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무연수에 대한 유아특수교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In-Service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0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in-service programs. The subjects were 139 ear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49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53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in-service programs are necessary for the highly qualified teacher criteria. Second, more various programs and information about duty system for in-service programs are required. Third, barriers for successful in-service programs are shown as limited locations and dates of the programs, lack of incentives, unreasonable fees, unsatisfactory curricula, and inappropriate evaluation. Fourth, the most preferred of program was the winter time conducted by experts from professional institute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field. Fifth, criteria-based evaluation with various methods are suggested to insur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various in-service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more highly qualified teacher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in-service programs. The subjects were 139 ear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49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53 special edu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in-service programs. The subjects were 139 ear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49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53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in-service programs are necessary for the highly qualified teacher criteria. Second, more various programs and information about duty system for in-service programs are required. Third, barriers for successful in-service programs are shown as limited locations and dates of the programs, lack of incentives, unreasonable fees, unsatisfactory curricula, and inappropriate evaluation. Fourth, the most preferred of program was the winter time conducted by experts from professional institute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field. Fifth, criteria-based evaluation with various methods are suggested to insur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various in-service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more highly qualified teacher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교사를 위한 효율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직무연수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사항 및 직무연수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내에 소재한 49개 특수학교 및 53개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유아특수교육교사 139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유아특수교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연수가 필수적이며, 가장 선호하는 직무연수 내용은 교수·학습과 관련된 것이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육교사를 위한 다양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2008년부터 시행되는 연수 의무제에 대한 정보 제공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수 장소 및 시기, 연수 결과에 대한 미흡한 보상, 학교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연수비용, 내용 및 평가에 대한 부담 등이 연수를 받는 데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넷째, 연수는 겨울방학에 연수전문교육기관에서 전문 강사가 실시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다섯째, 평가는 절대평가 형식으로 다양한 평가방법의 적용을 통해 평가의 공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별히 유아특수교육 관련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교사들에게 필요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교사를 위한 효율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직무연수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사항 및 직무연수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교사를 위한 효율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직무연수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사항 및 직무연수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내에 소재한 49개 특수학교 및 53개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유아특수교육교사 139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유아특수교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연수가 필수적이며, 가장 선호하는 직무연수 내용은 교수·학습과 관련된 것이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육교사를 위한 다양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2008년부터 시행되는 연수 의무제에 대한 정보 제공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수 장소 및 시기, 연수 결과에 대한 미흡한 보상, 학교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연수비용, 내용 및 평가에 대한 부담 등이 연수를 받는 데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넷째, 연수는 겨울방학에 연수전문교육기관에서 전문 강사가 실시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다섯째, 평가는 절대평가 형식으로 다양한 평가방법의 적용을 통해 평가의 공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별히 유아특수교육 관련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교사들에게 필요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 교원 연수 계획" 국립특수교육원 2007

      2 한명숙, "초등학교 교사의 교과직무연수 다양화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4

      3 최민규, "초등교사의 체육과 직무연수에 대한 인식 및 요구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경애, "직무연수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4

      5 김예환, "직무연수에 관한 중등교사들의 요구분석"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 김종성, "중등체육교사의 직무연수에 대한 인식 및 선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최종녀, "중등교사의 직무연수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박성은, "중등 음악교사에게 필요한 바람직한 재교육(직무연수)제도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양명숙,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연수 실태 및 요구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11 민복기,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12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연수 운영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7

      13 김영신, "교사직무연수에 대한 교사와 학교행정가의 요구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4 MeGres,K.S.,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national database in Creating a failure to communicate" 28 (28): 472-487, 1995

      15 Zentall,S.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Students With ADHD and Characteristics of ADHD" 32 (32): 78-93, 2007

      16 Ridley,L.L., "Effective teacher behaviors in a survey of in-service special educator" ERIC Documents 338-598, 1991

      17 교육법전편찬회, "2007 개정판 교육법전" 교학사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