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미지와 상징성의 이중적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작품 <부재의 충만>시리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ual expression of painting images and symbols : focused on my <Abundance of Absence>se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62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삶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상에 시선을 두고 있어야 한다. 일상은 반복되는 지루한 것이 아니라 나름의 변화를 지니며 개인의 주관과 생활방식에 따른 저마다 고유함을 지닌다. 나아가 정체성을 확립시키며 미래의 나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현실인 일상의 소중함을 잊는다면 행복의 감정은 만나지 못할 것이다.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에 따르면 욕망은 결코 채워지지 않는 것으로 대상의 성취와 함께 또 다른 욕망이 생긴다고 한다. 그리고 응시가 욕망을 만들어 내고 그 응시는 타자 측(on the part of)의 욕망이기에 주체를 부재로 만든다고 한다. 결국 욕망으로 이루어진 이상향으로 온통 시선을 보낼 때, 자신을 의미하는 일상에 대해 의미를 잃어버리게 되고 이것은 자기 상실이 된다.
      본인은 개인적 경험에서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고 그런 생각을 지속하기 위해 일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무심히 지나쳐버리는 일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오히려 일상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부재로 표현하였다. 일상의 이미지는 일상용품이나 일상적인 모습들로 표현되고 있다. 그것들은 고유색이 제거된 채 선으로만 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시선을 온통 빼앗는 욕망의 장인 이상향의 공간은 밝고 화사한 파스텔 색조로 표현된다. 이 공간은 색이 있음에도 오히려 흰색으로 표현된 부재의 공간이 더 부각되게 함으로써 본인이 의도하는 일상에 대한 인식을 유도한다. 주제를 부각시켜 표현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역설적으로 표현함으로서 더욱 시선을 받게 하려는 것이다. 흰색은 완전 소멸과 동시에 물질에 생명을 부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지금 현재 보지 못하여 무의 개념인 흰색으로 표현되었지만 관심을 갖는 순간부터 일상은 생명을 얻어 우리 곁에 있을 것이다.
      본인은 작품과 그에 따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간과 되었던 평범함, 일상이 새롭게 다가옴으로써 특별한 것에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닌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저마다의 의미가 있음을 깨닫게 된 것에 의미를 둔다.
      번역하기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삶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상에 시선을 두고 있어야 한다. 일상은 반복되는 지루한 것이 아니라 나름의 변화를 지니며 개인의 주관과 생활방식에 따른 저마다 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삶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상에 시선을 두고 있어야 한다. 일상은 반복되는 지루한 것이 아니라 나름의 변화를 지니며 개인의 주관과 생활방식에 따른 저마다 고유함을 지닌다. 나아가 정체성을 확립시키며 미래의 나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현실인 일상의 소중함을 잊는다면 행복의 감정은 만나지 못할 것이다.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에 따르면 욕망은 결코 채워지지 않는 것으로 대상의 성취와 함께 또 다른 욕망이 생긴다고 한다. 그리고 응시가 욕망을 만들어 내고 그 응시는 타자 측(on the part of)의 욕망이기에 주체를 부재로 만든다고 한다. 결국 욕망으로 이루어진 이상향으로 온통 시선을 보낼 때, 자신을 의미하는 일상에 대해 의미를 잃어버리게 되고 이것은 자기 상실이 된다.
      본인은 개인적 경험에서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고 그런 생각을 지속하기 위해 일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무심히 지나쳐버리는 일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오히려 일상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부재로 표현하였다. 일상의 이미지는 일상용품이나 일상적인 모습들로 표현되고 있다. 그것들은 고유색이 제거된 채 선으로만 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시선을 온통 빼앗는 욕망의 장인 이상향의 공간은 밝고 화사한 파스텔 색조로 표현된다. 이 공간은 색이 있음에도 오히려 흰색으로 표현된 부재의 공간이 더 부각되게 함으로써 본인이 의도하는 일상에 대한 인식을 유도한다. 주제를 부각시켜 표현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역설적으로 표현함으로서 더욱 시선을 받게 하려는 것이다. 흰색은 완전 소멸과 동시에 물질에 생명을 부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지금 현재 보지 못하여 무의 개념인 흰색으로 표현되었지만 관심을 갖는 순간부터 일상은 생명을 얻어 우리 곁에 있을 것이다.
      본인은 작품과 그에 따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간과 되었던 평범함, 일상이 새롭게 다가옴으로써 특별한 것에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닌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저마다의 의미가 있음을 깨닫게 된 것에 의미를 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live a happy life, we have to pay attention to all the mundane aspects that occupy most of our days. Everyday life is repetitive and/or boring yet we experience change, which produces uniqueness dependent upon our individuality and way of life. Furthermore, these mundane daily events establish our identities and connect us to our future selves. Therefore if we forget the value of the present in our everyday lives, we will not be able to experience happiness.

