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평생교육은 시대적․사회적 변화를 배경으로 국가․사회․개인 모두에게 필요성이 요청되면서 실제적이고 정책적인 관심의 증가와 함께 우리의 삶 속에서 급격히 확장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61202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 평생교육학과 , 2011.2
2011
-
378.1 판사항(5)
서울
A Study on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lifelong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endogenous theory of education
154p.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평생교육은 시대적․사회적 변화를 배경으로 국가․사회․개인 모두에게 필요성이 요청되면서 실제적이고 정책적인 관심의 증가와 함께 우리의 삶 속에서 급격히 확장되...
현재 평생교육은 시대적․사회적 변화를 배경으로 국가․사회․개인 모두에게 필요성이 요청되면서 실제적이고 정책적인 관심의 증가와 함께 우리의 삶 속에서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에 대한 관심과 발전만큼 평생교육에 관한 학문적 영역의 발전은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이론적 관점이 대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평생교육영역에서의 학문이 실제에 비추어 보아 지체되어 있음은 평생교육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 또한 지체되어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평생교육의 발전만이 아닌 평생교육학의 발전이 시급히 요청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그 담론의 수준과 학문적 노력은 아쉬운 상황이다. 평생교육이 안고 있는 학문적 정체성과 개념 혼란이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그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많은 부분 용어와 관련된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 용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론적 배경이 원인이라는 생각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평생교육론 안에는 사회교육, 성인교육, 평생학습이라는 세 개의 관점이 역사적 배경과 함께 큰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각 관점은 평생교육론에 내재하면서 평생교육에 관한 학문적 정체성과 개념혼란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 각 관점은 그들의 개념이 안고 있는 문제도 청산하지 못한 채 평생교육과 깊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연쇄적으로 평생교육학에 또 다른 문제와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세 가지 관점의 역사적 배경과 각 개념이 지닌 문제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평생교육 개념정의의 분석을 통해 세 가지 관점이 평생교육론에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각 관점의 영향으로 드러나는 평생교육학의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평생교육의 개념과 논의는 상당부분 평생교육 고유의 현상에 집중하지 못하고, 상식과 제도 그리고 타학문의 관점에 의존해 있는 상태이다. 제1기 교육학의 오류와 더불어 실제보다 뒤쳐진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실천은 교육에 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이어져 교육, 학습, 평생교육, 평생학습 간의 의미구분이 모호한 상황에서 혼재된 양상을 보이며 학습중심의 이분법적 사고의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비롯되는 평생교육론의 학문적 정체성 문제와 개념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에 관한 인식의 전환과 타학문의 관점을 배제하려는 자세가 요구된다. 또한 평생교육의 구조 탐색을 지향하는 가운데 고유한 평생교육이론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학문의 세계에 진입하기에 적합한 태도의 전환에 성공한 평생교육학자를 통해 이루어질 확률이 크다.
본 연구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적용된 방법은 ‘교육본위론’의 관점이다. 교육본위론은 일찍부터 ‘교육=학교태’라는 상식을 뛰어넘어 교육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 없이 삶의 어느 곳에나 편재되어 있는 고유한 세계임을 가정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관점과 개념에 따른 자율적인 교육학 정립을 위한 학문적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 요청되는 조건들을 갖추게 되었다는 점에서 평생교육학 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학의 고유한 관점이라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the rapid chang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ever increase in our lives, asking for the relevant policies and practices. However, the academic support for them is not as much satisfactory as what has bee...
Along with the rapid chang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ever increase in our lives, asking for the relevant policies and practices. However, the academic support for them is not as much satisfactory as what has been required to cover actual interest and development. Since theoretical perspectives influence our perception on the an objects of interest, the relative standstill of the academic scope of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object of close examinations. This study is a part of it.
The main problem lies in the lack of academic identity and conceptual confusion, which are basically originated from the shortcoming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urrent theories of lifelong education consist of the three major areas of social education,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each of them causing confusion in the academic identity and conception in their own variation.
Based on this general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related to such three perspectives, and tried to find the resulting problems and their causes. An analysis of the definitions of lifelong education was made to verify the inheritance of the three perspectives and thereafter showed the conceptual problems each of which has. The overall problems are found to be caused in the dependence on the areas of the common sense, institutional establishments and other fields of studies, failing to focus on the intrinsic phenomena of lifelong education itself.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 entirely new independent approach needs to be taken by which we can accomplish a conceptual conversion and eliminate the academic perspectives borrowed from other studies. The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new theories proper to lifelong education, which try to capture the phenomenon as a whole. All these efforts may be successfully implemented by the scholars of lifelong education who first of all succeeded in inducing the attitudinal conversion appropriate to the entry into academic learning.
Finally, this study examined a theory which is recently proposed along this line. It broke from the conventional idea of "education = schooling" and is called as the endogenous theory of education in that it tries to avoid traditional conceptual dependence on other areas of academic disciplines. Employing new concepts and vocabularies, it depicts a new world of education that is ubiquitous in our daily live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place. It is expected that the new perspectives and ideas can make the discussions of lifelong education less ambiguous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its unique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