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메를로 퐁티,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2 안동근 ; 장환영 ; 백평구,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적 자기개념 및 창의적 행동의 발현기제 탐색: 성격특성, 결정지능 및 창의적 효능감의 역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 (20): 51-73, 2020
3 정미선, "창의력의 암묵적 개념과 창의적 사고의 수준" 255-259, 2005
4 조미아,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영채, "창의력 교육의 위계적 개념화, 양파모형" 대한사고개발학회 17 (17): 27-51, 2021
6 양용칠 ; 허소현,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대한사고개발학회 13 (13): 1-15, 2017
7 이남인, "지각의 현상학 후설과 메를로-퐁티" 한길사 2013
8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9 김연희, "존 듀이의 교육미학-예술교육의 철학과 이론-" 교육과학사 2012
10 이돈희, "존 듀이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1 메를로 퐁티,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2 안동근 ; 장환영 ; 백평구,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적 자기개념 및 창의적 행동의 발현기제 탐색: 성격특성, 결정지능 및 창의적 효능감의 역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 (20): 51-73, 2020
3 정미선, "창의력의 암묵적 개념과 창의적 사고의 수준" 255-259, 2005
4 조미아,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영채, "창의력 교육의 위계적 개념화, 양파모형" 대한사고개발학회 17 (17): 27-51, 2021
6 양용칠 ; 허소현,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대한사고개발학회 13 (13): 1-15, 2017
7 이남인, "지각의 현상학 후설과 메를로-퐁티" 한길사 2013
8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9 김연희, "존 듀이의 교육미학-예술교육의 철학과 이론-" 교육과학사 2012
10 이돈희, "존 듀이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11 이남인, "예술본능의 현상학" 서광사 2018
12 박영선, "예술과 교육 – 실러의 <미적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39 (39): 121-148, 2017
13 김병주, "연극과 교육의 접목 - 초등국어교과의 연극단원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95-112, 2018
14 아우구스또 보알, "아우구스또 보알의 연극 메소드" 현대미학사 1998
15 박명숙, "새 교과서의 극 텍스트와 스토리텔링의 극 텍스트 교육" 배달말학회 (51) : 357-390, 2012
16 아우구스또 보알, "배우와 일반인을 위한 연기 훈련" 울력 2003
17 박유정, "미적 체험에서 본 아름다움의 본질에 관한 고찰"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411-431, 2016
18 서향숙, "몸의 현상학과 환경교육 - 메를로 퐁티의 몸 철학을 바탕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67-94, 2016
19 배지현, "메를로-퐁티(Merleau-Ponty)의 표현론에 기반한 ‘표현적 교육과정’의 실존·미학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21-44, 2015
20 심귀연, "메를로-퐁티 철학의 관점에서 본 기술과 몸" 새한철학회 91 (91): 163-185, 2018
21 채미영 ; 김경철 ; 이은하,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적 ‘몸’담론에 근거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몸교육 분석: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5-38, 2020
22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3 김영룡, "디지털 시대의 창의력과 인문학- ‘베를린 모델’과 유럽연합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카프카학회 (33) : 243-265, 2015
24 김주연, "교육연극의 신체의 교육적 의미 정립 : 체화 학습(embodied learning)" 한국교육연극학회 11 (11): 1-17, 2019
25 심상교, "교육연극연극교육" 연극과 인간 2002
26 최지영, "교육연극에서의 연극 만들기" 2 : 56-79, 2007
27 김주연, "교육연극/연극교육과 ‘아동 중심 교육’에 대한 재고찰 - 『에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연극학회 14 (14): 21-41, 2022
28 이재언,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29 존 듀이, "경험으로서 예술1" 나남 2016
30 존 듀이, "경험과 교육" 원미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