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 · 중등 교육에서 로봇기반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Robot-based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73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obot-based education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meta-analysis method. To do so, 4 researchers who have performed robot education-related education befor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together and 2 researchers who took statistics theory and meta-analysis classes interpreted the results. Also, they searched for papers that have ‘robot’, ‘robot education’, ‘robot-based education’, and ‘R-Learning’ as keywords using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Google Scholar service, and selected a total of 24 papers including 15 papers on academic journals, 8 thesis papers, and 1 paper presented in a symposium f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lue of .538 was obtained after analyzing the entire effect size with a random effect model, which was at about 70 percentile when converted to non-overlapping percentage index (U3). This meant that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robot-based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robot-based education by about 20%.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difference by the categorical variables, the educational effect of robot study subjects was higher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elementary students and showed the biggest effect in the community area. In addition, the education method that only used programm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ducation method that mixed hardware assembling. Thir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effects according to continuous variables demonstrat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decreased as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while it increased as education period increa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obot-based education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meta-analysis method. To do so, 4 researchers who have performed robot education-related education before conducted l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obot-based education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meta-analysis method. To do so, 4 researchers who have performed robot education-related education befor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together and 2 researchers who took statistics theory and meta-analysis classes interpreted the results. Also, they searched for papers that have ‘robot’, ‘robot education’, ‘robot-based education’, and ‘R-Learning’ as keywords using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Google Scholar service, and selected a total of 24 papers including 15 papers on academic journals, 8 thesis papers, and 1 paper presented in a symposium f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lue of .538 was obtained after analyzing the entire effect size with a random effect model, which was at about 70 percentile when converted to non-overlapping percentage index (U3). This meant that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robot-based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robot-based education by about 20%.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difference by the categorical variables, the educational effect of robot study subjects was higher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elementary students and showed the biggest effect in the community area. In addition, the education method that only used programm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ducation method that mixed hardware assembling. Thir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effects according to continuous variables demonstrat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decreased as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while it increased as education period increa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초, 중, 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기반교육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로봇 교육 관련 연구 수행 경험이 있는 4명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고, 통계 이론 및 메타분석방법을 기 수강한 2명의 연구자가 결과를 해석하였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국회도서관, Google Scholar 서비스를 이용하여 ‘로봇’, ‘로봇 교육’, ‘로봇기반교육’, ‘R-러닝’을 키워드로 하는 논문을 검색하였고, 이에 학술지 논문 15편, 학위논문 8편, 학술발표 논문 1편, 총 24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랜덤효과 모형으로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538의 값이 도출되었고, 이는 비중복 백분위 지수(U3)로 변환할 경우 약 70 퍼센타일이며, 이는 로봇기반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의 점수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약 20% 높다는 의미이다. 둘째,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로봇 연구 대상에 따른 교육 효과는 초등학생에 비해 중, 고등학생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공동체 영역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래밍만을 이용한 교육 방법이하드웨어 조립을 혼합한 교육 방법보다 효과적이었다. 셋째, 연속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생 수가 늘어날수록 교육 효과는 감소하였고, 교육기간이늘어날수록 교육 효과는 증가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초, 중, 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기반교육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로봇 교육 관련 연구 수행 경험이 있는 4명의 연구자가 공...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초, 중, 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기반교육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로봇 교육 관련 연구 수행 경험이 있는 4명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고, 통계 이론 및 메타분석방법을 기 수강한 2명의 연구자가 결과를 해석하였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국회도서관, Google Scholar 서비스를 이용하여 ‘로봇’, ‘로봇 교육’, ‘로봇기반교육’, ‘R-러닝’을 키워드로 하는 논문을 검색하였고, 이에 학술지 논문 15편, 학위논문 8편, 학술발표 논문 1편, 총 24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랜덤효과 모형으로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538의 값이 도출되었고, 이는 비중복 백분위 지수(U3)로 변환할 경우 약 70 퍼센타일이며, 이는 로봇기반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의 점수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약 20% 높다는 의미이다. 둘째,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로봇 연구 대상에 따른 교육 효과는 초등학생에 비해 중, 고등학생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공동체 영역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래밍만을 이용한 교육 방법이하드웨어 조립을 혼합한 교육 방법보다 효과적이었다. 셋째, 연속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생 수가 늘어날수록 교육 효과는 감소하였고, 교육기간이늘어날수록 교육 효과는 증가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성택,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와 부담감의 관계: 사교육 투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회 51 (51): 63-87, 2013

      2 이영준,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로봇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47-54, 2013

      3 박헌미, "프로그래밍 교육과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이 학습 전이력과 수업에 대한 이식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6 (6): 115-128, 2006

      4 송호창, "특성화고 학생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로봇 활용 방안" 21 (21): 53-36, 2015

      5 임유나,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53-80, 2012

      6 박응식,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75-198, 2009

      7 강경옥,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주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01-220, 2008

      8 박정호,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이 과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 (19): 139-149, 2014

