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소연, "초등학교 영어·과학 통합 영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2 강혜영, "초등영어 영재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3 한기순, "영재들은 왜 사교육을 받을까?: 초등 영재의 사교육 실태 및 참여 결정요인 분석" 한국영재학회 23 (23): 505-521, 2013
4 우동하, "영재 어린이의 이해와 교육" 학문사 2004
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안(시안) 개발 연구" 2011
6 김형준, "영어 원서 읽기를 활용한 초등 영어 영재학급 운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2011
7 신효상, "스피드 리딩" 북하우스 2007
8 최원경, "델파이 방법을 활용한 영어영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Piirto, J., "Understanding those who create" Ohio Psychology Press 1992
10 Renzulli, J., "Two approaches to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43 : 512-518, 1997
1 김소연, "초등학교 영어·과학 통합 영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2 강혜영, "초등영어 영재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3 한기순, "영재들은 왜 사교육을 받을까?: 초등 영재의 사교육 실태 및 참여 결정요인 분석" 한국영재학회 23 (23): 505-521, 2013
4 우동하, "영재 어린이의 이해와 교육" 학문사 2004
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안(시안) 개발 연구" 2011
6 김형준, "영어 원서 읽기를 활용한 초등 영어 영재학급 운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2011
7 신효상, "스피드 리딩" 북하우스 2007
8 최원경, "델파이 방법을 활용한 영어영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Piirto, J., "Understanding those who create" Ohio Psychology Press 1992
10 Renzulli, J., "Two approaches to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43 : 512-518, 1997
11 Renzulli, J., "The enrichment triad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reative Learning Press 1977
12 Gagne, F., "Giftedness and talent: Reexamining a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s of the dedefinition" 29 : 103-112, 1985
13 Gardener, H.,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Basic Books 1983
14 Feldhusen, J. F.,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Love Publishing Co 85-101, 1984
15 Fox, L. H., "Education for verbally gifted youth" Phi Delta Kappy Educational Foundation 1982
16 VanTassel-Baska, J., "Developing verbal tale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17 Spolsky, B., "Conditions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