      According to Jacques Lacan (1901~1981), a desire can never be fulfilled. As soon as that desire is attained, another desire is born. And even a glance creates within us a desire. Since this glance is a desire on the part of others, it makes the subject an absence. In the end when we stare at a Utopian world composed of our desires, we lose the meaning of our everyday lives, which are our essence and this leads to a loss of self.

      I am working on a piece in which people feel the value of everyday lives through personal experience. They add meaning to their everyday lives to maintain the appreciation of daily life. In order to emphasize mundane daily life, I expressed images that represent daily life more as absence than presence. The images of everyday life are expressed with mundane common goods and activities. The shapes are only expressed with lines after removing their individual colors. In contrast to this, the Utopian space, which is a place full of desire that steals all our attention, is expressed with bright, colorful pastel tones. Even though this Utopian space has color, the white space of absence stands out more. I intended this effect to induce the recognition of everyday life. We may use a technique to make the theme stand out, but by choosing a more ironic technique I intended the theme to attract more attention. The color white represents complete extinction, but simultaneously adds a life to objects. The present is expressed with the color white since we don’t see it now. However as soon as we notice and pay attention to it, our everyday life gains a depth, a true life that will stay with us.

      In my artwork and its corresponding research I find its significance in newly approaching so-far-overlooked normal everyday life and realizing that not only special activities but also mundane existing objects and activities have their own meaning.
      번역하기

      In order to live a happy life, we have to pay attention to all the mundane aspects that occupy most of our days. Everyday life is repetitive and/or boring yet we experience change, which produces uniqueness dependent upon our individuality and way of ...

      In order to live a happy life, we have to pay attention to all the mundane aspects that occupy most of our days. Everyday life is repetitive and/or boring yet we experience change, which produces uniqueness dependent upon our individuality and way of life. Furthermore, these mundane daily events establish our identities and connect us to our future selves. Therefore if we forget the value of the present in our everyday lives, we will not be able to experience happiness.

      According to Jacques Lacan (1901~1981), a desire can never be fulfilled. As soon as that desire is attained, another desire is born. And even a glance creates within us a desire. Since this glance is a desire on the part of others, it makes the subject an absence. In the end when we stare at a Utopian world composed of our desires, we lose the meaning of our everyday lives, which are our essence and this leads to a loss of self.

      I am working on a piece in which people feel the value of everyday lives through personal experience. They add meaning to their everyday lives to maintain the appreciation of daily life. In order to emphasize mundane daily life, I expressed images that represent daily life more as absence than presence. The images of everyday life are expressed with mundane common goods and activities. The shapes are only expressed with lines after removing their individual colors. In contrast to this, the Utopian space, which is a place full of desire that steals all our attention, is expressed with bright, colorful pastel tones. Even though this Utopian space has color, the white space of absence stands out more. I intended this effect to induce the recognition of everyday life. We may use a technique to make the theme stand out, but by choosing a more ironic technique I intended the theme to attract more attention. The color white represents complete extinction, but simultaneously adds a life to objects. The present is expressed with the color white since we don’t see it now. However as soon as we notice and pay attention to it, our everyday life gains a depth, a true life that will stay with us.

      In my artwork and its corresponding research I find its significance in newly approaching so-far-overlooked normal everyday life and realizing that not only special activities but also mundane existing objects and activities have their own mea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25
      • Ⅰ. 작품의 형성배경 27
      • 1. 일상 27
      • 2. 바라보기 28
      • Ⅱ. 작품의 내용분석 30
      • 서 론 25
      • Ⅰ. 작품의 형성배경 27
      • 1. 일상 27
      • 2. 바라보기 28
      • Ⅱ. 작품의 내용분석 30
      • 1. 응시와 욕망 30
      • 2. 두 공간의 의미 31
      • 1) 부재(不在) 공간 32
      • 2) 현존(現存) 공간 34
      • Ⅲ. 작품의 형식분석 37
      • 1. 낯설게 하기 37
      • 2. 색채 40
      • 3. 제작방법과 재료 42
      • 결 론 44
      • 참고문헌 45
      • 참고도판 47
      • Abstract 49
      • 부 록 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