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의 동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92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우리나라 근대 도시계획사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이 연구는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도시계획사 연구에 한하여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의 성과를 파악하고, 현 상황을 진단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 도시계획사 연구에서 추가연구가 필요한 측면과 미비된 부분을 논한다.
      본 연구는 크게 4가지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첫째, 도시계획사 초기에 통사적 접근에서 등장한 ‘시기구분론’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고 이 시기구분의 한계를 조명한다. 둘째, 도시계획법제도의 등장과 영향에 관한 세부연구를 소개한다. 셋째, 도시공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화 초기에 진행된 한성부 도시개조와 개항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그 이후 공간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지역과 지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도시계획의 중심인 행위주체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는 몇 가지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대부분 시기별로 개항도시부터 식민지시기까지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지역차원에서 진행된 연구로 서울지역의 연구가 상당히 많고, 지방도시를 대상으로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셋째, 도시계획에 의한 공간변화를 야기한 원인이나 발생 배경에 관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넷째, 조선총독부와 경성부의 시가지계획에 관한 연구에서 일부 연구를 제외하고 각 지역차원에서 실시된 조선총독부와의 연관성 및 해당지역의 시가지계획의 진행과정에 대한 논의는 일부 연구를 제외하고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모든 연구를 포괄하고 소개하지 못한 한계를 갖지만, 우리나라 도시계획사 전개과정과 현황을 파악하는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하여 항후 지속적인 도시계획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기를 소망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우리나라 근대 도시계획사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이 연구는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도시계획사 연구에 한하여 연구의 동...

      본 연구는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우리나라 근대 도시계획사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이 연구는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도시계획사 연구에 한하여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의 성과를 파악하고, 현 상황을 진단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 도시계획사 연구에서 추가연구가 필요한 측면과 미비된 부분을 논한다.
      본 연구는 크게 4가지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첫째, 도시계획사 초기에 통사적 접근에서 등장한 ‘시기구분론’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고 이 시기구분의 한계를 조명한다. 둘째, 도시계획법제도의 등장과 영향에 관한 세부연구를 소개한다. 셋째, 도시공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화 초기에 진행된 한성부 도시개조와 개항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그 이후 공간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지역과 지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도시계획의 중심인 행위주체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는 몇 가지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대부분 시기별로 개항도시부터 식민지시기까지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지역차원에서 진행된 연구로 서울지역의 연구가 상당히 많고, 지방도시를 대상으로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셋째, 도시계획에 의한 공간변화를 야기한 원인이나 발생 배경에 관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넷째, 조선총독부와 경성부의 시가지계획에 관한 연구에서 일부 연구를 제외하고 각 지역차원에서 실시된 조선총독부와의 연관성 및 해당지역의 시가지계획의 진행과정에 대한 논의는 일부 연구를 제외하고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모든 연구를 포괄하고 소개하지 못한 한계를 갖지만, 우리나라 도시계획사 전개과정과 현황을 파악하는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하여 항후 지속적인 도시계획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기를 소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trends of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in Korea from 1980s to now. This study is the first to try to find the flow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in Korea. For the progress of the study, it is classified into various methods as follows. First, it introduces the existing research that deals with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in Korea. Second, it investigated the research that is related to the social and economic factors which caused the spatial changes. Third, it examined the research for the non-Seoul regions, because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were concentrated into the present Seoul region. This study found two distinguishing trends on the research through these processes. Firs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mostly concentrating on the spatial changes until the 1990s. But it has expanded through research on the fundamental causes behind, as well as the results that brought about, the spatial changes after 2000. Second, the research object have diversified into the small cities such as Gunsan, Tongyong etc. recently, before the research has mainly been conducted on major cities such as Seoul, Busan, Gwangju, and Daegu. Though these trends, the main research is localized to the regions. Therefore, it will need further research about the region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trends of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in Korea from 1980s to now. This study is the first to try to find the flow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in Korea. For the progress of the study, it is cla...

