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 A Study on the Use of Expletives, Buzz-words, Teenage slangs in Adolescents’ Spoken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32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in adolescents’ spoken language, providing specific lists and frequencies of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and their usage patterns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end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dolescents use of expletives was examined. They used adverbs of degree and exclamations with a vulgar feel such as “존나, 씨발, 개-, and 처-” a lot. Most of the virotous expletives had to do with sex, and the frequency of those words increased with school level. The girl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boys in the use of sex-related expletives.
      Secondly, the adolescents also used a lot of adverbs of degree and exclamations such as “완전, 개-, 헐, and 대박” in the domain of buzz-words, and the majority of them came into fashion with the extended usage context of communication language. Of its subcategories, the buzz-words that originated in everyday language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differences in preferred buzz-words between the girls and boys.
      Finally, adolescents used teenage slangs related to sex, a peer group, and game in high frequency. They spelled teenage slangs either by picking up initial consonant or employing English alphabets for the sake of secrecy. Differences were found in teenage slangs usage according to school level: whil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game teenage slangs a lot,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used a great deal of delinquency, sex, and violence teenage slangs. Teenage slangs related to body parts or sex acts were used by boys more than girl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adolescent conversations and offered empirical and concrete data about their language uses, thus making a futur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language policies and educational plans for adolescents.
      The follow-up study of the study, which analyzed adolescents’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should approach the topic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y, syntax, and expression. In addition, it needs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xts in which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are used.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in adolescents’ spoken language, providing specific lists and frequencies of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and their usage patterns according to school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in adolescents’ spoken language, providing specific lists and frequencies of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and their usage patterns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end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dolescents use of expletives was examined. They used adverbs of degree and exclamations with a vulgar feel such as “존나, 씨발, 개-, and 처-” a lot. Most of the virotous expletives had to do with sex, and the frequency of those words increased with school level. The girl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boys in the use of sex-related expletives.
      Secondly, the adolescents also used a lot of adverbs of degree and exclamations such as “완전, 개-, 헐, and 대박” in the domain of buzz-words, and the majority of them came into fashion with the extended usage context of communication language. Of its subcategories, the buzz-words that originated in everyday language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differences in preferred buzz-words between the girls and boys.
      Finally, adolescents used teenage slangs related to sex, a peer group, and game in high frequency. They spelled teenage slangs either by picking up initial consonant or employing English alphabets for the sake of secrecy. Differences were found in teenage slangs usage according to school level: whil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game teenage slangs a lot,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used a great deal of delinquency, sex, and violence teenage slangs. Teenage slangs related to body parts or sex acts were used by boys more than girl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adolescent conversations and offered empirical and concrete data about their language uses, thus making a futur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language policies and educational plans for adolescents.
      The follow-up study of the study, which analyzed adolescents’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should approach the topic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y, syntax, and expression. In addition, it needs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xts in which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are u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조사 내용 및 방법
      • 3. 비속어 사용 실태
      • 4. 유행어 사용 실태
      • 5. 은어 사용 실태
      • 1. 서론
      • 2. 조사 내용 및 방법
      • 3. 비속어 사용 실태
      • 4. 유행어 사용 실태
      • 5. 은어 사용 실태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2 이경민, "통신언어의 국어학적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조일규, "컴퓨터 통신에서의 청소년 대화에 나타난 언어 사용 실태 조사" 한국청소년보호지도학회 3 : 2003

      4 성낙수, "초ㆍ중ㆍ고등학생들의 국어사용의 실태와 분석 -국어 표기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31) : 137-160, 2005

      5 박종률, "체육 수업 중 발생하는 욕설의 특성과 교육적 해악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43-161, 2006

      6 김은영, "청소년의 인터넷 댓글 문화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변윤언, "청소년의 의사소통 양상에 나타난 청소년 언어문화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백경녀,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9 박용성,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07-228, 2009

      10 임은미, "청소년의 언어 세계-은어, 속어, 욕설 탐구, in 상담사례 연구집"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7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2 이경민, "통신언어의 국어학적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조일규, "컴퓨터 통신에서의 청소년 대화에 나타난 언어 사용 실태 조사" 한국청소년보호지도학회 3 : 2003

      4 성낙수, "초ㆍ중ㆍ고등학생들의 국어사용의 실태와 분석 -국어 표기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31) : 137-160, 2005

      5 박종률, "체육 수업 중 발생하는 욕설의 특성과 교육적 해악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43-161, 2006

      6 김은영, "청소년의 인터넷 댓글 문화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변윤언, "청소년의 의사소통 양상에 나타난 청소년 언어문화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백경녀,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9 박용성,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07-228, 2009

      10 임은미, "청소년의 언어 세계-은어, 속어, 욕설 탐구, in 상담사례 연구집"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7

      11 변성은, "청소년 통신 언어 순화를 위한 지도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문화체육관광부, "청소년 언어사용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연구책임자: 장경희)" 2010

      13 양명희, "청소년 언어 생활 실태 연구 : 고등학교 2학년 서울, 대구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국립국어원 2005

      14 손봉희, "중학생의 욕설 사용 실태와 욕설 사용 빈도에 따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우울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이정민, "중학생의 언어사용실태" 동국어문학회 13 : 2001

      16 김우경, "중·고등학생 이야기의 언어 특징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7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와 청소년 언어 문화" 한국문화사 2006

      18 손세모돌, "인터넷 게시판 글 제목의 욕설/비속어 사용과 익명성의 관계"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5 : 169-198, 2003

      19 라용호, "은어의 연구-청주지역 여중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3

      20 신기상, "우리말 욕설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79 : 1992

      21 신기철, "새우리말큰사전" 삼성출판사 1989

      22 장경희, "국어 욕설의 본질과 유형"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401-427, 2010

      23 김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1993

      24 김주덕, "고등학생의 통신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정혜진, "고등학생의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 실태 분석 및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6 정인웅, "고등학생의 비속어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

      27 김정하,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중·고등학생 은어의 비교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