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민노후 보장패널 조사 자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11569
2019
-
338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9(1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민노후 보장패널 조사 자료...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민노후 보장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을 장애 진단 여부에 따라 장애노인과 비 장애노인으로 구분하여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는 건강특성으로서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여부, ADL, IADL 등으로 구성하였다. 매개변수는 심리상태인 우울로 하였으며, 삶의 만족도는 종속변수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삶의 만족도는 비 장애노인이 장애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감 역시 비 장애노인이 장애노인에 비해 더 긍정적이었다. 둘째, 장애노인은 신체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 하였으며, 비 장애노인은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만성질환여부, ADL, IADL이 유의미하였다. 셋째, 장애노인은 심리적 건강상태만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반면, 비 장애노인은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그리고 IADL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노인과 비 장애노인을 구분하여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장애노인은 장애로 인한 심리적 건강을 회복시켜주는 정책 방안, 비 장애노인은 급격한 노화에 따른 건강 문제에 대한 적극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sychological status.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e elderly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sychological status.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e elderly are defined as persons aged 65 and above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than among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psychological status was more positive among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than the eldery with disabilities. Secondly, among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physical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factors with regard to life satisfaction, while among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physical health status, psychological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s, ADL and IADL were significant factors. Thirdly, psychological health status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Physical health status, psychological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s and IADL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by focusing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lderly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선, "한국노인의 사회기여활동 참여가 당사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2 유수진, "한국 노인에서 건강상태와 삶의 질의 관련성: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 9 (9): 47-56, 2015
3 이지현, "취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서울지역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143-156, 2008
4 유재남,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종단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68) : 331-356, 2015
5 이순희, "중·고령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4
6 정주원, "주관적 노후인식이 60대 중고령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55-184, 2013
7 고보선, "제주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18 : 49-72, 2002
8 정덕진, "장애노인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247-275, 2014
9 이주경, "장애노인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89-212, 2012
10 이영미,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35-58, 2013
1 김종선, "한국노인의 사회기여활동 참여가 당사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2 유수진, "한국 노인에서 건강상태와 삶의 질의 관련성: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 9 (9): 47-56, 2015
3 이지현, "취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서울지역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143-156, 2008
4 유재남,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종단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68) : 331-356, 2015
5 이순희, "중·고령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4
6 정주원, "주관적 노후인식이 60대 중고령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55-184, 2013
7 고보선, "제주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18 : 49-72, 2002
8 정덕진, "장애노인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247-275, 2014
9 이주경, "장애노인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89-212, 2012
10 이영미,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35-58, 2013
11 김성희,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 (20): 17-43, 2016
12 이윤진, "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 노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35-59, 2013
13 김미령,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한국노년학회 32 (32): 145-161, 2012
14 서홍란,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행위의 조절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57-84, 2013
15 구철회, "서울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281-300, 2015
16 신창환,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0 (30): 453-469, 2010
17 문지현,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4-54, 2018
18 김동배, "당뇨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29 (29): 101-116, 2009
19 박성복, "노인의 주거와 삶의 만족도" 216-240, 2011
20 문정화, "노인의 종사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수준, 건강수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79-103, 2017
21 김경호,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0 (20): 95-116, 2008
22 오승환,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농촌·어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 119-147, 2006
23 김철수,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51-73, 2009
24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3) : 291-312, 2011
25 허준수,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연구: 유형별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673-691, 2017
26 오수윤,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6 : 125-146, 2017
27 권재숙, "고령장애인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2
28 박주영, "고령여성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노후준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29 심옥수, "경제활동 노인의 일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17) : 161-180, 2015
30 Berge, A, I, "What mater, and What Matters Most, for Change in Life Satisfaction in the Oldest-Old“ A Study Over 6 Years Among Individuals 80+" 13 (13): 191-201, 2009
31 Fonseca, A. M,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mgst elderly Portuguese living in the community" 7 (7): 87-102, 2008
32 Borg, C,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people(+65)with reduced self-care capacity : the relationship to social, health anf financial aspects" 15 : 607-618, 2006
33 Brajkovic Lovorka, "Life Satisfaction in pesrons of the Third Age after Retirement" 35 (35): 665-671, 2010
34 Addabbo, T,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in Italy" Universite de Geneve 1-24, 2014
35 Kemp, B. J,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eople ageing with post-polio and spinal cord injury" 21 (21): 241-249, 1999
36 Gworzsz, W, "Ageing,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st Old:An analysis for Germany" 1-37, 2009
세대 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노인 휴대폰 활용교육의 성과
중고령 학습자의 학점은행제 학위취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세대갈등과 세대통합에 대한 고찰: 노년교육학적 관점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