 이돈철, "건설현장 이주노동자 산업재해분석과 안전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2012

      68 김건우, "건설업에 종사하는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재해분석 및 예방대책"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69 방명석, "건설업에 종사하는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재해분석 및 예방대책" 365-371, 2011

      70 양계민,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교육 활성화방안연구』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71 김선임, "[특집: 다문화, 종교, 그리고 차이의 정치학] 필리핀 이주노동자 공동체의 형성과정: 혜화공동체와 가톨릭을 중심으로" 한신인문학연구소 (14) : 45-82, 2010

      72 Lippel, K., "Workers Describe the Effect of the Workers' Compensation Process on their Health:a Quebec Study" 30 (30): 427-443, 2007

      73 Grunnert, B. K., "When Prolonged Exposure Fails: Adding an Imagery-based Cognitive Restructuring Component in the Treatment of Industrial Accident Victims Suffering from PTSD" 10 (10): 333-346, 2003

      74 Rudolph, L., "What do Injured Workers Think about their Medical Care and Outcomes after Work Injury?" 44 (44): 425-434, 2002

      75 Beardwood, B. A., "Victims Twice Ove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Injured Workers" 15 (15): 30-48, 2005

      76 Fan, Z. J., "Underreporting of Work-related Injury or Illness to Workers’Compensation: Individual and Industry Factors" 48 (48): 914-922, 2006

      77 Bollnow, O, "The pedagogical atmosphere: The perspective of the child" 7 : 12-36, 1989

      78 Keogh, J. P., "The Impact of Occupational Injury on Injured Worker and Family: Outcomes of Upper Extremity Cumulative Trauma Disorders in Maryland Workers" 38 (38): 498-506, 2000

      79 Roberts-Yates, C., "The Concerns and Issues of Injured Workers in Relation to Claims/injury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the Need for New Operational Frameworks" 25 (25): 898-907, 2003

      80 Infante-Rivard, C., "Prognostic Factors for Return to Work after a First Compensated Episode of Back Pain" 53 (53): 488-494, 1996

      81 Mason, S., "Outcomes after Injury: a Comparison of Workplace and Nonworkplace Injury" 53 (53): 98-103, 2002

      82 Sager, L., "Injured Workers’ Perspectives of their Rehabilitation Process under the New South Wales Workers Compensation System" 52 (52): 127-135, 2005

      83 Kim, K. M., "I Never Expected to be a Disabled Person in Another Country: the Stories of Migrant Workers with Acquired Disabilities in Korea" 26 (26): 553-566, 2011

      84 Zimmer, S, "Global Cycle on Challenges Posed by Occupational Diseases. Results 2005–2007" ISSA 2008

      85 Cacciacarro, L., "Exploring the Mental Health Needs of Injured Workers" 73 (73): 178-187, 2006

      86 Stice, B. D., "Depression Among Injured Workers Receiving Vocational Rehabiliation: Contributions of Work Values, Pain and Stress" 16 (16): 63-74, 2009

      87 Welch, L. S., "Chronic Symptoms in Construction Workers Treated for Musculoskeletal Injuries" 36 (36): 532-540, 1999

      88 Brouwer, S., "A prospective study of return to work across health conditions: perceived work attitude,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20 : 104-112, 2010

      89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14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90 근로복지공단, "2011년도 근로복지공단 통계연보"

      91 노지현, "'희망찾기-We Can' 프로그램이 역량강화 수준 및 자기효능감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7 2.08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