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술언어의 화행과 문화적 의미자질에 관한 연구 Ⅰ = A Study on speech act of Magical languages and cultural semantic feature (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3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ech act of Magical languages and to qualify cultural semantic feature underlain in the practice.
      Magical languages can be defined as a Language Phenomena or a Language constituent related to magical acts. The studies on Magical languages have been dealt with mainly in literature.
      In the literature, magical languages have been regarded as a creative activity to challenge linguistic limit. However, in this thesis, magical languages are analyzed by a linguistical methodology.
      The first is the approach with the lingua-culture aspect and the second is the approach with the speech act aspect. Language culture is a kind of verbalized culture. In this thesis, the study is made assuming a magical character is a sort of language culture inherent in Korean. Based on the assump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linguistic devices that compose magical acts.
      Focused is this thesis, above all, on the linguistic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literary object of inquiry through the polysemous analysis of concept of Magic, the speech act analysis typically used in magical acts and the analysis on cultural semantic feature composing Magical languages. In doing so, this thesis is suggesting a new paradigm and a direction of Cultural Language Literature(CLL) stud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ech act of Magical languages and to qualify cultural semantic feature underlain in the practice. Magical languages can be defined as a Language Phenomena or a Language constituent related to magical 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ech act of Magical languages and to qualify cultural semantic feature underlain in the practice.
      Magical languages can be defined as a Language Phenomena or a Language constituent related to magical acts. The studies on Magical languages have been dealt with mainly in literature.
      In the literature, magical languages have been regarded as a creative activity to challenge linguistic limit. However, in this thesis, magical languages are analyzed by a linguistical methodology.
      The first is the approach with the lingua-culture aspect and the second is the approach with the speech act aspect. Language culture is a kind of verbalized culture. In this thesis, the study is made assuming a magical character is a sort of language culture inherent in Korean. Based on the assump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linguistic devices that compose magical acts.
      Focused is this thesis, above all, on the linguistic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literary object of inquiry through the polysemous analysis of concept of Magic, the speech act analysis typically used in magical acts and the analysis on cultural semantic feature composing Magical languages. In doing so, this thesis is suggesting a new paradigm and a direction of Cultural Language Literature(CLL)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주술언어의 화행을 분석하고 그 행위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들을 자질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술언어는 주술행위와 관련된 언어현상 내지는 언어요소라고 할 수 있다. 주술언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학에서 이루어져 왔다. 문학에 있어서 주술언어란 언어의 한계적 상황에 도전하는 창작 활동 정도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언어학적 방법론을 통해 주술언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는 언어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고, 둘째는 화행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언어문화란 일종의 언어화된 문화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주술성을 한국어 내재된 일종의 언어문화로 파악하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주술행위를 구성하고 있는 언어적 장치에 대해 분석해 보는 것이 본고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주술’의 개념에 관한 다의적 분석, 주술행위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화행’ 분석, 주술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의미자질 분석 등을 통해 종래의 문학적 탐구 대상을 언어학적으로 재해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문화어문학적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주술언어의 화행을 분석하고 그 행위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들을 자질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술언어는 주술행위와 관련된 언어현상 내지는 언어요소라고 할 수 있다. 주술언어...

      이 연구는 주술언어의 화행을 분석하고 그 행위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들을 자질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술언어는 주술행위와 관련된 언어현상 내지는 언어요소라고 할 수 있다. 주술언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학에서 이루어져 왔다. 문학에 있어서 주술언어란 언어의 한계적 상황에 도전하는 창작 활동 정도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언어학적 방법론을 통해 주술언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는 언어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고, 둘째는 화행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언어문화란 일종의 언어화된 문화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주술성을 한국어 내재된 일종의 언어문화로 파악하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주술행위를 구성하고 있는 언어적 장치에 대해 분석해 보는 것이 본고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주술’의 개념에 관한 다의적 분석, 주술행위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화행’ 분석, 주술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의미자질 분석 등을 통해 종래의 문학적 탐구 대상을 언어학적으로 재해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문화어문학적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희, "향가의 화행론적 연구" 西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 김덕호, "한반도 ‘김치’ 명칭의 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방언학회 (16) : 287-326, 2012

      3 왕한석, "한국의 언어문화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사회언어학회 9-20, 2014

      4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1: 서편" 교문사 2009

      5 김진해,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 -표준어 넘어서기-" 태학사 29-46, 2008

      6 임종성, "한국 현대시와 서정성의 양상" 한국어문교육학회 21 : 343-374, 1999

      7 정명교, "한국 현대시에서 서정성의 확대가 일어나기까지" 한국시학회 (16) : 49-80, 2006

      8 이병혁, "언어사회학에서 본 한국언어문화"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 83-88, 2004

      9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0

      10 박현수, "서정성과 정치적 상상력" 울력 2014

      1 김소희, "향가의 화행론적 연구" 西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 김덕호, "한반도 ‘김치’ 명칭의 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방언학회 (16) : 287-326, 2012

      3 왕한석, "한국의 언어문화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사회언어학회 9-20, 2014

      4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1: 서편" 교문사 2009

      5 김진해,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 -표준어 넘어서기-" 태학사 29-46, 2008

      6 임종성, "한국 현대시와 서정성의 양상" 한국어문교육학회 21 : 343-374, 1999

      7 정명교, "한국 현대시에서 서정성의 확대가 일어나기까지" 한국시학회 (16) : 49-80, 2006

      8 이병혁, "언어사회학에서 본 한국언어문화"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 83-88, 2004

      9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0

      10 박현수, "서정성과 정치적 상상력" 울력 2014

      11 김영석, "새로운 道의 시학" 새미출판사 2006

      12 김은석, "백석 시의 '무속성'과 식민지 무속론-백석 시의 '무속적 상상력'재고" 국어문학회 48 (48): 115-137, 2010

      13 임지룡, "민간 모형의 의미 특성" 한글학회 (294) : 89-123, 2011

      14 김덕호, "문화어문학: 언어문화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의 모색" 한국문학언어학회 (61) : 9-44, 2014

      15 정우락, "문화어문학: 어문학에 대한 문화론적 혁신" 한국문학언어학회 (60) : 9-41, 2014

      16 김하수, "문제로서의 언어 1 : 사회와 언어"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08

      17 김현경, "메가트렌드의 형성요인과 디자인 트렌드 분석: 패션 디자인의 관점과 20세기 후반 디자인 색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8 이주언, "김혜순 시의 주술적 언술 연구 -향가의 주술성 계승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6) : 469-498, 2014

      19 조연향, "김소월·백석 시의 전통성 연구 : 민속 수용 양상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20 홍사만, "국어 의미 분석론" 한국문화사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