      This study explores the trends of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in Korea from 1980s to now. This study is the first to try to find the flow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in Korea. For the progress of the study, it is classified into various methods as follows. First, it introduces the existing research that deals with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in Korea. Second, it investigated the research that is related to the social and economic factors which caused the spatial changes. Third, it examined the research for the non-Seoul regions, because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were concentrated into the present Seoul region. This study found two distinguishing trends on the research through these processes. Firs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mostly concentrating on the spatial changes until the 1990s. But it has expanded through research on the fundamental causes behind, as well as the results that brought about, the spatial changes after 2000. Second, the research object have diversified into the small cities such as Gunsan, Tongyong etc. recently, before the research has mainly been conducted on major cities such as Seoul, Busan, Gwangju, and Daegu. Though these trends, the main research is localized to the regions. Therefore, it will need further research about the reg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한국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의 동향
      • Ⅲ.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한국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의 동향
      • Ⅲ.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경수, "해방이전의 광주행정구획변천에 관한 연구" (1) : 250-270, 1992

      2 김경남, "한말・일제하 부산지역이 도시형성과 공업구조의 특성" (5) : 223-259, 1999

      3 손정목, "한국의 도시화 반세기에 관한 고찰" 21 (21): 19-33, 1986

      4 박형용, "한국의 근대도시계획 형성" (9) : 74-93, 1997

      5 김의원, "한국국토개발사연구" 대학도서 1982

      6 정용국, "한국과 중국의 도시계획제도변천에 관한 비교연구" 139-146, 2003

      7 李明圭, "한국과 일본의 도시계획제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조선시가지계획령과 일본의 (구)도시계획법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8 李明圭, "한국과 일본의 도시계획제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조선시가지계획령과 일본의 (구)도시계획법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9 최상철, "한국 현대도시계획사 시론1~5" 24~27 : 1989

      10 손정목,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1-2" 한울 2005

      1 노경수, "해방이전의 광주행정구획변천에 관한 연구" (1) : 250-270, 1992

      2 김경남, "한말・일제하 부산지역이 도시형성과 공업구조의 특성" (5) : 223-259, 1999

      3 손정목, "한국의 도시화 반세기에 관한 고찰" 21 (21): 19-33, 1986

      4 박형용, "한국의 근대도시계획 형성" (9) : 74-93, 1997

      5 김의원, "한국국토개발사연구" 대학도서 1982

      6 정용국, "한국과 중국의 도시계획제도변천에 관한 비교연구" 139-146, 2003

      7 李明圭, "한국과 일본의 도시계획제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조선시가지계획령과 일본의 (구)도시계획법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8 李明圭, "한국과 일본의 도시계획제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조선시가지계획령과 일본의 (구)도시계획법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9 최상철, "한국 현대도시계획사 시론1~5" 24~27 : 1989

      10 손정목,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1-2" 한울 2005

      11 이송순, "조선총독부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의 분류와 평가" 한국기록학회 (14) : 53-91, 2006

      12 이송순, "조선총독부 도시계획 관련 정책 심의기구 연구 ―조선총독부토목회의와 시가지계획위원회―" 한국사연구회 (134) : 221-264, 2006

      13 이규환, "조선시가지계획령과 서울의 도시개발사업" 16 (16): 181-207, 2002

      14 이규환, "조선시가지계획령과 서울의 도시개발사업" 16 (16): 181-207, 2002

      15 이경찬, "전주시가지 격자형 토지구획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기원론적 고찰" 32 (32): 75-89, 1997

      16 염복규, "전원 도시로 가는 길? - 식민지시기 京城 ‘남산주회도로’의 부설 과정과 의미 -" 도시사학회 (13) : 61-86, 2015

      17 김영근, "일제하 일상생활의 변화와 그 성격에 관한 연구 : 경성의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18 최석주, "일제하 대구부의 도시구조" 10 (10): 143-170, 1990

      19 조정규, "일제하 광주면 향사리 토지이용 변화" 14 (14): 110-112, 2002

      20 염복규, "일제하 경성도시계획의 구상과 시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1 김기호, "일제시대 초기의 도시계획에 대한 연구" (6) : 41-66, 1995

      22 이상민, "일제시기 총독부 기록과 도시계획 기록의 평가 혹은 재평가 - 이론적 쟁점과 평가의 실제 -" 한국기록학회 (14) : 3-52, 2006

      23 박세훈, "일제시기 도시근린조직 연구 경성부의 정회(町會)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19) : 140-161, 2003

      24 염복규, "일제말기 지방․국토계획론과 경인시가지계획" 서울학연구소 (32) : 171-204, 2008

      25 김경남, "일제말 전시체제기 부산 시가지계획의 전개와 그 특질" 부경역사연구소 (20) : 81-122, 2007

      26 염복규, "일제말 경성지역의 빈민주거문제와 ‘시가지계획’: 1920-30년대 초 경성지역의 빈민주거문제" (8) : 125-152, 2002

