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73701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주대학교 대학원 , 체육학과 , 2023.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4.692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 형태사항

        x, 135 p. : 삽화, 표 ; 27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홍성택
        부록: 설문지(국문, 중문)
        참고문헌: p. 102-112

      • UCI식별코드

        I804:45016-200000674282

      • 소장기관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life skill of University Students by exploring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 four ways.
      First,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s are analyzed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n China and Korea. With the variables of gender, age, grade,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respectivel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s explored. So,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30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eollabuk-d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for Korean subjects, while 45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iangsu Province, Yangju University, and Nanjing University were selected as Chinese subjects.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us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analysis,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Scheffé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quation structure models as spss26.0 program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Among them, 642 cases (231 cases in Korea and 411 cases in China) are used excluding invalid answer data.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go-resili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level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mong them,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m, cause analysis, relationship, empathy, communication, and emotional control, which are sub-factor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classified, explained, and analyzed by country. As a result of the variance analysis of gender, age, grade,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of them,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differ significantly in physical self-concept, but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gender differences only in physical self-concept.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grade, nationality), regression analysis shows a positive predictive effect 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Third,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and this mediating effect includes three paths. There is one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respectively, and one sequenc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owever, in the sequence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ego-resilience is more significant than physical self-concept. It was found that the mor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in the physical self-concep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course, the better their awareness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ego-resilience will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life skill is evident. In other words, the ego-resilience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This study observes the collectiv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the two groups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life skill master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n the impa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on life skill are proved and the importance of ego-resilience to acquire life skill is verified. I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give implications for training practitioners. In addi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s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rovides data support for students' mental health.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life skill of University Students by exploring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ir participat...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life skill of University Students by exploring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 four ways.
      First,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s are analyzed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n China and Korea. With the variables of gender, age, grade,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respectivel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s explored. So,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30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eollabuk-d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for Korean subjects, while 45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iangsu Province, Yangju University, and Nanjing University were selected as Chinese subjects.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us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analysis,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Scheffé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quation structure models as spss26.0 program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Among them, 642 cases (231 cases in Korea and 411 cases in China) are used excluding invalid answer data.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go-resili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level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mong them,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m, cause analysis, relationship, empathy, communication, and emotional control, which are sub-factor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classified, explained, and analyzed by country. As a result of the variance analysis of gender, age, grade,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of them,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differ significantly in physical self-concept, but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gender differences only in physical self-concept.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grade, nationality), regression analysis shows a positive predictive effect 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Third,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and this mediating effect includes three paths. There is one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respectively, and one sequenc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owever, in the sequence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ego-resilience is more significant than physical self-concept. It was found that the mor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in the physical self-concep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course, the better their awareness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ego-resilience will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life skill is evident. In other words, the ego-resilience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This study observes the collectiv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the two groups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life skill master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n the impa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on life skill are proved and the importance of ego-resilience to acquire life skill is verified. I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give implications for training practitioners. In addi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s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rovides data support for students' mental heal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과의 상관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매개 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삶의 라이프 스킬 수준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지도 전략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과 한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분석했다. 