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육은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도 역시 우리 교육에 대한 성찰과 고민의 연장선상에 서 있다. 3월 28일 OECD가 발표한 ‘2006년 통계연보’에 따르면 한국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645640
서울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수학교육전공 , 2006. 8
2006
한국어
서울
141p. ; 26cm
지도교수 :김운규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교육은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도 역시 우리 교육에 대한 성찰과 고민의 연장선상에 서 있다. 3월 28일 OECD가 발표한 ‘2006년 통계연보’에 따르면 한국은...
한국의 교육은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도 역시 우리 교육에 대한 성찰과 고민의 연장선상에 서 있다.
3월 28일 OECD가 발표한 ‘2006년 통계연보’에 따르면 한국은 사교육비 지출이 1인당 GDP 대비 2.9%로 통계가 작성된 29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일본에 비해서 약 2배, 미국에 비해서 약 5배 이상 높은 것이다. 최근 사교육이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이유는 사교육이 공교육의 보조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공교육을 침해하여 학교교육의 정상적인 운영을 방해하고, 학생들이 학교수업을 소홀하게 하는데 있다. 학교가 흔들리고 있다.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불신감이 높아지고 그 영향으로 공교육은 붕괴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많은 학생들이 여러 교과목 중 특히 수학 교과를 공교육 이외의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 사교육의 중심에 서 있는 수학교과의 사교육의 실태에 관해 고찰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내용을 개발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중등학교 학생 852명을 대상으로 사교육에 대한 기대, 효과 등의 인식적 측면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사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공교육과는 어떻게 관련되어 있으며, 공교육과 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의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2006년 4월 현재 수학교과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수학교과에서 사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한다. 넷째, 2004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사교육비 경감 종합대책’의 추진과제가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지, 학생들의 생각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서울․경기 지역 중등학생 66.2%가 수학과목 사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78.6%가 사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여 사교육 의존도가 높았다. 많은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는 이유로 학교교육과 대학 입시 제도를 지적하였고, 또한 사교육은 학교교육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교육의 정상화와 사교육의 문제해결은 교육부를 비롯한 정부의 힘만으로는 가능하지 않다. 오늘날의 다양화된 사회에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중등학교, 대학, 시민단체, 기업, 언론 등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꾸준히 고민하며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2008년 대입제도 개선안이 목적으로 하는 ‘학교교육 정상화’가 실효를 거둘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Actual Status of Private Education in the Secondary Mathematics -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ial areas - Kim, Eun-Young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Even at this moment, Kore...
ABSTRACT
The Actual Status of Private Education in the Secondary Mathematics
-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ial areas -
Kim, Eun-Young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Even at this moment, Korean education is severely criticized.
According to 'the 2006 Annual Statistical Report', released by OECD on March 28, 2006, the private expenditure on education in Korea took the foremost place among 29 countries represented in the statistics, indicating 2.9% of GDP(Gross Domestic Product) per person. This result is roughly twice higher than Japan and more than five times higher than the United States. The reason why private education has become a more serious issue is because it does not function as a supplementary means of public education, obstructing the normal operation of school education by infringing public education, and students neglect school lessons. Now public education rests on an uncertain footing. Students became hardened in their distrust towards schools, and thereby public education has started to decay.
In fact, many students, in addition to public education, are depending on private education especially for mathematics among various subjects. For this reason, it would be significant to consider the actual conditions of private tutoring in mathematics which is at the center of private education. Thus, this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then conducted a survey of 85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ial area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al status of private education, focusing on the aspect of students' awareness such as their expectation towards, and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study seeks to have a grip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private tutoring; to examine how it relates to public education; and to find the right direction that both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should move in. According to these objectiv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he actual conditions of private education which is being implemented for mathematics as of April 2006; second, students' notion of private education for the subject; third, students' opinions of school mathematics classes; and fourth, the investigation on whether 'a comprehensive package of measures for the reduction in private spending on education'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04 has been implemented, and on how students think about it.
As a consequence, 66.2%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were receiving private supplementary tutoring in mathematics, and 78.6%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showing a high dependency on private education. Besides, the reason that a number of students were taking private lessons, most of them pointed out, is due to school education an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private tutoring was likely to affect school education.
Only with the power of the government, includ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impossible to resolve the problems with the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and the private education. In today's increasingly diverse society, instead, all the members of society, such as secondary schools, colleges, citizens' groups, businesses, or the press, as well as the government, should lay their heads together and continue to work in with one another. Hopefully,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which is the aim of the 2008 measure to reform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 system, will show resul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