      27 윤희철, "일제강점기 시가지계획의 수립과정과 집행" 도시사학회 (16) : 71-104, 2016

      28 윤희철, "일제강점기 목포 도시계획의 내용과 특징 - 시구개정과 시가지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1-22, 2013

      29 박선희, "일제강점기 도시공간의 식민지 근대성: 전주를 사례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9 (19): 58-76, 2007

      30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연구" 일지사 1990

      31 김흥순,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에서 나타난 근대성- 조선시가지계획령(朝鮮市街地計劃令)을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8 (8): 155-173, 2007

      32 최석주, "일제강점기 대구의 도시계획" (24) : 68-89, 2005

      33 김재홍, "일제 강점기 통영 도시계획의 배경과 집행과정에 관한 연구" 9 (9): 19-35, 1999

      34 조정규, "일제 강점기 광주 충장로의 토지이용 변화" 12 (12): 53-72, 2000

      35 조정규, "일제 강점기 광주 금남로 지역의 토지이용과 소유의 변화" 7 (7): 1-20, 2001

      36 조정규, "일제 강점기 光州面의 景觀變化에 관한 연구 : 광주면 鄕社里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7 (7): 519-530, 2004

      37 하시야 히로시,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 모티브북 2005

      38 심재만, "인천시가지의 성장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일제치하 1910~1945 간의 변화-" 5 (5): 177-182, 1985

      39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이야기로 듣는 국토・도시계획 반백년" 보성각 2009

      40 양상호, "원산 거류지의 도시공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3 (3): 91-110, 1994

      41 문정희, "우리나라 도시계획법의 변천을 통해 본 도시계획사조" 22 (22): 5-25, 1987

      42 김백영, "왕조 수도로부터 식민도시로 -경성과 도쿄의 시구개정에 대한 비교연구-" 29 (29): 76-102, 2003

      43 김백영, "연구동향: 식민지 시기 한국 도시사 연구의 흐름과 전망" 한국역사연구회 (81) : 395-411, 2011

      44 염복규, "식민지근대의 공간형성 - 근대 서울의 도시계획과 도시공간의 형성, 변용, 확장" (39) : 197-219, 2004

      45 윤현석, "식민지 조선의 지방단체 광주(光州)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46 김백영, "식민지 도시계획을 둘러싼 식민 권력의 균열과 갈등: 1920년대 ‘대경성(大京城)계획’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7) : 84-128, 2005

      47 염복규, "식민지 도시계획과 ‘교외’의 형성 - 1930-40년대 京城 敦岩地區 개발의 사례 -" 역사문화연구소 (46) : 35-64, 2013

      48 윤희철, "시가지계획령(1934-1962)의 성립과 전개에 관한 법제사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49 우승완, "순천의 근대기 도시화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9

      50 전우용, "손정목-한국 도시개발과 도시사 연구의 개척자" (61) : 174-215, 2002

      51 손정목,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1-5 : 서울 격동의 50년과 나의 증언" 한울 2003

      52 박봉진, "부산시 도시내부구조의 변화와 전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4

      53 배미애, "부산시 거주공간분화의 시대사적 함의"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477-494, 2007

      54 예명해, "부산도시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8) : 69-74, 1991

      55 배연한, "부산 영도의 도시경관 변천과정 및 특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125-141, 2013

      56 정소연, "부산 개항장의 주요시설 형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1) : 336-339, 2007

      57 강병기, "목포시의 시가지획지분할・합병에 관한 연혁적 고찰" 24 (24): 131-155, 1989

      58 박종철, "목포 시가지형성과정과 도시계획의 영향" (1) : 135-155, 1989

      59 양상호, "목포 각국 공동거류지의 도시공간의 형성 과정에 관한 고찰" (4) : 113-140, 1995

      60 박찬승, "러일전쟁 이후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확장과정" 역사문화학회 5 (5): 117-164, 2002

      61 정환용, "도시계획학원론" 박영사 2006

      62 이태열, "도시계획법제의 발자취" 17 (17): 66-79, 1982

      63 온영태, "도시계획 관련 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15 : 11-61, 1995

