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의력 향상을 위한 놀이와 연극 활용 연구 = The Study of Play and Theater to Improve Cre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4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heoretical bas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lay and theater can be efficiently improved creativity. Play is a continuous process, so it stimulates the idea of maintaining psychological synergies and preparing for unpredictable situations in mutual relationships. The pla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at directly expresses any situation.
      Humans live in a group. All human experiences and thinking effects are affected by the surroundings.
      Human mental activities such as perception and memory of memory are also influenced by groups. Since all human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groups, it should also be linked to the group when defining creativity. And destroying the identity or similarity, the order flip or destroying the order, the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the reversal, reasoning, the betrayal of the mystery, the causal relationship, the structure is necessary to explain creativity.
      Through storytelling, creativity is activated while transforming the source content. You can use motifstorming in this process. The situation of sharing various opin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a small pixel into a story is a motifstorming. By creating a play that is easy to access, creating a pleasure, creativity and meets a new world. Through this process, the composing saints of aesthetic experience are also achieved.
      번역하기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heoretical bas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lay and theater can be efficiently improved creativity. Play is a continuous process, so it stimulates the idea of maintaining psychological synergies and preparing for unpr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heoretical bas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lay and theater can be efficiently improved creativity. Play is a continuous process, so it stimulates the idea of maintaining psychological synergies and preparing for unpredictable situations in mutual relationships. The pla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at directly expresses any situation.
      Humans live in a group. All human experiences and thinking effects are affected by the surroundings.
      Human mental activities such as perception and memory of memory are also influenced by groups. Since all human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groups, it should also be linked to the group when defining creativity. And destroying the identity or similarity, the order flip or destroying the order, the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the reversal, reasoning, the betrayal of the mystery, the causal relationship, the structure is necessary to explain creativity.
      Through storytelling, creativity is activated while transforming the source content. You can use motifstorming in this process. The situation of sharing various opin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a small pixel into a story is a motifstorming. By creating a play that is easy to access, creating a pleasure, creativity and meets a new world. Through this process, the composing saints of aesthetic experience are also achie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놀이와 연극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창의력이 향상될 수 있는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놀이는 흥미로운 과정이 연속되기 때문에 심리적 상승작용을 유지하게 하고 상호관계 속에서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하는 생각을 자극한다. 연극은 어떤 상황이나 인물을 직접 표현하는 장르의 특성이 창의력 향상에 기여한다. 놀이의 즐거움과 추리, 연극의 복합적 감각활용 및 사고 확장이 융합되면서창의력 향상은 자연스럽게 결과 된다.
      인간은 집단 속에서 살아간다. 인간의 모든 경험, 사고 작용은 주변에 영향을 받는다. 지각작용, 기억의활용 등 인간의 정신활동도 집단의 영향을 받는다. 인간의 활동 모두가 집단과 관계되기 때문에 창의력을 규정할 때도 집단과 연계되는 점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동일성이나 유사성을 파괴하기, 순서 뒤집기나 무너뜨리기, 기존의 구조 허물기, 처음-중간-끝의 구조의 뒤섞기, 예상 뒤엎기, 반전 만들기, 추리 구성하기, 추리의 배반, 인과관계의 역전, 구조의 개연성 파괴 등이 창의력을 설명하는데 필요하다.
      스토리텔링을 통해 원천 콘텐츠를 변형시키면 창의력이 활성화된다. 언어→몸지각→집단체험이 작동되는 가운데 놀이→스토리텔링→연극만들기를 전개시키면 창의력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 모티프스토밍을 활용할 수 있다. 작은 화소를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 가는 과정에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상황을 모티프스토밍이라고 규정한다. 접근하기 쉬운 연극을 창작함으로써 쾌감을 갖게 되면 그 과정에서창의력도 발휘되고 새로운 세계를 만날 수도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미적 체험의 합목적성도 성취된다.
      번역하기

      놀이와 연극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창의력이 향상될 수 있는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놀이는 흥미로운 과정이 연속되기 때문에 심리적 상승작용을 유지하게 하고 상호관...

