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국적과 자민족 중심주의, 유형에 따른 사회공헌활동 효과연구 = Effects of Corporate Nationality, Public`s Ethnocentrism, and Types of CSR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연구는 공중들이 국내기업과 해외기업의 국내에서의 사회공헌활동 정보를 접했을 때, 공중들의 자민족 중심주의에 따라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더불어 CSR유형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살펴보았다. 실험 설계는 2 (기업국적: 국내 vs. 해외) X 2 (자민족 중심주의: 고/저)의 2 요인 개체-간 설계로 처리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업국적은 종속변인인 CSR을 행하는 기업의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주는 반면, 자민족 중심주의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국적의 경우,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모두 국내기업의 평균이 해외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공중들은 국내기업의 CSR을 해외기업의 CSR보다 대체로 높게 평가하고 있지만, 자민족 중심주의가 높다고 해서 국내기업의 CSR을 해외기업의 CSR보다 높게 평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마도 글로벌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해외문화를 접할기회가 많으며, 더구나 글로벌화를 강조하고 있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자민족 중심주의는 서서히 약화되고 있으며, 자민족 중심주의가 글로벌 기업의 CSR을 평가하는 데 강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기업국적 (국내/해외) 및 CSR유형 변수(공익사업/기부협찬/자원봉사)가 영리기업의 CSR에 대한 기존태도와 특정 기업에 대한 기존태도(공분산변수)의 영향력을 함께 고려했을 때 종속변인인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종속변인에 영향을 주는 것은 기업국적이나 CSR 유형과 같은 독립변인보다 기업에 대한 평소태도와 영리기업의 CSR에 대한 기존태도와 같은 변수로 나타났다. 기업의 CSR에 대한 기존태도와, 기업에 대한 평소태도는 기업국적이나 CSR유형보다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보이며, 요약하면, 해당기업에 대한 기존태도와 영리기업의 CSR 자체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기업의 CSR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는 미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실험연구는 공중들이 국내기업과 해외기업의 국내에서의 사회공헌활동 정보를 접했을 때, 공중들의 자민족 중심주의에 따라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더불어 CSR유형에 따라 효과...

      본 실험연구는 공중들이 국내기업과 해외기업의 국내에서의 사회공헌활동 정보를 접했을 때, 공중들의 자민족 중심주의에 따라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더불어 CSR유형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살펴보았다. 실험 설계는 2 (기업국적: 국내 vs. 해외) X 2 (자민족 중심주의: 고/저)의 2 요인 개체-간 설계로 처리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업국적은 종속변인인 CSR을 행하는 기업의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주는 반면, 자민족 중심주의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국적의 경우,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모두 국내기업의 평균이 해외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공중들은 국내기업의 CSR을 해외기업의 CSR보다 대체로 높게 평가하고 있지만, 자민족 중심주의가 높다고 해서 국내기업의 CSR을 해외기업의 CSR보다 높게 평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마도 글로벌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해외문화를 접할기회가 많으며, 더구나 글로벌화를 강조하고 있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자민족 중심주의는 서서히 약화되고 있으며, 자민족 중심주의가 글로벌 기업의 CSR을 평가하는 데 강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기업국적 (국내/해외) 및 CSR유형 변수(공익사업/기부협찬/자원봉사)가 영리기업의 CSR에 대한 기존태도와 특정 기업에 대한 기존태도(공분산변수)의 영향력을 함께 고려했을 때 종속변인인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종속변인에 영향을 주는 것은 기업국적이나 CSR 유형과 같은 독립변인보다 기업에 대한 평소태도와 영리기업의 CSR에 대한 기존태도와 같은 변수로 나타났다. 기업의 CSR에 대한 기존태도와, 기업에 대한 평소태도는 기업국적이나 CSR유형보다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보이며, 요약하면, 해당기업에 대한 기존태도와 영리기업의 CSR 자체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기업의 CSR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는 미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al study examined how the corporate nationality (Korean vs. foreign), Korean public`s ethnocentrism have an effect on corporate image and brand attitude. Results showed that the public more positively evaluated a Korean company`s CSR than that of a foreign company. However, a person`s degree of ethnocentrism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an evaluation of a Korean corporate CSR. The study concluded that ethnocentrism has been diminished as the society has become globalized. The study also examined how the corporate nationality and types of CSR (philanthropy, sponsorship, volunteer work by employees) influence corporate image and brand attitude when the effects of prior attitude about CSR and prior attitude toward a company were examined as covariates.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he two covariates were considered together, two independent variables (corporate nationality and types of CSR)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corporate image and brand attitude. In summary, when someone already has a negative prior attitude about CSR and negative prior attitude toward a company, the positive effects CSR may bring can be minimal.
      번역하기

      This experimental study examined how the corporate nationality (Korean vs. foreign), Korean public`s ethnocentrism have an effect on corporate image and brand attitude. Results showed that the public more positively evaluated a Korean company`s CSR th...

