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염색 특성 = A Studyon the Hair Dyeing PropertiesUsing Anthocyanin in Aronia melancocarp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62830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 향장미용학과 , 2015. 2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95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철호

      • 소장기관
        • 남부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국문초록

      아로니아(Aroniamelancocarpa)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염색 특성

      김주영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아로니아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 천연염색으로 염색온도, 염색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변화를 관찰하였으며,매염제로 황산제 일철(FeSO4),초산(CH3COOH), 명반[AlK(SO4)2], 황산구리(Cu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망간(MnSO4), 질산코발트(Co(NO3)2), 탄산칼슘(CaCO3), 탄산나트륨(Na2CO3)을 사용하여 매염방법에 따른 매염효과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아로니아를 저온압착법으로 추출한 결과 400∼ 700nm 의 파장영역에서 흡수가 나타났으며, 520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2.아로니아 안토시아닌 색소의 추출시 저온압착법은 안토시아닌의 추출효율이 높아 무매염시에도 K/S 값이 70.812로 모발의 염색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매염시 세정견뢰도는 삼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나빠져 착색 안정화를 위해 매염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모발 염색시 염색온도(20℃ ∼ 60℃)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K/S)도 증가하였고, 모발은 적색에서 자주색으로 변성되었다. 아로니아의 염색온도 20℃, 염색시간 40분에서 염색이 잘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4.모발 염색시 pH의 증가에 따라 a* value가 +(red)에서 -(green)으로 진행되거나 본래의 탈색모의 노란색에 색차계가 반응하여 알칼리 상태에서는 안토시아닌 염제의 본래의 색이 퇴색하여 적갈색, 적녹색, 황녹색을 띠게 되며, 이로 인하여 모발의 염착이 불량하게 되어 염색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이는 안토시 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5.모발 염색시 산성경향의 매염제에서는 적색을 기본으로 녹색, 청색, 다크블루, 보라 등의 화려한 색상을 낼 수 있으나, 알칼리성 매염제에서는 알칼리작용으로 인해 큐티클에 갖혀 있던 안토시아닌 색소가 일부 분해되어 나타나는 색으로 볼 수 있다.
      6.모발 염색시 매염방법(선매염, 동시매염, 후매염)은 매염제의 특성(염착량, 명도, 채도, 색상)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 선택해야하고, 염착량(K/S)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선매염은 황산철, 황산마그네슘, 명반, 아세트산,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매염제에 효과적이고, 동시매염법은 황산구리, 질산코발트 매염제에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아로니아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염모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다른 천연색소에 비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하지만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한 매염제중 명반이나 철은 주로 직물의 매염제로 쓰여 왔으며 소량의 경우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황산구리는 주로 살균제로 쓰여 독성이 있으며,기타의 매염제 역시 인체에 유해하여 이를 모발에 사용하는 이상 매염제에 따른 유독성 연구도 함께 진행 되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더 다양한 색깔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염제를 이용한 천연염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아로니아(Aroniamelancocarpa)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염색 특성 김주영 지도교...

      국문초록

      아로니아(Aroniamelancocarpa)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염색 특성

