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역별 사회적 기업 결정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 Determinants of Regional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147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별 사회적 기업의 출현을 설명하는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지역 밀착형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으로 지역별 ...

      본 연구는 지역별 사회적 기업의 출현을 설명하는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지역 밀착형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으로 지역별 경제적 구조와 사회적 기업 간의 관계를 경제적 특성, 산업구조, 서비스업 구조의 3 부문으로 나누어 실증 분석하였다.
      첫째, 지역별 경제적 특성과 사회적 기업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 경제활동 인구 비중이 높고 취업자 수의 비중이 낮은 지역일수록 사업적 기업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별 산업구조와 사회적 기업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 건설업 및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사회적 기업의 비중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서비스업의 구조와 사회적 기업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 금융ㆍ보험업, 보건ㆍ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ㆍ스포츠ㆍ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사회적 기업의 비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밀착형 사회적 기업의 발굴 및 육성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욕구를 반영하고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아이템 개발, 중앙부처별 다양한 육성 정책과의 연계를 통한 발굴 및 활성화 방안의 적극적 검토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egional social enterprises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vitalizing them. For this purpose, we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social enterprises and three local economic 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egional social enterprises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vitalizing them. For this purpose, we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social enterprises and three local economic factors:economic characteristics, industrial structures, and services, respective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hare of labor force in a region is, the higher the share of social enterprises is in that region. In contrast, the lower the share of labor force is, the higher the share of social enterprises is. Second, the higher the shares of construction and services are in a region, the higher the share of social enterprises is in that region. Third, the higher the shares of finance and insura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and arts, sports and leisure services are, the higher the share of social enterprises is. Bases on these results, we propose policy measures to boost localized social enterprises. Local government must develop new items that are consistent with local needs and sustainable and should link regional social enterprises closely with various development policies of central govern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지역별 사회적 기업 현황
      • Ⅲ. 분석모형의 설정
      • Ⅳ. 지역별 경제적 구조와 사회적 기업 결정 요인
      • <요약>
      • Ⅰ. 서론
      • Ⅱ. 지역별 사회적 기업 현황
      • Ⅲ. 분석모형의 설정
      • Ⅳ. 지역별 경제적 구조와 사회적 기업 결정 요인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대명, "한국의 사회적 기업과 사회서비스" 138 : 62-85, 2008

      2 "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3 노대명, "한국 사회적 경제의 현황과 과제" 5 (5): 35-73, 2007

      4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5 "지역적합형 사회적 기업 모델 수립 방안 연구" 사회적 기업 지원을 위한 전북네트워크 2007

      6 김종수, "지역기반형 사회적 기업의 태동과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9

      7 이광우,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8 장우진, "조직성격을 활용한 사회적 기업 진단" 한국정책개발학회 10 (10): 1-30, 2010

      9 박정윤, "전통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연계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8 (8): 1-22, 2010

      10 백학영, "자활공동체의 사회적기업 전환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269-297, 2009

      1 노대명, "한국의 사회적 기업과 사회서비스" 138 : 62-85, 2008

      2 "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3 노대명, "한국 사회적 경제의 현황과 과제" 5 (5): 35-73, 2007

      4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5 "지역적합형 사회적 기업 모델 수립 방안 연구" 사회적 기업 지원을 위한 전북네트워크 2007

      6 김종수, "지역기반형 사회적 기업의 태동과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9

      7 이광우,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8 장우진, "조직성격을 활용한 사회적 기업 진단" 한국정책개발학회 10 (10): 1-30, 2010

      9 박정윤, "전통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연계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8 (8): 1-22, 2010

      10 백학영, "자활공동체의 사회적기업 전환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269-297, 2009

      11 정아윤, "자활공동체의 사회적 기업으로의 발전가능성 연구" 1 (1): 91-116, 2008

      12 황인매, "자활공동체의 사회적 기업 특성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 복지대학원 2009

      13 홍성우,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인증제도 및 인증현황의 비교분석" 43-62, 2011

      14 정선희, "성공하는 사회적 기업의 모든 것" 고용노동부 2007

      15 장우진,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방안: 충청북도의 제도적․행정적 지원체제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2 (12): 107-131, 2011

      16 홍현미라,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접근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지역사회자 본 재구조화" 23 (23): 135-155, 2008

      17 라준영,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모델" 한국중소기업학회 13 (13): 129-161, 2010

      18 김한표, "사회적 기업의 거버넌스에 관한 주요국가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0

      19 심창학, "사회적 기업의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61-85, 2007

      20 "사회적 기업가 교육을 통한 사회적 기업 지원 체 계화 모델에 관한 최종 보고서"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21 박찬임,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의 쟁점과 과제" 144 : 21-33, 2008

      22 고용노동부,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예비)사회적 기업 일자리 창출사업 시행 지침"

      23 고용노동부, "사회적 기업 개요집"

      24 이인재, "사회적 기업 '컴윈' 성공요인과 발전과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6) : 1-17, 2006

      25 황미영, "사회적 경제조직으로서 자활공동체의 실태와 전망" (2) : 73-104, 2007

      26 이준영, "사회서비스 제공과 사회적기업"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257-281, 2010

      27 고용노동부, "비상경제대책회의 겸 국가 고용전략회의 자료집 :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28 조영복, "부산지역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에 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6 (16): 231-244, 2009

      29 장우진, "부동산업과 도시재생사업의 연계를 통한 사회적 기업 모형" 한국지적학회 26 (26): 87-108, 2010

      30 장우진, "도시재생 참여 주체로서 사회적 기업의 가능성 - 연계사업 중요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지적정보학회 12 (12): 45-69, 2010

      31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기업육성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32 이길형, "국내 사회적기업의 창업성공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10 : 259-275, 2010

      33 "고용노동부, 사회적 기업"

      34 강병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사회적 기업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1

      35 Hausman,J., "Specification Tests in Econometrics" 46 : 69-85, 1978

      36 Zografos,C., "Rurality Discourses and the Role of the Social Enterprise in Regenerating Rural Scotland" 23 (23): 38-51, 2007

      37 충청북도, "2010년도 충북형 예비 사회적 기업 지정 공고(안)"

      38 고용노동부, "2010년 사회적 기업 인증 업무 매뉴얼"

      39 곽선화, "2008년 사회적 기업 성과분석" 고용노동부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6 0.6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