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과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lass Management Activity and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0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class management activity and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on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In specific, this study focuses on real condition of class management activity perceived by students;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lass management activity and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class management activity is lowest among 1st graders; the level of it is higher from homeroom teachers of major subject than them of non major subject. In addition,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is found from homeroom teachers who are in their 20s. Second,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is 3.12 where the level is highest among students who want to get employed in the same or similar major fields as their high school majors.
      Likewise, the level is lowest among students who are not able to make a decision on their career yet. Also, the level is higher when homeroom teachers teach major subjects than non-major subjects. Finally, Teacher’s Class Management Activity subcategory and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was found to have a low corre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study is suggested on 1) how to raise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class management activity, 2) selecting, developing, and introducing a career related program to meet student’s aptitude, and 3) investigating more concret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hich have meaningful account,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class management activity and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on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In specific, this study focuses on real condition of class management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class management activity and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on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In specific, this study focuses on real condition of class management activity perceived by students;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lass management activity and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class management activity is lowest among 1st graders; the level of it is higher from homeroom teachers of major subject than them of non major subject. In addition,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is found from homeroom teachers who are in their 20s. Second,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is 3.12 where the level is highest among students who want to get employed in the same or similar major fields as their high school majors.
      Likewise, the level is lowest among students who are not able to make a decision on their career yet. Also, the level is higher when homeroom teachers teach major subjects than non-major subjects. Finally, Teacher’s Class Management Activity subcategory and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was found to have a low corre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study is suggested on 1) how to raise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class management activity, 2) selecting, developing, and introducing a career related program to meet student’s aptitude, and 3) investigating more concret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hich have meaningful account,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활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분석하고 학급경영활동과 진로결정수준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을 분석하다. 둘째,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진로결정수준을 분석한다. 셋째,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과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분석한다. 설문조사도구는 관련분야 전문가(12명)의 타당도검증 후 3개 학급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신뢰도 측정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만든 설문조사도구는 총 5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국 12개의 학교에 설문조사지 1,080부를 배포하고 842부를 회수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활동 수준의 차이는 1학년일 때학급경영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담임선생님의 전공이 보통교과보다 전문교과 일 때 학생들의 학급경영 활동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담임선생님의 연령이 가장 낮은 20대가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50대는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둘째, 학생이 인식하는 진로결정수준은 5점 만점에 3.12로 나타났다. 전공이 전문교과 선생님보다 기타교과가 담임선생님일 때 진로결정수준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신의 학과에 맞는 곳에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평균점수가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의 진로결정수준 평균점수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의 하위영역들과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는 낮은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급경영 활동의 하위영역들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활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분석하고 학급경영활동과 진로결정수준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활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분석하고 학급경영활동과 진로결정수준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을 분석하다. 둘째,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진로결정수준을 분석한다. 셋째,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과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분석한다. 설문조사도구는 관련분야 전문가(12명)의 타당도검증 후 3개 학급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신뢰도 측정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만든 설문조사도구는 총 5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국 12개의 학교에 설문조사지 1,080부를 배포하고 842부를 회수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활동 수준의 차이는 1학년일 때학급경영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담임선생님의 전공이 보통교과보다 전문교과 일 때 학생들의 학급경영 활동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담임선생님의 연령이 가장 낮은 20대가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50대는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둘째, 학생이 인식하는 진로결정수준은 5점 만점에 3.12로 나타났다. 전공이 전문교과 선생님보다 기타교과가 담임선생님일 때 진로결정수준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신의 학과에 맞는 곳에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평균점수가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의 진로결정수준 평균점수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교사의 학급경영 활동의 하위영역들과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는 낮은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급경영 활동의 하위영역들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 한세택, "학급경영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도 비교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장기환, "학교행정" 배영사 1967

      4 김봉수, "학교와 교육경영" 형설출판사 1982

      5 김종철, "학교·학급경영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사 1991

      6 최희선, "학교 학습경영" 형성출판사 1988

      7 김세기, "학교 학년 학급경영" 배영사 1994

      8 정주헌,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 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 충남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9 송교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또래관계와 수업몰입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 4 (4): 125-148, 2014

      10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

      1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 한세택, "학급경영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도 비교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장기환, "학교행정" 배영사 1967

      4 김봉수, "학교와 교육경영" 형설출판사 1982

      5 김종철, "학교·학급경영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사 1991

      6 최희선, "학교 학습경영" 형성출판사 1988

      7 김세기, "학교 학년 학급경영" 배영사 1994

      8 정주헌,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 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 충남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9 송교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또래관계와 수업몰입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 4 (4): 125-148, 2014

      10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

      11 함승연, "특성화고 진로선택 경향과수능 직업탐구 영역 응시율 변화에 대한 공업계열 특성화고 현장 교사의 인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146-163, 2013

      12 이명훈, "특성화고 1학년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관련 변인" 한국기술교육학회 15 (15): 68-86, 2015

      13 교육부, "조간 보도자료_2015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취업률 발표"

      14 서홍석, "전문계 고등학교 학급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개선방안 탐색"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배정수, "의사결정나무 분석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결정요인 우선순위 탐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16 강선영, "아이덴티디(Identity)발달 수준과 진로미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1996

      17 이명갑, "실업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의사결정유형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8 김용재,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경로 및 진로결정 행동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19 이재선,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0 남정걸,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교육과학사 1991

      21 김명환, "교육행정 및 경영" 형설출판사 1988

      22 한공우, "교육경영학" 을서문화사 1977

      23 김우경,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지도력과 학생 근태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오헌석,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 비교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45-265, 2010

      25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6 Nunally, j.,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78

      27 Holland, J. L., "Vocational Indecision :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24 : 404-414, 1977

      28 Osipow, S. H., "Manual for Career Decision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orporated 1980

      29 Osipow, S. H.,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9 : 233-243, 19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2.24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