      김주영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아로니아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 천연염색으로 염색온도, 염색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변화를 관찰하였으며,매염제로 황산제 일철(FeSO4),초산(CH3COOH), 명반[AlK(SO4)2], 황산구리(Cu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망간(MnSO4), 질산코발트(Co(NO3)2), 탄산칼슘(CaCO3), 탄산나트륨(Na2CO3)을 사용하여 매염방법에 따른 매염효과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아로니아를 저온압착법으로 추출한 결과 400∼ 700nm 의 파장영역에서 흡수가 나타났으며, 520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2.아로니아 안토시아닌 색소의 추출시 저온압착법은 안토시아닌의 추출효율이 높아 무매염시에도 K/S 값이 70.812로 모발의 염색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매염시 세정견뢰도는 삼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나빠져 착색 안정화를 위해 매염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모발 염색시 염색온도(20℃ ∼ 60℃)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K/S)도 증가하였고, 모발은 적색에서 자주색으로 변성되었다. 아로니아의 염색온도 20℃, 염색시간 40분에서 염색이 잘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4.모발 염색시 pH의 증가에 따라 a* value가 +(red)에서 -(green)으로 진행되거나 본래의 탈색모의 노란색에 색차계가 반응하여 알칼리 상태에서는 안토시아닌 염제의 본래의 색이 퇴색하여 적갈색, 적녹색, 황녹색을 띠게 되며, 이로 인하여 모발의 염착이 불량하게 되어 염색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이는 안토시 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5.모발 염색시 산성경향의 매염제에서는 적색을 기본으로 녹색, 청색, 다크블루, 보라 등의 화려한 색상을 낼 수 있으나, 알칼리성 매염제에서는 알칼리작용으로 인해 큐티클에 갖혀 있던 안토시아닌 색소가 일부 분해되어 나타나는 색으로 볼 수 있다.
      6.모발 염색시 매염방법(선매염, 동시매염, 후매염)은 매염제의 특성(염착량, 명도, 채도, 색상)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 선택해야하고, 염착량(K/S)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선매염은 황산철, 황산마그네슘, 명반, 아세트산,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매염제에 효과적이고, 동시매염법은 황산구리, 질산코발트 매염제에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아로니아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염모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다른 천연색소에 비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하지만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한 매염제중 명반이나 철은 주로 직물의 매염제로 쓰여 왔으며 소량의 경우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황산구리는 주로 살균제로 쓰여 독성이 있으며,기타의 매염제 역시 인체에 유해하여 이를 모발에 사용하는 이상 매염제에 따른 유독성 연구도 함께 진행 되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더 다양한 색깔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염제를 이용한 천연염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표목차 ⅲ
      • 그림목차 ⅴ
      • 국문초록 ⅷ
      • Ⅰ.서론 1
      • 목 차
      • 표목차 ⅲ
      • 그림목차 ⅴ
      • 국문초록 ⅷ
      • Ⅰ.서론 1
      • Ⅱ.실험 8
      • 1.시료 및 기기 8
      • 2.실험방법 9
      • 가.탈색 9
      • 나.염액 제조 9
      • 다.추출액을 이용한 모발염색 10
      • 라.매염제를 이용한 모발염색 11
      • 마.세정견뢰도 12
      • Ⅲ.결과 및 고찰 13
      • 1.아로니아 추출액의 흡광도 측정 13
      • 가.저온추출법인 압착법에 의한 추출 13
      • 2.추출액을 이용한 모발염색 15
      • 가.온도와 염색시간에 따른 모발염색 효과 15
      • 나.pH에 따른 모발 염착성과 측색효과 35
      • 3.매염제를 이용한 모발염색 43
      • 가.황산제일철 43
      • 나.초산 47
      • 다.명반 51
      • 라.황산구리 55
      • 마.황산마그네슘 59
      • 바.황산망간 63
      • 사.질산코발트 67
      • 아.탄산칼슘 71
      • 자.탄산나트륨 75
      • 차.매염제별 모발의 염색정도 79
      • 4.염색견뢰도 86
      • 가.세정견뢰도 86
      • Ⅳ.결론 87
      • 참고문헌 89
      • Abstract9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연염료를 활용한 모발염색, 정해란,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6, , 2009

      2. 과일 색소에서 찾아볼 수 있는 화학, 김은영,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 2006

      3. 버찌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특성, 박철호, 홍경옥, 한국미용학회지, 19(5), 945-962, , 2013

      4. 검정콩 종피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염색, 이정례, 박철호, 대한미용학회, 대한미용학회지, 8(2), 127-134, , 2012

      5. 칡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모발염색, 이현진, 윤영민, 이옥규, 안성관, 대한화장품학회, 대한화장품학회지, 36(1), 33-39, , 2010

      6. 검정콩 안토시아닌 추출 효율 및 안정성, 김용호, 김선영, 김희선, 고광오, 이영상, 한국작물학회지, 14, 84-88, , 2008

      7. 모발색이 체형 및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은지,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 2002

      8. 소목 심재 추출물의 모발 염색특성 연구, 송연숙, 이근광, 황인숙, 한국미용학회지, 18(4), 790, 790-797, , 2012

      9. 아로니아 유래 안토시아닌 색소의 안정성, 기경남, 황은선, 한국식품과학회지, 45(4), 416-421, , 2013

      10. 오디의 모발염색과 매염효과에 대한 연구, 장애선, 박철호,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지, 8(1), 33-39, , 2014

      1. 천연염료를 활용한 모발염색, 정해란,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6, , 2009

      2. 과일 색소에서 찾아볼 수 있는 화학, 김은영,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 2006

      3. 버찌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특성, 박철호, 홍경옥, 한국미용학회지, 19(5), 945-962, , 2013

      4. 검정콩 종피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염색, 이정례, 박철호, 대한미용학회, 대한미용학회지, 8(2), 127-134, , 2012

