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기혼여성의 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 -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 비교 - = The Relationship of Married Women's Sexuality and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Happiness: Comparison of secually active married women and sexless married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7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rried women's sexuality and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happiness. The subjects were 330 sexually active and 337 sexless married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rried women's sexuality and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happiness. The subjects were 330 sexually active and 337 sexless married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coping behavior, sexu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happiness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 differences in the moral sexual attitude and the controlling type of sexual coping behavior.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sychological happiness of both groups was not influenced by the sexual knowledge, while the psychological happiness of sexually active women was influenced by the rational sexual attitude and that of sexless married women was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moral and rational sexual attitude.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 activity and cultural course taking were found for sexless women but not for sexually active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지식, 성태도, 성대처행동 및 성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교부부 기혼여성 330명과...

      본 연구는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지식, 성태도, 성대처행동 및 성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교부부 기혼여성 330명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337명이 였다. 첫째, 변량분석 결과, 도덕적 성태도와 성적 통제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지식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성교부부 기혼여성의 합리적 성태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전통적, 도덕적, 합리적 성태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적 표현성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적 통제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봉사활동과 문화강좌이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교부부 기혼여성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은 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핵심 지표로써 부부간의 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하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줌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숙, "혼외관계의 이해" 학지사 2000

      2 정동철, "한국에서의 성치료와 그 문제점" 3 : 71-88, 1985

      3 조금숙,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성역할태도와 부인의 가정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8 (18): 145-161, 2004

      4 이주희, "취업부부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 자아존중감 및 성역할정체감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5 김의철,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73-1002, 2004

      6 장재정, "중년기 여성의 성역할정체감과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7

      7 김경화, "중년기 부부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가족응집력,적응력 및 복지감 연구" 31 : 31-56, 2006

      8 김혜경, 서병숙,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원활동 참여판별요인" 한양대학교 1998

      9 서병숙,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이 가족에 미치는 영향" 18 : 139-152, 2000

      10 김혜경, "자원봉사 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특성비교 - 인구사회학적, 심리사회학적, 가족환경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41-156, 2004

      1 이영숙, "혼외관계의 이해" 학지사 2000

      2 정동철, "한국에서의 성치료와 그 문제점" 3 : 71-88, 1985

      3 조금숙,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성역할태도와 부인의 가정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8 (18): 145-161, 2004

      4 이주희, "취업부부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 자아존중감 및 성역할정체감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5 김의철,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73-1002, 2004

      6 장재정, "중년기 여성의 성역할정체감과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7

      7 김경화, "중년기 부부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가족응집력,적응력 및 복지감 연구" 31 : 31-56, 2006

      8 김혜경, 서병숙,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원활동 참여판별요인" 한양대학교 1998

      9 서병숙,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이 가족에 미치는 영향" 18 : 139-152, 2000

      10 김혜경, "자원봉사 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특성비교 - 인구사회학적, 심리사회학적, 가족환경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41-156, 2004

      11 유영주, "신가족관계학" 교문사 1984

      12 김정옥 외, "새로 보는 결혼과 가족" 학지사 1999

      13 이경희,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14 박민지,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의사소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15 문혜숙, "부부적응과 성적정응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연구:도시 중산층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1993

      16 박성호, "부부의 자아존중감,내적통제성 및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2001

      17 이경희, "부부간 친밀감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33 (33): 235-249, 1995

      18 이주일, "미국거주 한인노인과 국내노인 간 행복감의 차이 및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비교"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9-203, 2006

      19 나임순, "노인의 성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6 (26): 547-563, 2006

      20 이선미,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21 이흥식, "남녀의 성기능장애 빈도" 30 (30): 1017-1022, 1987

      22 서현숙, "기혼여성의 성통제에 관한 사례연구" 계명대학교 1992

      23 이인숙, "기혼여성들의 성지식, 성태도, 성생활만족" 14 (14): 396-414, 2000

      24 조혜자, "결혼과 출산기피의 한 이유: 여성의 관계역할"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95-112, 2005

      25 옥선화, "결혼과 가족" 하우 1995

      26 이정은,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의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19 (19): 531-548, 2000

      27 남순현,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에 관한 연구: 성인자녀가족과 3세대 가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0

      28 Mecloski,J.C., "to make the most of body image therapy" 76 : 68-72, 1976

      29 Waring, E. M., "measurement of marital intimacy" 10 : 185-192, 1984

      30 Lewis, R. A.,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1 : 269-273, 1979

      31 Friedman,S., "The plague of the Sexless Marriage: They're young, they're in love, so how come they're snoring most night?" 2006

      32 Cole,T., "Sexuality and physical disability" 4 : 4-, 1975

      33 Rubin,I., "Sexual Interactions" Health and Company 1965

      34 Allgeier, A. R., "Sexual Interaction" Lexington, M. A. 1988

      35 Hudson, W. W., "Sexual Attitude Scale" Walmyr Publishing Co 1990

      36 Hawkes, G. R., "Quality of life: Perspective and review"

      37 Derogatis,L.R., "Psychological assessment of psychosexual functioning" 1 : 58-71, 1980

      38 Gordon, S., "Personal issues in human sexuality" Allyn & Bacon 1986

      39 "No Sex, Please, We're Married: Are Stress, Kids and Work Killing Romance"

      40 Moss, B.,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42 : 31-37, 1993

      41 Duvall,M.E., "Marriage and Family Development(5th ed.)" J. B. Lippincott Company 1977

      42 Antonucci,C.S., "Marital and employment role strai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adult women. in: Stress, social support, and women" Hemisphere 1990

      43 International 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IPPF Charter on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44 Bancroft,J, "Human sexuality and its problem" Churchill Livingston 1983

      45 성규성, "Example of Simplicity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Sports"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687-698, 2007

      46 Andrews,M., "Calendar ladies: Popular Culture, Sexuality and the Middle-class, Middle-Aged Domestic Women" 6 : 385-403, 2003

      47 Sprecher, S., "Belief about the outcomes of extramarital sexual relationships as a function of the gender of the cheating spouse" 3 : 301-311, 2000

      48 Hudson, W. W., "A short form to measure sexual discord in dyadic relationships" 2 : 157-174,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가족과 가족치료
      외국어명 : 미등록 -> Family and Family Therap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9-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12 1.2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