      놀이와 연극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창의력이 향상될 수 있는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놀이는 흥미로운 과정이 연속되기 때문에 심리적 상승작용을 유지하게 하고 상호관계 속에서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하는 생각을 자극한다. 연극은 어떤 상황이나 인물을 직접 표현하는 장르의 특성이 창의력 향상에 기여한다. 놀이의 즐거움과 추리, 연극의 복합적 감각활용 및 사고 확장이 융합되면서창의력 향상은 자연스럽게 결과 된다.
      인간은 집단 속에서 살아간다. 인간의 모든 경험, 사고 작용은 주변에 영향을 받는다. 지각작용, 기억의활용 등 인간의 정신활동도 집단의 영향을 받는다. 인간의 활동 모두가 집단과 관계되기 때문에 창의력을 규정할 때도 집단과 연계되는 점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동일성이나 유사성을 파괴하기, 순서 뒤집기나 무너뜨리기, 기존의 구조 허물기, 처음-중간-끝의 구조의 뒤섞기, 예상 뒤엎기, 반전 만들기, 추리 구성하기, 추리의 배반, 인과관계의 역전, 구조의 개연성 파괴 등이 창의력을 설명하는데 필요하다.
      스토리텔링을 통해 원천 콘텐츠를 변형시키면 창의력이 활성화된다. 언어→몸지각→집단체험이 작동되는 가운데 놀이→스토리텔링→연극만들기를 전개시키면 창의력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 모티프스토밍을 활용할 수 있다. 작은 화소를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 가는 과정에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상황을 모티프스토밍이라고 규정한다. 접근하기 쉬운 연극을 창작함으로써 쾌감을 갖게 되면 그 과정에서창의력도 발휘되고 새로운 세계를 만날 수도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미적 체험의 합목적성도 성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메를로 퐁티,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2 안동근 ; 장환영 ; 백평구,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적 자기개념 및 창의적 행동의 발현기제 탐색: 성격특성, 결정지능 및 창의적 효능감의 역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 (20): 51-73, 2020

      3 정미선, "창의력의 암묵적 개념과 창의적 사고의 수준" 255-259, 2005

      4 조미아,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영채, "창의력 교육의 위계적 개념화, 양파모형" 대한사고개발학회 17 (17): 27-51, 2021

      6 양용칠 ; 허소현,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대한사고개발학회 13 (13): 1-15, 2017

      7 이남인, "지각의 현상학 후설과 메를로-퐁티" 한길사 2013

      8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9 김연희, "존 듀이의 교육미학-예술교육의 철학과 이론-" 교육과학사 2012

      10 이돈희, "존 듀이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1 메를로 퐁티, "행동의 구조" 동문선 2008

      2 안동근 ; 장환영 ; 백평구,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적 자기개념 및 창의적 행동의 발현기제 탐색: 성격특성, 결정지능 및 창의적 효능감의 역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 (20): 51-73, 2020

      3 정미선, "창의력의 암묵적 개념과 창의적 사고의 수준" 255-259, 2005

      4 조미아,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영채, "창의력 교육의 위계적 개념화, 양파모형" 대한사고개발학회 17 (17): 27-51, 2021

      6 양용칠 ; 허소현,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대한사고개발학회 13 (13): 1-15, 2017

      7 이남인, "지각의 현상학 후설과 메를로-퐁티" 한길사 2013

      8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9 김연희, "존 듀이의 교육미학-예술교육의 철학과 이론-" 교육과학사 2012

      10 이돈희, "존 듀이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11 이남인, "예술본능의 현상학" 서광사 2018

      12 박영선, "예술과 교육 – 실러의 <미적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39 (39): 121-148, 2017

      13 김병주, "연극과 교육의 접목 - 초등국어교과의 연극단원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95-112, 2018

      14 아우구스또 보알, "아우구스또 보알의 연극 메소드" 현대미학사 1998

      15 박명숙, "새 교과서의 극 텍스트와 스토리텔링의 극 텍스트 교육" 배달말학회 (51) : 357-390, 2012

      16 아우구스또 보알, "배우와 일반인을 위한 연기 훈련" 울력 2003

      17 박유정, "미적 체험에서 본 아름다움의 본질에 관한 고찰"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411-431, 2016

      18 서향숙, "몸의 현상학과 환경교육 - 메를로 퐁티의 몸 철학을 바탕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67-94, 2016

      19 배지현, "메를로-퐁티(Merleau-Ponty)의 표현론에 기반한 ‘표현적 교육과정’의 실존·미학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21-44, 2015

      20 심귀연, "메를로-퐁티 철학의 관점에서 본 기술과 몸" 새한철학회 91 (91): 163-185, 2018

      21 채미영 ; 김경철 ; 이은하,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적 ‘몸’담론에 근거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몸교육 분석: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5-38, 2020

      22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3 김영룡, "디지털 시대의 창의력과 인문학- ‘베를린 모델’과 유럽연합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카프카학회 (33) : 243-265, 2015

      24 김주연, "교육연극의 신체의 교육적 의미 정립 : 체화 학습(embodied learning)" 한국교육연극학회 11 (11): 1-17, 2019

      25 심상교, "교육연극연극교육" 연극과 인간 2002

      26 최지영, "교육연극에서의 연극 만들기" 2 : 56-79, 2007

      27 김주연, "교육연극/연극교육과 ‘아동 중심 교육’에 대한 재고찰 - 『에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연극학회 14 (14): 21-41, 2022

      28 이재언,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29 존 듀이, "경험으로서 예술1" 나남 2016

      30 존 듀이, "경험과 교육" 원미사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