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혜경,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훈련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2 이옥인, "정신지체 학생의 일반 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자기결정 학습모형 탐색" 42 (42): 51-75, 2007
3 오미자,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발달적 미술치료사례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 대학원 2007
4 방명애, "장애학생을 위한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장애아동연구소 2002
5 류숙렬,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38 (38): 161-181, 2003
6 안재석,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율성과 자아실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7 박성우,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정권, "자기결정 능력 검사 실시 안내. 대구대학교 학교교육 재구조화 및 완전통합 연구소"
9 김미자, "자기 표현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4
10 박성우, "자기 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 결정 행동평가에 미치는 효과" 40 (40): 201-218, 2005
1 김혜경,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훈련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2 이옥인, "정신지체 학생의 일반 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자기결정 학습모형 탐색" 42 (42): 51-75, 2007
3 오미자,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발달적 미술치료사례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 대학원 2007
4 방명애, "장애학생을 위한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장애아동연구소 2002
5 류숙렬,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38 (38): 161-181, 2003
6 안재석,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율성과 자아실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7 박성우,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8 김정권, "자기결정 능력 검사 실시 안내. 대구대학교 학교교육 재구조화 및 완전통합 연구소"
9 김미자, "자기 표현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4
10 박성우, "자기 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 결정 행동평가에 미치는 효과" 40 (40): 201-218, 2005
11 두뇌한국 21 특수교육·연구단, "이론과 실천" 6 (6): 155-180,
12 김미은, "의사결정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의 자아개념과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13 권은숙, "의사결정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카톨릭 대학교 대원 2003
14 조인수, "역할놀이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11 (11): 359-376, 2004
15 조인수, "성과중심 전환교육에서의 자기결정과 동기와의 관련성 고찰"
16 강영숙, "선택하기 기술 중재가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여수대학교 대학원 2005
17 김정권, "발달지체 청년을 위한 자기결정능력 검사의 표준화 연구" 39 (39): 99-126, 2000
18 김성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장훈련의 효과"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5 : 1-30, 1982
19 김언아, 김동일,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이 진로 의사결정과 전환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0 Wehmeyer, M. L.,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adolescent version)" The Arc National Headquarters 1995
21 Wehmeyer, M. L., "Teaching self-determination to Student with Disabilities: Basic skills for successful transition" Paul H. Brookes 2000
22 Rakos. R. F., "Self-directed assertiveeness training" Bio Monitoring Applications(BMA) 1980
23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for youth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Fromtheory to practice in : In L. E. Power, G. H. Singer, & J. Sowers(Eds.), On the road to autonomy: Promoting self-competence in children and youth with disabilities" Paul H. Brookes 115-134, 1996
24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rvices and supports" 33 (33): 1-16, 2001
25 Field, S., "Development of a model for self-determination" 17 : 159-169, 1994
26 Martin, J. E, "ChoiceMaker: A comprehensive self-determination transition program" 30 : 147-156, 1995
27 Wheeler, J. J., "Behavoir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s of Positive Behavoir Supports. Person/Merrill/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Ohio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