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 The recognition and demand of preschool teachers about out-door play : by using photovo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chool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about out-door play,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photovoice method with seven preschool teachers as participants for 1-3 weeks in July 2019. Participants took pictures and interpreted the meaning of the topics 'What is Out-door Play,' 'What is the difficulty of Out-door Play,' and 'How can I solve the difficulties of Out-door Play'. By explaining, interpreting and discussing photographic materials together, researchers and seven preschool teacher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 First, out-door play is 'breathing time' and 'real free play'. Second, the difficulties of out-door play are 'safety over initiative' and 'repeating indifference'. Third, the ways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out-door play are 'time connected by play' and 'joy of diversity'. In conclusion, preschool teachers were willing to understan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outdoor play and activate it in the field. And they were active field researchers who used photovoice metho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chool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about out-door play,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photovoice method with seven preschool teachers as participants for 1-3 weeks in July 2019. Participants t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chool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about out-door play,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photovoice method with seven preschool teachers as participants for 1-3 weeks in July 2019. Participants took pictures and interpreted the meaning of the topics 'What is Out-door Play,' 'What is the difficulty of Out-door Play,' and 'How can I solve the difficulties of Out-door Play'. By explaining, interpreting and discussing photographic materials together, researchers and seven preschool teacher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 First, out-door play is 'breathing time' and 'real free play'. Second, the difficulties of out-door play are 'safety over initiative' and 'repeating indifference'. Third, the ways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out-door play are 'time connected by play' and 'joy of diversity'. In conclusion, preschool teachers were willing to understan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outdoor play and activate it in the field. And they were active field researchers who used photovoice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7명의 유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9년 7월 1-3주 동안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바깥놀이란 무엇인가’, ‘바깥놀이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바깥놀이의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사진을 찍고 그 사진에 대하여 참여자들간에 설명하고 의미와 해석을 논의하는 공유의 시간을 가지면서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첫째, 바깥놀이란 ‘숨쉬는 시간’과 ‘진짜 자유놀이’이며, 둘째, 바깥놀이의 어려움은 ‘주도성보다 안전’ 그리고 ‘무관심의 반복’이고, 셋째, 바깥놀이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놀이로 연결된 시간’과 ‘다양성의 즐거움’으로 요약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들은 바깥놀이의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현장에서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며, 포토보이스 방법론의 적용과정에서 적극적인 실행연구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7명의 유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9년 7월 1-3주 동안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

      본 연구는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7명의 유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9년 7월 1-3주 동안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바깥놀이란 무엇인가’, ‘바깥놀이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바깥놀이의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사진을 찍고 그 사진에 대하여 참여자들간에 설명하고 의미와 해석을 논의하는 공유의 시간을 가지면서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첫째, 바깥놀이란 ‘숨쉬는 시간’과 ‘진짜 자유놀이’이며, 둘째, 바깥놀이의 어려움은 ‘주도성보다 안전’ 그리고 ‘무관심의 반복’이고, 셋째, 바깥놀이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놀이로 연결된 시간’과 ‘다양성의 즐거움’으로 요약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들은 바깥놀이의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현장에서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며, 포토보이스 방법론의 적용과정에서 적극적인 실행연구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환경과학원, "한국 어린이의 노출계수 핸드북"

      2 이재희, "학교사회복지사들이 표현하는 “일과 나”: 포토보이스(Photovoice) 방법론 적용"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3 : 257-280, 2012

      3 안미경, "직장보육 시설의 영아용 실외놀이시설 및 운영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25-244, 2007

      4 유승현, "지역사회 건강증진 연구바업 및 전략으로서의 포토보이스" 32 (32): 77-87, 2015

      5 한국보육진흥원,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통합지표)"

      6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환경 구비 실태 및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51-173, 2004

      7 신은수, "유치원의 실외놀이의 구성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인문학연구소 31 (31): 200-228, 2012

      8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시설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실외놀이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93-112, 2003

      9 강은영, "유치원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83-107, 2018

      10 강은영, "유치원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7

      1 국립환경과학원, "한국 어린이의 노출계수 핸드북"

      2 이재희, "학교사회복지사들이 표현하는 “일과 나”: 포토보이스(Photovoice) 방법론 적용"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3 : 257-280, 2012