      This experimental study examined how the corporate nationality (Korean vs. foreign), Korean public`s ethnocentrism have an effect on corporate image and brand attitude. Results showed that the public more positively evaluated a Korean company`s CSR than that of a foreign company. However, a person`s degree of ethnocentrism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an evaluation of a Korean corporate CSR. The study concluded that ethnocentrism has been diminished as the society has become globalized. The study also examined how the corporate nationality and types of CSR (philanthropy, sponsorship, volunteer work by employees) influence corporate image and brand attitude when the effects of prior attitude about CSR and prior attitude toward a company were examined as covariates.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he two covariates were considered together, two independent variables (corporate nationality and types of CSR)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corporate image and brand attitude. In summary, when someone already has a negative prior attitude about CSR and negative prior attitude toward a company, the positive effects CSR may bring can be minim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수영, "지역민의 기업 연고 형태 인식과 지역 관심도에 따른 사회공헌 활동의 효과 연구" 한국홍보학회 14 (14): 145-181, 2010

      2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 528호" 2008

      3 오미영, "원산지 정보의 강조와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국제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원산지 이미지와 제품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299-326, 2010

      4 한동원,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소비자 분석을 중심으로" 2 (2): 125-160, 2003

      5 이장혁, "사회공헌활동 효과에 기업 이미지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33 (33): 175-183, 2008

      6 진남, "부산고 상해 대학생의 글로벌 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부경대 대학원 2008

      7 박용근, "돈으로 면죄부 사려는 꼴... 법치국가 맞나"

      8 강태길, "기업자원봉사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00

      9 성민선, "기업의 자원봉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 연구소 1996

      10 유용상, "기업의 스포츠부문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기업 소재 도시와 타 도시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7 (47): 175-185, 2008

      1 조수영, "지역민의 기업 연고 형태 인식과 지역 관심도에 따른 사회공헌 활동의 효과 연구" 한국홍보학회 14 (14): 145-181, 2010

      2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 528호" 2008

      3 오미영, "원산지 정보의 강조와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국제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원산지 이미지와 제품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299-326, 2010

      4 한동원,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소비자 분석을 중심으로" 2 (2): 125-160, 2003

      5 이장혁, "사회공헌활동 효과에 기업 이미지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33 (33): 175-183, 2008

      6 진남, "부산고 상해 대학생의 글로벌 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부경대 대학원 2008

      7 박용근, "돈으로 면죄부 사려는 꼴... 법치국가 맞나"

      8 강태길, "기업자원봉사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00

      9 성민선, "기업의 자원봉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 연구소 1996

      10 유용상, "기업의 스포츠부문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기업 소재 도시와 타 도시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7 (47): 175-185, 2008

      11 오상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조직-공중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8

      12 김현수,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신문사 문화.스포츠사업 활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8

      13 윤각,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기업광고가 기업이미지와브랜드태도형성에 미치는영향력에관한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1 (61): 47-72, 2003

      14 이한준, "기업의 사회공헌에 관한 시민" 6 (6): 261-283, 2007

      15 김수인, "기업의 사회 책임활동(CSR)홍보메시지 유형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8

      16 이려정, "기업의 메세나 활동과 기업 이미지에 관한 연구" 19 (19): 25-48, 2007

      17 조형오, "기업의 공익활동 유형에 따른 소비자 인식의 차이가 제품 광고에 대한 인지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자선적 공익활동과 기능적 공익활동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홍보학회 10 (10): 5-39, 2006

      18 오세영, "기업광고 유형이 기업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47) : 117-141, 2000

      19 문철수, "기업PR 캠페인으로서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 국내외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15 (15): 343-360, 2004

      20 차희원, "기업 이미지와 기업명성이 조직-공중 관계성과 기업 슈퍼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68) : 171-199, 2005

      21 이홍일, "기업 사회공헌의 전략적 특성 및 기업의 사회적 정당성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22 김현숙, "기업 구성원의 자원봉사황동 참여가 조직일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C사를 중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23 고민정, "글로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소비자 자민족 중심주의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관여도와 사회적 책임의 범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24 고원헌, "국내 소비자의 자민족 중심주의가 외국제품 불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제품품질판단과 과시적 소비에 의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25 조형오, "공익연계 광고메시지가 소비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49) : 231-249, 2000

      26 Barone,M.J., "The Influence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Choice: Does One Good Turn Deserve Another?" 28 (28): 248-262, 2000

      27 Brown, T.J., "The Company and the Product: 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Responses" 61 (61): 68-84, 1997

      28 Lantos, G. P., "The Boundaries of strateg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18 (18): 595-630, 2001

      29 Booth, K., "Strategy and Ethnocentrism" Croom-Helm 1979

      30 Schooler, Tobert. D., "Product Bias in the Central American Common Market" 2 : 394-397, 1965

      31 Cho, S., "Netizen's evalua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ty: Content analysis of CSR news stories and online reader's comment" 35 (35): 147-149, 2009

      32 Levine, Robert. A., "Ethnocentrism Theories of Conflict. Ethnic Attitudes and Group Behavior" John Willey & Sons. Inc 1972

      33 Folkes. V. S., "Effects of information about firm's ethical and unethical actions on consumers attitudes" 8 (8): 243-259, 1999

      34 Brammer, S., "Corporate Community Contribution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56 (56): 15-26, 2005

      35 Ellen, Pam S., "Consumer reaction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o attributions make a difference?" Department of Marketing, Georgia State Univ 1996

      36 Shimp, Terence.A., "Consumer Ethnocentrism;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CETSCALE" 24 : 280-289, 1987

      37 Sharma, S,, "Consumer Ethnocentrism; A Test of Antecedents and Moderators" 23 (23): 26-37, 1995

      38 Dahl, Darren W., "Cause-Related marketing: impact of size of cause related promotion on consumer perceptions and participation"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478-481, 1995

      39 Schooler, Tobert. D., "Bias phenomena Attendant to the Marketing of Foreign Goods in the US" 2 (2): 71-81, 1971

      40 Sen, S., ""does doing good always lead to doing better?" Consumer reaction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38 (38): 225-244,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72 2.31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