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상호작용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 Phenomenological case study on Theraplay?? Interaction of a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4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발달지연 청소년이 타인(자)과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지각하고 의미화 하는지를 치료놀이의 맥락과 내부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려고 한 현상학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발달지연...

      본 연구는 발달지연 청소년이 타인(자)과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지각하고 의미화 하는지를 치료놀이의 맥락과 내부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려고 한 현상학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을 상호주관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상호작용의 특성을 파악하여 발달지연 청소년의 욕구에 더 적합한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성호르몬의 변화 및 감정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한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접근을 통해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과 특성을 살펴 청소년의 긍정적 변화를 돕는 상호작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천착하였다. 질적 연구의 지향인 실험적 접근으로 수행된 본 연구는 상호작용이 ‘행위와 행위의 교환’, ‘행위와 반응의 연속’, ‘몸과 살의 교차’라는 개념과 연결 지어 상호주관적 관점에서 발달지연 청소년과 치료사가 각각 주체가 되어 기술되었다. 치료놀이 상황에서 각 주체의 행위, 반응, 몸, 살이 어떻게 구성되고 해체되고 다시 구성되며 또 해체되느냐에 따라 그 상호작용의 맥락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은 치료놀이에서 많이 하는 7가지 활동들을 중심으로 발달지연 청소년의 입장, 치료사의 입장을 각기 1인칭으로 기술하였다. 같은 치료놀이 활동을, 각기 다른 주체의 관점에 따라 함께 구성하는 상호작용의 맥락을 통해 발달지연 청소년의 상호작용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치료놀이 상호작용은 ‘함께 있는 상태’에서 하는 ‘조율의 과정’이었다. 더불어 치료사와 청소년 간 상호주체적 만남의 지속적인 교차였다. 발달지연 청소년의 심리치료적 상호작용에서는 ‘경계짓기’와 ‘재미’ 역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about Theraplay?? interaction of a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It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articipant s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raplay??. This study aimed to build a better envir...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about Theraplay?? interaction of a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It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articipant s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raplay??. This study aimed to build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based on the deep understanding of him who has suffered from hormone change and emotion-regulation through intersubjectivity between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According to new trends in qualitative methodologies, this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It also analyzed and interpreted by the notions of interaction like exchange of action-action , sequences of action-reaction-action , chiasma between Leib and corps after the thick description of Theraplay?? with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Especiall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have been revealed based on seven activities of Theraplay??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raplay?? context and distinctions are below. Theraplay?? interaction means attune process condition of being with. Moreover, repeated chiasma of intersubjectivity. Also, building boundaries and fun for the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is very significa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이론적 배경 방 법 결 과 논 의
      • 이론적 배경 방 법 결 과 논 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은진, "한부모가정 느린학습자 아동에게 적용한 생태학적 접근: 치료놀이와 발달영역별 중재 중심의 사례연구" 한국발달지원학회 10 (10): 217-242, 2021

      2 서덕희, "하나의 매듭으로부터 인드라망 속으로: 사례-되기, 사례 연구자-되기" 8 : 19-38, 2020

      3 이종신, "통합보육시설의 장애아와 비장애아 어머니 역할행동 비교연구 : 내외통제성,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4 신현정, "치료놀이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5 Booth, P. B., "치료놀이" 학지사 2011

      6 이우경, "청소년을 위한 마음챙김 기술" 학지사 2021

      7 이미리, "청소년 심리 및 상담" 학지사 2019

      8 신현정,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아동의사회적 상호작용 탐색: 감정과 행동에 대한 뇌신경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지원학회 8 (8): 1-22, 2019

      9 조용환,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한국교육인류학회 7 (7): 55-75, 2004

      10 조용환, "질적 연구논문의 작성과 평가"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11

      1 류은진, "한부모가정 느린학습자 아동에게 적용한 생태학적 접근: 치료놀이와 발달영역별 중재 중심의 사례연구" 한국발달지원학회 10 (10): 217-242, 2021