      3 안미경, "직장보육 시설의 영아용 실외놀이시설 및 운영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25-244, 2007

      4 유승현, "지역사회 건강증진 연구바업 및 전략으로서의 포토보이스" 32 (32): 77-87, 2015

      5 한국보육진흥원,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통합지표)"

      6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환경 구비 실태 및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51-173, 2004

      7 신은수, "유치원의 실외놀이의 구성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인문학연구소 31 (31): 200-228, 2012

      8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시설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실외놀이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93-112, 2003

      9 강은영, "유치원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83-107, 2018

      10 강은영, "유치원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7

      11 김정수, "유치원 실외놀이의 시설 및 운영 실태 : 서울시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황양선, "유치원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실태"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3 이선애, "유아의 바깥놀이 활성화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153-171, 2019

      14 양옥승, "유아의 관점에서 본 자유놀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43-165, 2002

      15 오연주, "유아를 위한 실외 자유선택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11 (11): 59-81, 2010

      16 류경화,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시설 및 설비에 관한 조사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14 (14): 85-100, 2005

      17 이상은,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활성화를 위한 기초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8 이경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9 이명덕,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0 김수경,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실태에 관한 양적·질적 분석 : 생태유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한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21 김은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실외놀이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7-52, 2012

      22 김은미, "영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271-286, 2005

      23 한국보육진흥원, "어린이집 평가매뉴얼(어린이집용)"

      24 강승희, "어린이집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 (20): 309-322, 2008

      25 오경숙, "실외놀이 유무와 유아 스트레스 행동" 10 (10): 81-98, 2009

      26 나귀옥, "실외놀이 개선을 위한 자연적 공간에서 교사와 유아의 공동구성에 대한 실행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43-68, 2014

      27 유정선, "서울시 사립유치원의 실외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 교육과학연구소 35 (35): 39-57, 2004

      28 정수영, "생태지향 유아교육에 기초한 바깥활동 실태 및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9 이재희, "사진으로 소통하며 소아암 완치자의 외상 경험 치유하기" 한국백혈명어린이재단 2014

      30 임부연,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진짜 재미있는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85-209, 2008

      31 최목화, "보육시설의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9 (19): 203-214, 2010

      32 이희경, "보육시설의 실외놀이 실태 조사연구 – 부천시 공립보육시설을 중심으로" 9 : 171-191, 2006

      33 문경미, "바깥놀이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태도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89-115, 2011

      34 육희연, "바깥놀이에 대한 M어린이집 교사들의 생각"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5 박희숙, "바깥놀이 바로 알기" 창지사 2014

      36 조성은, "만 5세 유아 바깥놀이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실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7 김정희, "만 3세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8 이명희,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바깥놀이에 대한 학부모 인식"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6

      39 한보라,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 실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47-68, 2013

      40 고선아,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바깥놀이의 의미와 활성화 방안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75-901, 2019

      41 김희진, "놀이의 관점에서 본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5-23, 2017

      42 경기도유아교육진흥원, "경기도 유치원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환경 및 운영 실태 조사" 2013

      43 Kravtsov, G. G., "Play, in L., S. Vygotsky’s nonclassical psychology" 48 (48): 25-41, 2010

      44 Baker, T. A., "Photovoice : Use of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chronic pain experience in older adults" 16 (16): 1405-1413, 2006

      45 Wang, C. C., "Photovoice : Concept, methodology, and use for participatory needs assessment" 24 (24): 369-387, 1997

      46 Wang, C. C., "Photovoice :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trategy applied to women’s health" 8 (8): 185-192, 1999

      47 Thomas, F., "Outdoor provision in the early years" Sage 12-22, 2011

      48 Macgraw, L., "Outdoor provision in the early years" Sage 23-34, 2011

      49 Little, H., "Outdoor play: Does avoiding the risks reduce the benefits?" 33 (33): 33-40, 2008

      50 Casey, T., "Environments for outdoor play: A practical guide to making space for children" Sage 2007

      51 Hendricks, B. E., "Designing for play" Ashgate 2001

      52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53 교육부, "2019 개정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54 교육부, "2019 개정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55 보건복지부, "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40인 이상 어린이집)"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