      64 김광우, "대한제국 시대의 도시계획" (50) : 95-122, 1992

      65 최봉문, "대전시의 도시공간구조의 형성에 관한 연혁적 연구(1)" (6) : 95-108, 1998

      66 진원형, "대구시의 도시성장과 신시가지 지역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8 (8): 295-313, 2002

      67 박찬석, "대구 도시계획 소고" 10 (10): 129-140, 1985

      68 내무부 토목국, "내무행정치적사 제4권 3호" 내무부 21-, 1958

      69 백기영, "근현대 한국 도시계획사 시기구분론"

      70 이연경, "근대적 도시가로환경의 형성-1896년~1939년 종로 1,2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11) : 7-36, 2014

      71 "광주도시계획사연구" 1992

      72 민유기, "공간 속의 시간: 유럽, 미국, 동북아 도시사 연구 현황과 전망" 심산 233-240, 2007

      73 김광우, "고신 윤정섭 교수화갑기념논문집 - 한국의 도시연구" 문운당 13-19, 1990

      74 이경아, "경성 동부 문화주택지 개발의 성격과 의미" 서울학연구소 (37) : 47-82, 2009

      75 김종보, "건축법과 도시계획법의 관계" 26 (26): 1998

      76 송석기, "개항도시 목포와 군산의 구도심 공간 형성과정 비교 - 20세기 전반기의 도시 확장과 기능 분포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0 (10): 149-158, 2008

      77 김용하, "개항과 근대항만도시로의 발전" 6 : 387-402, 1996

      78 윤정섭, "韓國의 都市硏究" 韓國의 都市硏究 3-12, 1990

      79 渡邊俊一, "都市計劃の誕生 - 國際比較からみた日本近代都市計劃" 栢書房 1993

      80 片岡安, "都市と建築" 市民業書刊行會 1923

      81 広渡清吾, "現代の都市法" 東京大學 1994

      82 五島寧, "漢城の街路構成に関する研究" 26 : 607-612, 1991

      83 渡邊俊一, "比較都市計劃序說 -イギリス・アメリカの土地利用規制-" 三省堂 1985

      84 五島寧, "朝鮮市街地計劃令の立案過程に関する硏究" 39 (39): 919-924, 2004

      85 越澤 明, "朝鮮半島における土地區劃整理の成立起源" 21 : 115-120, 1986

      86 石田賴房, "日本近現代都市計劃の展開" 自治体硏究社 2004

      87 孫禎睦, "日本統治下朝鮮都市計画史研究" 柏書房 2004

      88 五島寧, "日本統治下京城の近代都市計画導入時期に関する研究" 42 (42): 391-396, 2007

      89 孫禎睦, "日帝强占期都市社會相硏究" ソウル書林 2005

      90 P, Hall, "Urban and regional planning" Routledge 1992

      91 Anthony Sutcliffe, "Towards the planned city -Germany,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1780-1914" Basil Blackwell 163-201, 1981

      92 Shun-Ichi J, Watanabe, "Shaping an Urban World" Mansell 129-144, 1980

      93 Anthony Sutcliffe, "Rise of Modern Urban Planning 1800-1914" Mansell 1980

      94 "NII論文情報ナビゲータ"

      95 Shun-Ichi J, Watanabe, "Metropolis 1890-1940" Mansell 403-429, 1984

      96 김광우, "20세기초 광주시가지형성에 관한 계획사 연구" 29 (29): 125-146, 1994

      97 김하나, "20세기 초 영등포의 도시 변화 및 위상" 서울학연구소 (45) : 29-66, 2011

      98 김하나, "1930년대 전후 공업도시 담론과 영등포의 서울 편입" 도시사학회 (11) : 37-68, 2014

      99 김경남, "1930년대 일제의 도시건설과 부산 시가지계획의 특성" 149-180, 2004

      100 염복규, "1930-40년대 인천지역의 행정구역 확장과 시가지계획의 전개" (6) : 83-105, 2007

      101 이경아, "1920~30년대 경성부의 문화주택지개발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91-200, 2006

      102 박세훈, "1920년대 경성도시계획의 성격: ‘경성도시계획연구회’와 ‘도시계획운동’" (15) : 167-198, 2000

      103 이태진, "1896~1940년 서울 도시개조사업의 주체와 지향성" 37 : 181-206, 1997

      104 이연경, "1885년〜1910년 한성부(漢城府) 내 일본인 거류지의 근대적 위생사업의 시행과 도시 변화" 대한건축학회 28 (28): 215-224,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7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