      2 서덕희, "하나의 매듭으로부터 인드라망 속으로: 사례-되기, 사례 연구자-되기" 8 : 19-38, 2020

      3 이종신, "통합보육시설의 장애아와 비장애아 어머니 역할행동 비교연구 : 내외통제성,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4 신현정, "치료놀이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5 Booth, P. B., "치료놀이" 학지사 2011

      6 이우경, "청소년을 위한 마음챙김 기술" 학지사 2021

      7 이미리, "청소년 심리 및 상담" 학지사 2019

      8 신현정,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아동의사회적 상호작용 탐색: 감정과 행동에 대한 뇌신경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지원학회 8 (8): 1-22, 2019

      9 조용환,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한국교육인류학회 7 (7): 55-75, 2004

      10 조용환, "질적 연구논문의 작성과 평가"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11

      11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12 김문섭, "지적장애학생의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97-419, 2013

      13 윤정인,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장애수용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643-665, 2018

      14 최경화, "중증장애아 어머니의 삶과 정체성 : 자녀의 생애주기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15 홍강의, "정신장애 아동들의 어머니의 MMPI분석" 3 (3): 97-105, 1992

      16 윤선아, "전반적 발달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4 (4): 77-104, 2005

      17 Hewitt, J. P., "자아와 사회: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사회심리학" 학지사 2001

      18 허창수, "일상 속 숨겨진, 당연시 여기는 작은 폭력들" 2006

      19 Husserl, E.,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한길사 1997

      20 이희승,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1990

      21 전상희, "발달장애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지각 및 문제행동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22 차혜경,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 : 끝없는 긴장의 재구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3 임영선,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4 김수강,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 6 (6): 113-122, 2002

      25 신현정,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체험의 의미" 한국가족학회 26 (26): 80-125, 2014

      26 신현정, "발달장애아 어머니 양육체험의 교육적 가능성" 한국자폐학회 15 (15): 179-202, 2015

      27 김유리,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7 (17): 77-102, 2018

      28 김웅기,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29 이혜경,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개입연구방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6 (36): 187-210, 2020

      30 박정숙,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발달장애 자녀 양육경험연구 : 치료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31 조용환,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질적 연구" 2013

      32 Buber, M., "나와 너" 문예출판사 2018

      33 염태산,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발달장애청소년 어머니의 프로그램 선택 과정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5 (35): 241-278, 2017

      34 임재웅, "경계선 지적 기능 학습자를 자녀로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 : 어려움 극복과 희망을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대학원 2018

      35 이승희, "‘발달장애’ 개념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고찰" 한국발달장애학회 5 (5): 17-30, 2001

      36 Schaefer, C. E., "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 Wiley 2014

      37 Denzin, N.,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1-32, 2005

      38 Huth-Bocks, A. C., "The impact of maternal characteristic and contextual variables on infant-mother attachment" 75 (75): 480-496, 2004

      39 Kim, J., "The effects of mother's style of interaction on children's engagement" 24 : 31-38, 2004

      40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95

      41 Prasad, P., "Symbolic processes in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change : A symbolic interactionist study of work computerization" 36 (36): 1400-1429, 1993

      42 Blumer, H., "Symbolic interactionism:Perceptive and method" Prentice Hall. 1969

      43 Van Manen, M., "Phenomenology of practice" Left Coast Press 2014

      44 Stake, R. E., "Multiple case study analysis" The Guilford Press 2006

      45 Denzin, 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500-515, 1994

      46 Perls, F. S., "Gestalt therapy : Excitement and growth in the human personality" Delta 1951

      47 Erikson, E., "Eight ages of man,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and Company 1963

      4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49 Yin, R. K., "Case study research : Design and methods" Sage Pub 2014

      50 Daniels, S., "A comparison of child rearing attitude of parents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3 : 36-43,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4-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발달지원학회 -> 한국발달지원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