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신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유아숲 지도사들의 인식조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 on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62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enrolled at the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The NEP tool, developed and modified by Dunlap and VanLiere in 2000, was used to investigate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To measur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the tool developed by Kang Byeong-jae and Kim Kyung-soo (2015) for kindergarten teachers was adapted to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by revising the terminolog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 had an ecologically oriented perspective and that the overall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 was high. As a result of the study of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an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s based on individual variables,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Due to the study of the impact on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s by dividing individual variables into age, growth region, career and training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age, career and train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s.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had an effect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enro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enrolled at the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The NEP tool, developed and modified by Dunlap and VanLiere in 2000, was used to investigate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To measur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the tool developed by Kang Byeong-jae and Kim Kyung-soo (2015) for kindergarten teachers was adapted to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by revising the terminolog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 had an ecologically oriented perspective and that the overall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 was high. As a result of the study of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an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s based on individual variables,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Due to the study of the impact on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s by dividing individual variables into age, growth region, career and training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age, career and train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s.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had an effect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teaching attitu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신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유아숲 지도사들의 인식이 자연친화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산림복지진흥원에 등록된 유아숲 지도사 중 133명이 참여하였다. 유아숲 지도사들의 신 환경 패러다임을 살펴보기 위해 Dunlap과 VanLiere가 2000년도에 개발되어 보완된 NEP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숲 지도사의 자연친화 교수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강병재와 김경수(2015)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유아숲 지도사들에게 맞게 용어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유아숲 지도사들은 생태중심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자연친화 교수태도는 높게 나타났다. 유아숲 지도사들이 개인 변인에 따른 신 환경 패러다임 인식과 자연친화 교수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숲 지도사들의 개인 변인은 신 환경 패러다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인변인을 연령, 성장지역, 경력, 연수경험으로 나누어 자연친화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경력, 연수 경험이 자연친화 교수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숲 지도사들의 신 환경 패러다임은 자연친화 교수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신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유아숲 지도사들의 인식이 자연친화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산림복지진흥원에 등록된 유아숲 지도사 중 1...

      본 연구는 신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유아숲 지도사들의 인식이 자연친화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산림복지진흥원에 등록된 유아숲 지도사 중 133명이 참여하였다. 유아숲 지도사들의 신 환경 패러다임을 살펴보기 위해 Dunlap과 VanLiere가 2000년도에 개발되어 보완된 NEP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숲 지도사의 자연친화 교수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강병재와 김경수(2015)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유아숲 지도사들에게 맞게 용어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유아숲 지도사들은 생태중심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자연친화 교수태도는 높게 나타났다. 유아숲 지도사들이 개인 변인에 따른 신 환경 패러다임 인식과 자연친화 교수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숲 지도사들의 개인 변인은 신 환경 패러다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인변인을 연령, 성장지역, 경력, 연수경험으로 나누어 자연친화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경력, 연수 경험이 자연친화 교수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숲 지도사들의 신 환경 패러다임은 자연친화 교수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정, "환경 프로그램참여자의 자연에대한 심리 태도 수준 변화와 프로그램 평가" 15 (15): 73-78, 2011

      2 김기봉,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임광심, "초등학교 학생 및 교사의 환경인식 유형 연구 -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169-191, 2008

      4 송형섭, "지역주민의 자연환경태도 수준이 휴양림 개발 지각에 미치는 영향" 88 (88): 205-212, 1999

      5 여호근, "지속 가능한 관광에 대한 환경인식에 따른 관광태도 차이"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2 (12): 69-84, 2003

      6 한상열, "지리산 반달곰의 보존가치의 평가를 위한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의 적용" 8 (8): 1-10, 2000

      7 정철, "중학생의 환경세계관과 환경의식" 한국환경교육학회 17 (17): 122-132, 2004

      8 강병재, "유치원 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39-57, 2015

      9 이두현, "유아숲체험원 조성과운영개선방안연구: 용인시 유아숲체험원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건설대학원 2017

      10 박정미,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 이은정, "환경 프로그램참여자의 자연에대한 심리 태도 수준 변화와 프로그램 평가" 15 (15): 73-78, 2011

      2 김기봉,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임광심, "초등학교 학생 및 교사의 환경인식 유형 연구 -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169-191, 2008

      4 송형섭, "지역주민의 자연환경태도 수준이 휴양림 개발 지각에 미치는 영향" 88 (88): 205-212, 1999

      5 여호근, "지속 가능한 관광에 대한 환경인식에 따른 관광태도 차이"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2 (12): 69-84, 2003

      6 한상열, "지리산 반달곰의 보존가치의 평가를 위한 Turnbull 분포무관모형의 적용" 8 (8): 1-10, 2000

      7 정철, "중학생의 환경세계관과 환경의식" 한국환경교육학회 17 (17): 122-132, 2004

      8 강병재, "유치원 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39-57, 2015

      9 이두현, "유아숲체험원 조성과운영개선방안연구: 용인시 유아숲체험원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건설대학원 2017

      10 박정미,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은선, "유아교사의 환경관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2 김은성, "유아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자아탄력성, 감성지능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13 서은경, "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한 유아숲체험원 교육의 개선 방안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14 금지헌,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NEP Scale의 타당화"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40-52, 2009

      15 류재숙, "올레길 방문객의 환경인식에 따른 자연친화적 관광태도에 관한 연구 - 신환경패러다임(NEP)척도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0 (20): 139-150, 2010

      16 한지훈, "여가활동 관여도와 장소애착, 만족도, 장소로열티의 구조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17 유진희, "어린이집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자연친화교육에대한 인식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6

      18 하시연, "숲해설가 양성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9 임재택,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57-85, 2012

      20 배은주, "숲 유치원 교사와 일반 유아교육 기관 교사의 환경 친화적 교육 태도 및 교사교육 요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1 이소윤, "사찰 방문 관광객의 자연에 대한 심리태도 연구" 한국관광학회 35 (35): 105-124, 2011

      22 윤설민, "북악산 서울성곽 방문객의 문화유산 인식에 관한 연구: 수정된 신환경패러다임 척도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133-150, 2010

      23 김진동, "대학생의 환경관과 환경행동: 관광과목 수강자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28 (28): 357-375, 2005

      24 Dunlap, R. E.,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9 (9): 10-19, 1978

      25 Johnson, B., "The 2-MEV scale in the United States: a measure of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s based on the theory of ecological attitude" 42 (42): 84-97, 2010

      26 Ruttan, V. W, "Productivity growth in world agriculture:sources and constraints" 16 (16): 161-184, 2002

      27 Dunlap, R. E., "New trends in measuring environmental attitudes: measuring endorsement of the new ecological paradigm: a revised NEP scale" 56 (56): 425-442, 2000

      28 Milbrath, L. W., "Environmentalists: Vanguard for a New Society" Suny Press 1984

      29 Esa, N.,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student teachers" 19 (19): 39-50, 2010

      30 Ryan, M. G,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plant respiration" 1 (1): 157-167, 1991

      31 Taskin, H, "Effect of circuit training on the sprint-agility and anaerobic endurance" 23 (23): 1803-1810, 2009

      32 Schetz, M, "Drug dosing in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general rules" 13 (13): 645-651, 2007

      33 손수희, "DMZ 관광지의 지각된 가치가 지속가능성 및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 신 환경 패러다임(NEP)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34 정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방안"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1 (1): 33-4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