      9 김미량,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27-449, 2009

      10 이화선, "초등정규교육과정에서 창의성 함양을 위한 로봇활용교육의 효과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9-35, 2013

      1 임성택,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와 부담감의 관계: 사교육 투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회 51 (51): 63-87, 2013

      2 이영준,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로봇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47-54, 2013

      3 박헌미, "프로그래밍 교육과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이 학습 전이력과 수업에 대한 이식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6 (6): 115-128, 2006

      4 송호창, "특성화고 학생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로봇 활용 방안" 21 (21): 53-36, 2015

      5 임유나,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53-80, 2012

      6 박응식,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75-198, 2009

      7 강경옥,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주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01-220, 2008

      8 박정호,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이 과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 (19): 139-149, 2014

      9 김미량,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27-449, 2009

      10 이화선, "초등정규교육과정에서 창의성 함양을 위한 로봇활용교육의 효과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9-35, 2013

      11 김지현, "초등 로봇교육에 대한 방과후 로봇 지도교사의 인식 조사"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17-133, 2010

      12 권기욱, "초·중등학교 학급규모 감축의 교육적·재정적 효과" 1 (1): 15-47, 2005

      13 정인숙,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수문사 2011

      14 김태훈, "창작 로봇 제작 및 프로그래밍 활동에서 MBTI 이질 성향 팀 상호작용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18 (18): 26-33, 2015

      15 김성애, "중학교 기술교과에서의 "로봇"활용 교육 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 6 : 127-147, 2006

      16 마숙희, "중등학교에서 로봇 이용 교육 실태 조사 및 분석" 13 (13): 179-184, 2009

      17 박성덕,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18 조성환, "융합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로봇활용 교육의 효과" 한국로봇학회 8 (8): 58-65, 2013

      19 김경철, "유아를 대상으로 한 로봇기반교육(R-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397-417, 2013

      20 박성덕, "유아교육 분야의 메타분석 논문에 대한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93-412, 2014

      21 이종호,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2 이수범, "영화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만족도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13 (13): 221-241, 2010

      23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5

      24 박흥제, "아동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59-181, 2010

      25 최미애, "수업 사례를 통해 본 로봇 활용 교육의 가능성 탐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155-158, 2009

      26 박영숙, "블렌디드 로봇교육 활동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원 23 (23): 183-202, 2012

      27 백효석, "배틀 로봇 프로그래밍교육에 있어서 멀티미디어학습이 동기유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8 이좌택, "문제기반학습에 터한 로봇 제어 프로그래밍 수업이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29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30 양창모, "메타 분석을 이용한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의 효과 비교"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413-422, 2014

      31 송호창, "로봇을 활용한 객체지향프로그램 학습 방안" 17 (17): 111-115, 2013

      32 배상용, "로봇을 이용한 C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3 전윤주, "로봇교육이 과학교과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159-164, 2009

      34 송정범, "로봇교육에서 보조교사 지원 유형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35-43, 2011

      35 서형업, "로봇C언어 교육프로그램이 창의력과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과학 고등학교 사례-" 대한공업교육학회 34 (34): 210-237, 2009

      36 이상갑, "로봇'을 주제로 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2 (2): 17-36, 2002

      37 박정호, "로봇 활용 수학학습이 학습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71-80, 2010

      38 권구봉, "로봇 활용 문제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9 이경희, "로봇 교육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 모색"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85-204, 2010

      40 김태희, "레고 마인드스톰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입문 교육의 효과 측정"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1 (11): 159-173, 2010

      41 송정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의 효과성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5 (15): 81-89, 2010

      42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3 한국과학기술평가원, "과학기술미래비전 보고서" 2010

      44 서성원, "TPL과 VPL을 활용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이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 1988

      46 권순범, "STEAM 기반 통합교과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7 (17): 79-86, 2012

      47 이홍규, "STEAM 기반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등정보영재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48 Cooper, H.,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 by step approach" SAGE Publication Inc 2010

      49 Rothstein, H. 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Prevention, assessment and adjustments" John Wiley & Sons 2006

      50 Sutton, A. J., "Modelling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a review" 9 (9): 421-445, 2000

      51 유인환, "MINDSTORMS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 (9): 49-59, 2006

      52 서형업, "MBTI에 따른 모둠 구성이 창작로봇 제작 모둠의 창의성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53 Nagchaudhuri, A., "LEGO robotics products boost student creativity in precollege programs at UMES" 3 : S4D-1-, 2002

      54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2009

      55 Higgins, J. P. T.,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 0 [updated March 2011]"

      56 Rosenblatt, M., "Designing and implementing hands-on robotics labs" (6) : 32-39, 2000

      57 Higgins, J. P. T.,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4.2. 5, 2005"

      58 김나라, "CPS기반의 PBL수업이 중등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9 박주성, "CPS기반 가상 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등 정보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60 김아롱,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과서 ‘로봇의 이해’ 단원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8 (28): 143-160,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2.24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