      5. 칡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모발염색, 이현진, 윤영민, 이옥규, 안성관, 대한화장품학회, 대한화장품학회지, 36(1), 33-39, , 2010

      6. 검정콩 안토시아닌 추출 효율 및 안정성, 김용호, 김선영, 김희선, 고광오, 이영상, 한국작물학회지, 14, 84-88, , 2008

      7. 모발색이 체형 및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은지,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 2002

      8. 소목 심재 추출물의 모발 염색특성 연구, 송연숙, 이근광, 황인숙, 한국미용학회지, 18(4), 790, 790-797, , 2012

      9. 아로니아 유래 안토시아닌 색소의 안정성, 기경남, 황은선, 한국식품과학회지, 45(4), 416-421, , 2013

      10. 오디의 모발염색과 매염효과에 대한 연구, 장애선, 박철호, 코리아뷰티디자인학회지, 8(1), 33-39, , 2014

      11. 한련초 추출물의 모발염색성에 관한 연구, 장정애, 대한미용학회지, 2(1), 97-109, , 2006

      12. 블랙베리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특성, 신화남, 박철호, 한국미용학회지, 20(1), 30-35, , 2014

      13. 자초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특성 연구, 송연숙, 이헌정, 이근광, 한국미용학회지, 18(1), 210, 206-213, , 2012

      14. 오디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 염색에 관한 연구, 장애선, 남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 2013

      15. 검정콩을 이용한 모발의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이정례, 남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3, , 2012

      16. 검종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이 최적 추출조건, 정명근, 최수산나, 임정대, 이현진, 김현경, 한원영, 백인열, 강성택, 황영선, 한국작물학회지, 53(1), 110-117, , 2008

      17. 오배자 열수 추출물의 모발염색 및 염색견뢰도, 나명석, 전아름, 김수영, 최희진, 한국미용학회지, 17(1), 87-93, , 2011

      18. 냉동 및 냉동건조 라즈베리의 안토시아닌 안정성, 장규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2011

      19. “아로니아 베리 열매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김경진, 김해수, 김진숙, 박수남, 공봉주, 이혜미, 권순식, 하지훈, 전소하, 대한화장품학회, 대한화장품학회지, 39(4), 337-345, , 2013

      20. 소목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염색 및 견뢰도 분석, 김수영, 정원지, 나명석, 한국미용학회지, 19(4), 607-612, , 2013

      21. “아로니아즙 첨가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황은선, 이예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8), 1220-1226, , 2013

      22. 버찌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염색 및 견뢰도 분석, 양영단,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미용학회지, 19(3), 524-531, , 2013

      23. 녹차 추출물과 질산은을 이용한 모발염색에 관한 연구, 함미영, 하병조, 김홍희, 대한미용학회지, 3(1), 51-66, , 2007

      24. 천연염료를 이용한 견섬유의 염색성 및 중량효과 연구, 김연주, 최인려, 성신여대 생활문화연구소 생활문화연구, 18(4), 34-39, , 2004

      25. 천연색소로서 한국산 유색미 안토시아닌의 안정성 연구, 윤주미, 한태룡, 조만호, 백영숙, 윤혜현, 한국식품과학회, 한국식품과학회지, 29(2), 211-217, , 1997

      26. 딸기잼의 안토시아닌과Spreadmeter치의 가열 및 저장중 변화, 권경섭, 임재호, 유무영, 박성준, 장희규, 이재하, 한국식품과학회, 한국식품과학회지, 26, 365, , 1994

      27. 추출방법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능 비교, 김정환, 최근표, 김남영, 이현용, 韓國藥用作物學會,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2(3), 217-222, , 2014

      28. 적양배추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산성염모제 염색력 연구, 서수경,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 2011

      29. 꽃베고니아 ‘Red’에서 에탄올로 추출한 안토시아닌색소의 안전성, 김현주, 허북구, 박윤점, FlowerRes. J. , 14(3), 203-210, , 2006

      30. 백모에 대한 천연 헨나와 산화염모제의 염색력과 모발보호효과 비교, 임태희, 김기영, 김복환,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8(3), 698-705, , 2012

      31. 뉴안도티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활성, 황은선,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30(2), 161-169, , 2014

      32. 안토시아닌과 플라본을 함유한 흑미의 모발 염색력과 모발 보호 효과, 문금옥, 김기영, 한국미용학회, 한국미용학회지, 19(5), 970-978, ,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