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은정, "환경 프로그램참여자의 자연에대한 심리 태도 수준 변화와 프로그램 평가" 15 (15): 73-78, 2011
2 김기봉,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임광심, "초등학교 학생 및 교사의 환경인식 유형 연구 -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169-191, 2008
4 송형섭, "지역주민의 자연환경태도 수준이 휴양림 개발 지각에 미치는 영향" 88 (88): 205-212, 1999
5 여호근, "지속 가능한 관광에 대한 환경인식에 따른 관광태도 차이"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2 (12): 69-84, 2003
6 한상열, "지리산 반달곰의 보존가치의 평가를 위한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의 적용" 8 (8): 1-10, 2000
7 정철, "중학생의 환경세계관과 환경의식" 한국환경교육학회 17 (17): 122-132, 2004
8 강병재, "유치원 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39-57, 2015
9 이두현, "유아숲체험원 조성과운영개선방안연구: 용인시 유아숲체험원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건설대학원 2017
10 박정미,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 이은정, "환경 프로그램참여자의 자연에대한 심리 태도 수준 변화와 프로그램 평가" 15 (15): 73-78, 2011
2 김기봉,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임광심, "초등학교 학생 및 교사의 환경인식 유형 연구 -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169-191, 2008
4 송형섭, "지역주민의 자연환경태도 수준이 휴양림 개발 지각에 미치는 영향" 88 (88): 205-212, 1999
5 여호근, "지속 가능한 관광에 대한 환경인식에 따른 관광태도 차이"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2 (12): 69-84, 2003
6 한상열, "지리산 반달곰의 보존가치의 평가를 위한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의 적용" 8 (8): 1-10, 2000
7 정철, "중학생의 환경세계관과 환경의식" 한국환경교육학회 17 (17): 122-132, 2004
8 강병재, "유치원 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39-57, 2015
9 이두현, "유아숲체험원 조성과운영개선방안연구: 용인시 유아숲체험원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건설대학원 2017
10 박정미,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은선, "유아교사의 환경관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2 김은성, "유아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자아탄력성, 감성지능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13 서은경, "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한 유아숲체험원 교육의 개선 방안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14 금지헌,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NEP Scale의 타당화"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40-52, 2009
15 류재숙, "올레길 방문객의 환경인식에 따른 자연친화적 관광태도에 관한 연구 - 신환경패러다임(NEP)척도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0 (20): 139-150, 2010
16 한지훈, "여가활동 관여도와 장소애착, 만족도, 장소로열티의 구조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17 유진희, "어린이집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자연친화교육에대한 인식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6
18 하시연, "숲해설가 양성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9 임재택,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57-85, 2012
20 배은주, "숲 유치원 교사와 일반 유아교육 기관 교사의 환경 친화적 교육 태도 및 교사교육 요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1 이소윤, "사찰 방문 관광객의 자연에 대한 심리태도 연구" 한국관광학회 35 (35): 105-124, 2011
22 윤설민, "북악산 서울성곽 방문객의 문화유산 인식에 관한 연구: 수정된 신환경패러다임 척도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133-150, 2010
23 김진동, "대학생의 환경관과 환경행동: 관광과목 수강자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28 (28): 357-375, 2005
24 Dunlap, R. E.,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9 (9): 10-19, 1978
25 Johnson, B., "The 2-MEV scale in the United States: a measure of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s based on the theory of ecological attitude" 42 (42): 84-97, 2010
26 Ruttan, V. W, "Productivity growth in world agriculture:sources and constraints" 16 (16): 161-184, 2002
27 Dunlap, R. E., "New trends in measuring environmental attitudes: measuring endorsement of the new ecological paradigm: a revised NEP scale" 56 (56): 425-442, 2000
28 Milbrath, L. W., "Environmentalists: Vanguard for a New Society" Suny Press 1984
29 Esa, N.,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student teachers" 19 (19): 39-50, 2010
30 Ryan, M. G,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plant respiration" 1 (1): 157-167, 1991
31 Taskin, H, "Effect of circuit training on the sprint-agility and anaerobic endurance" 23 (23): 1803-1810, 2009
32 Schetz, M, "Drug dosing in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general rules" 13 (13): 645-651, 2007
33 손수희, "DMZ 관광지의 지각된 가치가 지속가능성 및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 신 환경 패러다임(NEP)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34 정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방안"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1 (1): 33-4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