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성택,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와 부담감의 관계: 사교육 투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회 51 (51): 63-87, 2013
2 이영준,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로봇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47-54, 2013
3 박헌미, "프로그래밍 교육과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이 학습 전이력과 수업에 대한 이식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6 (6): 115-128, 2006
4 송호창, "특성화고 학생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로봇 활용 방안" 21 (21): 53-36, 2015
5 임유나,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53-80, 2012
6 박응식,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75-198, 2009
7 강경옥,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주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01-220, 2008
8 박정호,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이 과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 (19): 139-149, 2014
9 김미량,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27-449, 2009
10 이화선, "초등정규교육과정에서 창의성 함양을 위한 로봇활용교육의 효과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9-35, 2013
1 임성택,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와 부담감의 관계: 사교육 투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회 51 (51): 63-87, 2013
2 이영준,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로봇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47-54, 2013
3 박헌미, "프로그래밍 교육과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이 학습 전이력과 수업에 대한 이식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6 (6): 115-128, 2006
4 송호창, "특성화고 학생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로봇 활용 방안" 21 (21): 53-36, 2015
5 임유나,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53-80, 2012
6 박응식,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75-198, 2009
7 강경옥,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주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01-220, 2008
8 박정호,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이 과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 (19): 139-149, 2014
9 김미량,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27-449, 2009
10 이화선, "초등정규교육과정에서 창의성 함양을 위한 로봇활용교육의 효과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9-35, 2013
11 김지현, "초등 로봇교육에 대한 방과후 로봇 지도교사의 인식 조사"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17-133, 2010
12 권기욱, "초·중등학교 학급규모 감축의 교육적·재정적 효과" 1 (1): 15-47, 2005
13 정인숙,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수문사 2011
14 김태훈, "창작 로봇 제작 및 프로그래밍 활동에서 MBTI 이질 성향 팀 상호작용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18 (18): 26-33, 2015
15 김성애, "중학교 기술교과에서의 "로봇"활용 교육 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 6 : 127-147, 2006
16 마숙희, "중등학교에서 로봇 이용 교육 실태 조사 및 분석" 13 (13): 179-184, 2009
17 박성덕,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18 조성환, "융합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로봇활용 교육의 효과" 한국로봇학회 8 (8): 58-65, 2013
19 김경철, "유아를 대상으로 한 로봇기반교육(R-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397-417, 2013
20 박성덕, "유아교육 분야의 메타분석 논문에 대한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93-412, 2014
21 이종호,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2 이수범, "영화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만족도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13 (13): 221-241, 2010
23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5
24 박흥제, "아동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59-181, 2010
25 최미애, "수업 사례를 통해 본 로봇 활용 교육의 가능성 탐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155-158, 2009
26 박영숙, "블렌디드 로봇교육 활동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원 23 (23): 183-202, 2012
27 백효석, "배틀 로봇 프로그래밍교육에 있어서 멀티미디어학습이 동기유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8 이좌택, "문제기반학습에 터한 로봇 제어 프로그래밍 수업이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29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30 양창모, "메타 분석을 이용한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의 효과 비교"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413-422, 2014
31 송호창, "로봇을 활용한 객체지향프로그램 학습 방안" 17 (17): 111-115, 2013
32 배상용, "로봇을 이용한 C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3 전윤주, "로봇교육이 과학교과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159-164, 2009
34 송정범, "로봇교육에서 보조교사 지원 유형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35-43, 2011
35 서형업, "로봇C언어 교육프로그램이 창의력과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과학 고등학교 사례-" 대한공업교육학회 34 (34): 210-237, 2009
36 이상갑, "로봇'을 주제로 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2 (2): 17-36, 2002
37 박정호, "로봇 활용 수학학습이 학습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71-80, 2010
38 권구봉, "로봇 활용 문제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9 이경희, "로봇 교육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 모색"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85-204, 2010
40 김태희, "레고 마인드스톰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입문 교육의 효과 측정"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1 (11): 159-173, 2010
41 송정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의 효과성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5 (15): 81-89, 2010
42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3 한국과학기술평가원, "과학기술미래비전 보고서" 2010
44 서성원, "TPL과 VPL을 활용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이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 1988
46 권순범, "STEAM 기반 통합교과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7 (17): 79-86, 2012
47 이홍규, "STEAM 기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등정보영재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48 Cooper, H.,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 by step approach" SAGE Publication Inc 2010
49 Rothstein, H. 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Prevention, assessment and adjustments" John Wiley & Sons 2006
50 Sutton, A. J., "Modelling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a review" 9 (9): 421-445, 2000
51 유인환, "MINDSTORMS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 (9): 49-59, 2006
52 서형업, "MBTI에 따른 모둠 구성이 창작로봇 제작 모둠의 창의성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53 Nagchaudhuri, A., "LEGO robotics products boost student creativity in precollege programs at UMES" 3 : S4D-1-, 2002
54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2009
55 Higgins, J. P. T.,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 0 [updated March 2011]"
56 Rosenblatt, M., "Designing and implementing hands-on robotics labs" (6) : 32-39, 2000
57 Higgins, J. P. T.,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4.2. 5, 2005"
58 김나라, "CPS기반의 PBL수업이 중등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9 박주성, "CPS기반 가상 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등 정보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60 김아롱,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과서 ‘로봇의 이해’ 단원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143-16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