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5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약 3주간 연구자가 ...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약 3주간 연구자가 직접 대학캠퍼스에서 설문조사를 하거나 동료, 교수의 도움을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대상은 362명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AMOS, Mplus를 이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정서조절곤란, 관계중독과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내현적 자기애, 정서조절곤란, 관계중독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조절 곤란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 정서조절곤란,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였으며,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더욱 강력한 매개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같은 성향의 내담자와 상담을 진행할 시 정서적 문제를 스스로 자각할 수 있는 경험과 자신의 사회적 자원을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관계중독과 같은 대인관계문제에 이르지 않도록 상담적 접근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 addiction. The researchers surveyed college students for about 3 weeks through a question...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 addiction. The researchers surveyed college students for about 3 weeks through a questionnaire on college campus or with the help of their colleagues and professors. The subjects were 362 students. SPSS, AMOS and Mplu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First, emotion dysregulation, relation addiction and covert narcissis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covert narcissism, emotion dysregulation, relation addi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after investig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 addiction, emotion dysregulation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hile perceived social support did not. Third, dual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in emotion dys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 addiction. These findings proved that covert narcissism, emotion dysregula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re variables that effect relation addiction, and also clarified that emotion dysregulation is a strong mediating variable in the influe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 addiction. Finally, when counseling a client with the same tendency as covert narcissism, it gives an opportunity to be aware of the emotional problem and an opportunity to positively perceive its own social resources, so as not to reach interpersonal problems such as relationship addiction pointed out the need for an approa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수진, "충동성, 사회적 지지가 폭식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한나, "초기대상관계와 관계중독간의 관계 : 미성숙한 방어유형의 매개효과"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3 한경애,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분노수준과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신재은,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 전영민, "중독치료에서 인지를 넘어서 : 정서, 동기, 치료관계" 한국중독범죄학회 (1) : 6-16, 2012

      6 현채송, "정서조절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7 조용래,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1015-1038, 2007

      8 시민일보, "잘못된 사랑표현 데이트폭력"

      9 이지홍, "자아분화 수준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기본심리욕구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5

      10 권석만,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00

      1 정수진, "충동성, 사회적 지지가 폭식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한나, "초기대상관계와 관계중독간의 관계 : 미성숙한 방어유형의 매개효과"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3 한경애,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분노수준과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신재은,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 전영민, "중독치료에서 인지를 넘어서 : 정서, 동기, 치료관계" 한국중독범죄학회 (1) : 6-16, 2012

      6 현채송, "정서조절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7 조용래,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1015-1038, 2007

      8 시민일보, "잘못된 사랑표현 데이트폭력"

      9 이지홍, "자아분화 수준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기본심리욕구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5

      10 권석만,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00

      11 한혜림,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2 황영주, "자기애 성향자의 연애태도가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3 이하람, "유기불안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일반대학원 2016

      14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2012

      15 박세란,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명시적·간접적 귀인양식"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465-474, 2005

      16 유영란,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41-460, 2006

      17 김정애, "사회적 지지, 자기 지각과 자아방어기제, 불안과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18 이지원, "불안정애착 및 심리적 고통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65-95, 2014

      19 안명란, "부정적 초기 대상관계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8 (8): 75-100, 2016

      20 김이슬,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관계중독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22 (22): 517-530, 2015

      21 이지현, "문항묶음: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 35 (35): 327-353, 2016

      22 이수미,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16 (16): 131-147, 2009

      23 이다혜,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일반대학원 2016

      24 김용희, "대학생의 불안 및 비합리적 신념과 마음챙김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2 (22): 619-647, 2015

      25 조인정,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26 조연지,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가 관계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명확성, 분리개별화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27 김성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평가에 대한 두려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6 (16): 199-216, 2015

      28 김지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37-49, 2016

      29 이지영,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30 홍서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73-95, 2014

      31 김선영,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부적응적 분노표현의 관계 :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공감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32 박화양, "대학생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17

      33 서백임, "대학생 남녀의 성인애착, 심리적 통제성, 성역할 태도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34 백승혜,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1001-1017, 2008

      35 이진숙,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소극적 대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61-181, 2012

      36 김현아,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하여 :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7 강선희,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05-723, 2002

      38 신혜인,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정서경험특성과 정서조절방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9

      39 김수철,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대학원 2016

      40 현성민,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외로움의 관계 :적대감과 분노표현 방식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41 박진숙, "내현적 자기애 성격성향 청소년의 분노표현양식과 대인관계문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7

      42 조현철,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항목묶음이 인과 모수의 검정과 적합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과학회 17 (17): 133-153, 2007

      43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44 우상우, "관계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이론적 모형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45 박정심, "관계중독에 대한 이론연구와 성경적 상담"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2010

      46 이의선, "관계 중독의 기독교 상담적 치료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05

      47 정남운, "과민성 자기애 척도 타당화 연구" 13 (13): 193-216, 2001

      48 한상은, "고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9 "http://www.yonhapnewstv.co.kr/tvscript/AKR 20161006107100038"

      50 T. D. Little, "Why the items versus parcels controversy needn’t be one" 18 (18): 285-300, 2013

      51 Thomas Whiteman, "Victim of Love?" 2004

      52 P. J. Curran,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 1996

      53 C. E. Cutrona, "The provisions of socialrelationships and adaptations to stress" 1 : 37-67, 1987

      54 A. Swinkels,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states" 21 : 934-949, 1995

      55 E. Berscheid, "The greening of relationship science" 54 : 260-266, 1999

      56 P. M. Cole,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 A clinical perspective" 59 : 73-100, 1994

      57 조철호,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모형 논문통계분석" 청람 2014

      58 S. Akhtar,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139 : 12-20, 1982

      59 C. C. Morf, "Narcissism and self-evaluation maintenance : Explorations in object relations" 19 : 668-676, 1993

      60 K. L. Gratz,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26 : 41-54, 2004

      61 M. E. Prociadano, "Measur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riends and from family : Three validation studies" 11 : 1-24, 1983

      62 Schaeffer, "Is it love or is it addiction center city" Hazelden 1997

      63 D. W. Russell,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45 (45): 18-29, 1998

      64 P. Susan, "Acciction to Love" Random house, Inc 2011

      65 오은정, "2014학년도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생활연구" 상명대학교 (28) : 1-133,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