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Job Environment on the Respect for Infant Righ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3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정서지능, 영유아권리 존중보육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환경과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의 관계에 정서지능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정서지능, 영유아권리 존중보육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환경과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의 관계에 정서지능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452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의 관계에 정서지능이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 후 통계적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하위 변인 중 운영 및 의사결정 참여만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사고촉진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들은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은 직무환경과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영유아를 위한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있어,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and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from 452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Busan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and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Sobel Test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aft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Baron and Kenny s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As a result of data analysis, first, only the operation and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of the sub-variables of the job environment of the childcare teachers had an effect on the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had an effect on respect for infant and child rights by all sub-variables except for the promotion of thinking.,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and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practice of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수경, "초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2 (12): 183-200, 2016

      2 김춘경,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209-229, 2013

      3 심혜숙,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 해결력과의 관계" 13 (13): 162-175, 2001

      4 이점형, "정서지능, 학급풍토 및 사회적 지지가 교우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5 성윤미, "장애통합교사와 일반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235-260, 2018

      6 정미라, "유치원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놀이교수효능감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2 (12): 137-157, 2016

      7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8 서지영, "유아교사의 조직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 프로그램의 질과 직무환경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15-136, 2002

      9 권정윤,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69-289, 2010

      10 류경희,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동료교사 협력관계,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 간의구조모형 분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203-225, 2015

      1 강수경, "초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2 (12): 183-200, 2016

      2 김춘경,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209-229, 2013

      3 심혜숙,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 해결력과의 관계" 13 (13): 162-175, 2001

      4 이점형, "정서지능, 학급풍토 및 사회적 지지가 교우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5 성윤미, "장애통합교사와 일반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235-260, 2018

      6 정미라, "유치원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놀이교수효능감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2 (12): 137-157, 2016

      7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8 서지영, "유아교사의 조직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 프로그램의 질과 직무환경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15-136, 2002

      9 권정윤,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69-289, 2010

      10 류경희,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동료교사 협력관계,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효능감 간의구조모형 분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203-225, 2015

      11 이유미,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239-259, 2014

      12 강인숙,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 (20): 49-66, 2016

      13 강혜경, "유아교사의 역할수행 능력에 미치는 직무환경과 유아교육기관 유형의 영향력 분석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79-114, 2018

      14 이용주,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보수와 승진에 대한 인식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31-250, 2015

      15 김영아, "영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권리존중과의 관계" 6 : 43-64, 2013

      16 이은숙,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221-238, 2015

      17 정선경, "영유아교사의 영유아 권리 존중에 대한 인식과 훈육 사이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6

      18 김은영, "영유아 권리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과 경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91-214, 2017

      19 이주영,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63-82, 2015

      20 신희정,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91-308, 2013

      21 김정신,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만족도가 영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279-300, 2016

      22 서미정,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직선택동기, 셀프리더십 및 보육헌신간의 관계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45-166, 2017

      23 이선미,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53-180, 2013

      24 조숙영, "어린이집교사의 정신건강,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이 영유아 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553-574, 2015

      25 김수연,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191-213, 2015

      26 표갑수, "아동학대의 원인론과 대처방안" 1 : 156-177, 1993

      27 조정대,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유치원 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28 서혜정, "보육실습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존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79-108, 2014

      29 김미원, "보육시설의 조직문화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95-610, 2018

      30 이희경,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의 구조적 관계"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31 안라리,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지향성 및 교직지향 이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8) : 1-20, 2014

      32 이정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10 : 65-85, 2017

      33 장성예,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 18 (18): 1-25, 2018

      34 이경자,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 - 가치적합성의 매개효과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7) : 75-101, 2016

      35 송순옥,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 및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00) : 203-224, 2016

      36 심경희,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540-549, 2013

      37 이서연,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행복감이 교수창의성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75-600, 2019

      38 송미선,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99-119, 2009

      39 박미자,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적 역할" 한국보육지원학회 14 (14): 257-276, 2018