성별, 연령, 학년, 교양 참여 정도에 따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둘째,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셋째,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이를 위한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전주대학교와 전북대학교 그리고 전주교육대학교 총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3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중국에서는 장쑤성 소재의 태주대학교와 양주대학교 그리고 난징공과대학교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45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SS26.0 프로그램으로 빈도 분석, 탐색 분석, t검정, 일원 분산 분석, Scheffé 검증, 상관 분석, 다중 회귀 분석 및 방정식 구조 모델을 사용하여 매개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했다. 이 중 불성실 답변 자료를 제외한 642면(한국 231면, 중국 411면)의 분석 자료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서는 차이 있었는데,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중 하위요인인 생활만족도와 낙관성, 원인분석력,관계성,공감능력,커뮤니케이션능력,감정통제력에서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을 분리하여 국가별로 설명하고 분석을 전개했다.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성별, 연령, 학년, 교양수업 참여도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 참여 수량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 모두 차이를 보였는데, 중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성별과 학년의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는 연령의 차이를 보였으나, 한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만 성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배경 변수(성별, 연령, 학년, 국적)의 영향을 통제한 후 회귀분석 결과 교양체육 참가정 도는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 대해 긍정적인 예측 효과를 보였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의 매개 효과를 가지며, 이 매개 효과는 3개의 경로를 포함한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병렬 매개 효과 각각 1개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서열 매개효과 또는 시퀀스 매개 효과 1개이다. 그러나 서열매개 효과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보다 자아탄력성의 효과가 더 중요하다. 대학생이 교양체육과정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에 참여할수록 교양체육 참가정도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고 자아탄력성이 풍부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서열 매개 효과를 각각 검증한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경우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매개 효과를 갖는다.
      본 연구는 교양체육 교육과정에 참여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집단적 차이를 관찰하였다. 라이프 스킬 숙달의 집단 특성을 밝히고, 교양체육의 교육 과정 참여가 라이프 스킬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라이프 스킬 습득을 위한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발견했다. 이것은 교육 실무자에게 참조 값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논문은 교양체육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관점을 비교하고,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자료 지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과의 상관관계에서 신체...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과의 상관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매개 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삶의 라이프 스킬 수준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지도 전략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과 한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분석했다. 성별, 연령, 학년, 교양 참여 정도에 따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둘째,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셋째,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이를 위한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전주대학교와 전북대학교 그리고 전주교육대학교 총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3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중국에서는 장쑤성 소재의 태주대학교와 양주대학교 그리고 난징공과대학교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45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SS26.0 프로그램으로 빈도 분석, 탐색 분석, t검정, 일원 분산 분석, Scheffé 검증, 상관 분석, 다중 회귀 분석 및 방정식 구조 모델을 사용하여 매개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했다. 이 중 불성실 답변 자료를 제외한 642면(한국 231면, 중국 411면)의 분석 자료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서는 차이 있었는데,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중 하위요인인 생활만족도와 낙관성, 원인분석력,관계성,공감능력,커뮤니케이션능력,감정통제력에서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을 분리하여 국가별로 설명하고 분석을 전개했다.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성별, 연령, 학년, 교양수업 참여도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 참여 수량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 모두 차이를 보였는데, 중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성별과 학년의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는 연령의 차이를 보였으나, 한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만 성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배경 변수(성별, 연령, 학년, 국적)의 영향을 통제한 후 회귀분석 결과 교양체육 참가정 도는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 대해 긍정적인 예측 효과를 보였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의 매개 효과를 가지며, 이 매개 효과는 3개의 경로를 포함한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병렬 매개 효과 각각 1개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서열 매개효과 또는 시퀀스 매개 효과 1개이다. 그러나 서열매개 효과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보다 자아탄력성의 효과가 더 중요하다. 대학생이 교양체육과정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에 참여할수록 교양체육 참가정도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고 자아탄력성이 풍부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서열 매개 효과를 각각 검증한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경우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매개 효과를 갖는다.
      본 연구는 교양체육 교육과정에 참여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집단적 차이를 관찰하였다. 라이프 스킬 숙달의 집단 특성을 밝히고, 교양체육의 교육 과정 참여가 라이프 스킬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라이프 스킬 습득을 위한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발견했다. 이것은 교육 실무자에게 참조 값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논문은 교양체육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관점을 비교하고,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자료 지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변인 및 연구모형 5
      • 3. 연구 가설 7
      • 4. 연구 중점 8
      • 5. 연구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신체적 자기개념 11
      • 1) 신체적 자기개념의 정의 11
      • 2) 신체적 자기개념의 구성요인 14
      • 2. 자아탄력성 15
      • 1) 자아탄력성 15
      • 2)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인 17
      • 3) 자아탄력성의 선행 연구 18
      • 3. 라이프 스킬 20
      • 1) 라이프 스킬의 정의 20
      • 2) 라이프 스킬의 구성요인 22
      • 3) 스포츠를 통한 라이프 스킬 24
      • Ⅲ. 연구 방법 26
      • 1. 연구대상 26
      • 2. 연구 도구 28
      • 1) 신체적 자기개념 28
      • 2) 자아탄력성 28
      • 3) 라이프 스킬 29
      • 3.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30
      • 1)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31
      • 2) 자아탄력성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33
      • 3) 자아탄력성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35
      • 4. 자료처리 방법 36
      • Ⅳ. 연구결과 38
      • 1.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연구변인들의 차이 38
      • 2. 대학생의 교양 체육 참여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 및 라이프 스킬의 상관과 회귀분석 64
      • 3. 교양체육 참여 정도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및 라이프 스킬의 구조적 모형 70
      • Ⅴ. 논의
      •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 비교 83
      • 2.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여 학기수량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및 라이프 스킬 간 상관관계 88
      • 3.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및 라이프 스킬과의 인과관계 95
      • VI. 결론 및 제언
      • 1. 결론 99
      • 2. 제언 100
      • 참고 문헌 102
      • Abstract 113
      • 설문지 117
      • 감사의 글 1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