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 초등학생과 비장애 초등학생간의 인식개선을 위한 사례 연구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효과성 검증- = A Case Study to Improve Awarenes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the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2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은 장애인식개선을 위해 ‘통합반의 효과’와 ‘영상동화, 고전설화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시 노원구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 6월에 ‘영상동화’를 ...

      연구 목적은 장애인식개선을 위해 ‘통합반의 효과’와 ‘영상동화, 고전설화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시 노원구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 6월에 ‘영상동화’를 ‘A·B반’에, 2020년 9월에 ‘영상동화와 고전설화’를 ‘C·D반’에 교육하였다. 남자 4, 여자 4의 총 8명으로, A·C반은 비장애인 학생으로, B·D반은 같은 수의 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구성하여, 5회기 교육을 진행하였다. ‘형용사 척도’를 통해 ‘인식적 측면’을 측정하고, ‘활동 선호도 척도’를 통해 ‘행동적 측면’을 측정하였다. ‘통합반’의 효과는 ‘영상동화’를 활용한 교육에서는 ‘긍정 인식 척도, 부정 인식 척도, 활동적 척도’의 세 부분에서, ‘영상동화와 고전설화’를 활용한 교육에서는 ‘부정 인식 척도, 활동적 척도’의 두 부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영상동화’를 활용한 교육의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영상동화와 고전설화’를 활용한 교육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장애인식개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장애인식개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grated classes’ and ‘the effects of Video fairy tales and Classic tales’ in education for improving the 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5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th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grated classes’ and ‘the effects of Video fairy tales and Classic tales’ in education for improving the 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5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that is located in Nowon-gu, Seoul, was selected. ‘Video fairy tales’ were taught A and B in June 2020. ‘Video fairy tales and Classic tales’ were taught C and D in September 2020. The classes, A and C consists of students with non-disabilities and the classes, B and D consists of bo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non-disabilities. A total of 8 students, 4 males and 4 females in each class, were equally alloc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Five times of education were conducted in each classes. ‘The cognitive aspect’ was measured through ‘the adjective scale.’ And ‘Behavioral aspects’ were measured through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The effect of ‘Integrated classes’ was significant in three parts of ‘positive recognition scale, negative recognition scale, and activity scale’ in education using ‘Video fairy tales’, and in two parts of ‘negative recognition scale and activity scale’ in education using ‘Video fairy tales and Classic tales.’ The effect of education using ‘Video fairy tales’ was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education using ‘Video fairy tales and Classic tales’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Through a study on improving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was verified. It is expected that many studies on improving the awaren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효,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일반 동료들의 수용 태도에 관한 일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2 김효선, "통합적 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허승준, "통합교실에서 정착수업이 장애아동의 수업 참여와 교실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1)"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207-232, 2006

      4 박영근, "초등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 교육 연구의 효과 분석: 메타분석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35-755, 2019

      5 장영창, "지적장애 대학생의 글쓰기 수업 흥미 증진을 위한 노트, 사진, 영상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사례" 겨레어문학회 (60) : 311-335, 2018

      6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성이와 감천이"

      7 한국컨텐츠진흥원, "주먹이"

      8 이한우, "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37-169, 2006

      9 조소이,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이 비장애학생들의 장애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윤성덕, "장애이해영상물의 종류가 비장애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1 김정효,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일반 동료들의 수용 태도에 관한 일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2 김효선, "통합적 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허승준, "통합교실에서 정착수업이 장애아동의 수업 참여와 교실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1)"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207-232, 2006

      4 박영근, "초등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 교육 연구의 효과 분석: 메타분석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35-755, 2019

      5 장영창, "지적장애 대학생의 글쓰기 수업 흥미 증진을 위한 노트, 사진, 영상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사례" 겨레어문학회 (60) : 311-335, 2018

      6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성이와 감천이"

      7 한국컨텐츠진흥원, "주먹이"

      8 이한우, "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37-169, 2006

      9 조소이,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이 비장애학생들의 장애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윤성덕, "장애이해영상물의 종류가 비장애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11 이정란,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49-166, 2005

      12 하성수, "장애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변화에 미친 변인별 효과 비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4

      13 박귀숙, "영상자료 감상활동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4 이경숙,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15 파라다이스복지재단, "버디&키디(장애인 인식개선 동영상 3편 “우린 친구니까”)"

      16 파라다이스복지재단, "버디&키디(장애인 인식개선 동영상 2편 “줄이 좋아요”)"

      17 파라다이스복지재단, "버디&키디(장애인 인식개선 동영상 1편 “우리 통했어!”)"

      18 한국학중앙연구원, "반쪽이"

      19 허승준, "멀티미디어 정착수업이 경도장애 및 비장애 학생의 비판적 질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 18 (18): 223-248, 2002

      20 Derman-Sparks, L., "Markers of Multicultural/Antibias Education" 54 (54): 43-, 1999

      21 장영창, "1학년 1학기 월별 힐링 활동지를 통한 지적장애 대학생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49 : 299-327,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