      40 이진화,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자기효능감·정서노동과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5 (5): 117-136, 2010

      41 김수연,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71-93, 2015

      42 손혜숙,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22 (22): 414-425, 2018

      43 전현희,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 19 (19): 47-56, 2019

      44 김영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를 포함한 경로모형 분석"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7

      45 강병재, "보육교사의 인성, 정서노동과 조직문화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11 (11): 77-96, 2014

      46 이경희, "보육교사의 인권의식과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211-229, 2018

      47 박복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48 김혜화, "보육교사의 보육신념, 직무환경, 사회적 지지가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9

      49 이경열,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행복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간의 관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487-506, 2015

      50 이영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53-70, 2018

      51 김영은, "보육교사의 감성지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2급 승급대상자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55-74, 2013

      52 엄세진, "보육교사의 SOC 책략과 정서지능,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2) : 97-123, 2010

      53 김진숙,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54 김태윤, "보육교사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43-560, 2019

      55 조신숙,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8 (18): 1-20, 2018

      56 장미희, "모애착, 거부민감성,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4 (14): 35-53, 2011

      57 이용주, "다문화학급 담당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55-78, 2016

      58 강재성, "교사의 여가활동 참여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10 (10): 1-16, 2006

      59 김현주, "개념도(Concept Mapping)를 활용한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필요요인 탐색"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125-159, 2016

      60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61 Goleman, D., "The emotional intelligent work place : How to select for measure, and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in individuals, groups, and organizations" Jossey-Bass 27-44, 2001

      62 Bar-On, R., "The Bar-On Model of Emotional-Social Intelligence (ESI)" 18 : 13-25, 2006

      63 Leithwood, K., "Teacher working conditions that matter: Evidence for change"

      64 Dworkin, A. G., "Teacher Burnout and Perceptions of a Democratic School Environment" 4 (4): 108-120, 2003

      65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98): 310-357, 1985

      66 Folkman, S., "Stress, positive emotion, and coping" 9 : 115-118, 2000

      67 Kanokorn, S., "Soft Skills Development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ies in Primary Schools" 112 : 842-846, 2014

      68 Leith, R., "Reflective precesses in mapping personnel contexts for learning and change" 27 (27): 247-259, 2001

      69 Leavitt. R. L.,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4

      70 Shier, H., "Pathways to participation : Opening, opportunities and obligations" 15 : 107-117, 2001

      71 McDonald, N. M., "Moral behavior and free will: A neurobiolog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 IF-Press 333-359, 2011

      72 Boyatzis, R. E.,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Common Ground and Controvery" Nova Science Publisher 147-180, 2004

      73 Wilhelm, M. O., "Helping behavior, dispositional empathic concern, and the principle of care" 73 : 11-32, 2010

      74 Mayer, J. D., "Emotional intelligence: New ability or eclectic mix of traits?" 63 : 503-517, 2008

      75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9 (9): 185-211, 1990

      76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Bantam 1995

      77 Cherniss, C., "Emotional Intelligence: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15 : 2000

      78 Chan, D. W.,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ponents of burnout among Chinese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Hong Kong" 22 : 1042-1054, 2006

      79 Lopes, P. 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raction" 30 (30): 1018-1034, 2004

      80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 Imagination" 9 (9): 185-211, 2000

      81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Bantom Books 1995

      82 Mayer, J.,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 Basic Books 3-34, 1997

      83 Hoy, W. K.,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McGraw-Hill 2005

      84 Boyatzis, R. E.,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27 (27): 5-12, 2008

      85 Holloway, S. D., "Childcare quality, family structure, and maternal expectations : Relationship to preschool children`s peer relations" 10 : 281-298, 1989

      86 Picton. C., "Child Welfare In Australia : An Introcuction Sydney : Harcount Brace Iovanich Group(Australia)"

      87 보건복지부, "2019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통합지표)"

      88 Belsky J., ""Theoritical Medel of Child Abuse": A Critical Review Internation-al Jouranl of Child Abuse and Negle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