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명상이 대체의학의 중요한 요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학업․스포츠․경영․마케팅․성공학․관광․여행 등 여러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한국 고유의 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명상이 대체의학의 중요한 요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학업․스포츠․경영․마케팅․성공학․관광․여행 등 여러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한국 고유의 명...
최근 명상이 대체의학의 중요한 요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학업․스포츠․경영․마케팅․성공학․관광․여행 등 여러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한국 고유의 명상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영가무도를 중심으로 한국 고유의 명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은 고유의 명상법으로 ‘선도(仙道)’의 전통이 있으며, 한국명상은 홍익사상, 신선사상, 풍류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성명정(性命精), 심기신(心氣身), 정기신(精氣神) 이론과 지감(止感), 조식(調息), 금촉(禁觸)의 수련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명상의 전통과 사상, 특징을 통해 영가무도가 선도명상의 구체적인 실천법으로, 방법론으로 기능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영가무도는 오음(五音)을 활용한 소리수련과 자연스러운 춤과 뛰는 행위 등 몸동작이 결합된 심신을 다스리는 수련법이다. 영가무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음ㆍ아ㆍ어ㆍ이ㆍ우’ 오음은 우주자연 모든 사물의 속성을 다룬 오행(五行)에서 발생된 것으로, 오행이론을 적용하면 많은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명상 프로그램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영가무도가 한민족 고유의 심신수련법으로 의미가 있음을 확인하고, 우수한 전통문화 계승의 필요성과 함께 영가무도가 현대인에게 유용한 수련법으로 개발되어 널리 행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ditation has recently been used as important alternative medicine therapies, and has expanded into several areas such as school sports, management marketing, success and traveling. Despite this trend, studies on Korean unique meditation is still ins...
Meditation has recently been used as important alternative medicine therapies, and has expanded into several areas such as school sports, management marketing, success and traveling. Despite this trend, studies on Korean unique meditation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in Younggamudo, a unique Korean medit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has been the unique meditation technique of Sundo(仙道) in Korean, this Korean meditation was based on Hongik(弘益) ideas, Shinsun(神仙) ideas, Pungryu(風流) ideas and it was characterized by the theory of Sung-Myung-Jung(性命精), Sim-Gi-Shin(心氣身), Jung-Gi-Sin(精氣神) and the practcing techniques of Jigam(止感), Josik(調息), Gyumchok(禁觸). Through the tradition, thought and features of Korean meditation as mentioned above, we were able to infer that Younggamudo has functioned as specific practice and methodology of Sundo(仙道) meditation.
Younggamudo is the mind and body practice, combining sound practice utilizing five sounds, natural dance, beating act and boby motion. Five sounds of Younggamudo are ‘um․ah․uh․yi․woo’. These sounds occurred in the five elements which deal with the properties of the cosmic nature. Appling the five elements theory, it will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meditation programs common to many people. This research will confirm that Younggamudo is meaningful as a unique mind and body trainning method of Korean people, and it is expected that Younggamudo will be developed as a training method useful for modern people along with the necessity of succession of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and it will be widely performed.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상우, "화랑의 정신사적 접근" 민족문화연구소 (61) : 3-33, 2015
2 "해동이적(海東異蹟)"
3 정유창, "한민족의 신명과 대체의학" 국학연구원 17 : 263-289, 2014
4 梁順玉, "한국인의 건강에 대한 실체개념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5 박상화, "한국의 영가" 공화출판사 1976
6 김성환, "한국의 仙道 연구" 한국도교문화학회 (28) : 9-35, 2008
7 국학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출판부 2006
8 김영숙, "한국선도의 수행론을 통해 본 ‘아’ 음성수련법" 국학연구원 11 : 321-356, 2011
9 정광야, "한국교회 부흥에 대한 샤머니즘적 문제점과 대한" 대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1 권상우, "화랑의 정신사적 접근" 민족문화연구소 (61) : 3-33, 2015
2 "해동이적(海東異蹟)"
3 정유창, "한민족의 신명과 대체의학" 국학연구원 17 : 263-289, 2014
4 梁順玉, "한국인의 건강에 대한 실체개념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5 박상화, "한국의 영가" 공화출판사 1976
6 김성환, "한국의 仙道 연구" 한국도교문화학회 (28) : 9-35, 2008
7 국학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출판부 2006
8 김영숙, "한국선도의 수행론을 통해 본 ‘아’ 음성수련법" 국학연구원 11 : 321-356, 2011
9 정광야, "한국교회 부흥에 대한 샤머니즘적 문제점과 대한" 대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10 이승호, "한국 선도사상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0
11 "포박자(抱朴子)"
12 "파한집(破閑集)"
13 한문화편집부, "천지인" 한문화멀티미디어 2008
14 "중용(中庸)"
15 이성규, "조선시대의 선비교육과 선비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6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영남퇴계학연구원 (15) : 177-217, 2014
17 "조선도교사(朝鮮道敎史)"
18 이능화, "조선도교사" 보성문화사 1985
19 우실하, "전통 음악의 구조와 원리" 소나무 2004
20 이성준, "자비명상의 효과 : 이타성과 안녕감"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4
21 윤이흠, "일제의 한국 민족종교 말살책"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07
22 김정호, "인지과학과 명상" 한국인지과학회 5 (5): 1994
23 신용욱, "의학적 입장에서 본 명상의 기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6 (46): 342-351, 2007
24 최현규, "음악명상과 선의 접점" 동국대학교 석림회 45 : 2007
25 김지하, "율려란 무엇인가" 한문화멀티미디어 1999
26 정유창, "영가무도에 대한 문헌고찰 및 대체의학에서의 연구방향" 국학연구원 16 : 261-290, 2014
27 김현주, "영가무도를 통한 인간 심신회복의 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8 정유창, "영가무도(詠歌舞蹈)와 외래명상(瞑想) 비교연구" 비교민속학회 (63) : 193-217, 2017
29 정유창, "영가무도 기반 명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삶의 질에 관한 효과검증" 한국웰니스학회 12 (12): 49-62, 2017
30 이애주, "역으로 본 영가무도" 경기대학교민족문제연구소 20 : 2011
31 조정희, "시조창이 초등학생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3
32 김인숙, "시조창의 문학치료학적 연구" 한국시조학회 (34) : 9-47, 2011
33 김정민, "소리선 프로그램이 유아의 오장에 미치는 효과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34 정현축, "선도와 도교의 용어혼용 문제"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4 : 2008
35 김학인, "선도(仙道)와 명상(瞑想)"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0
36 이은지, "생태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영가무도(詠歌舞蹈)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37 손경식, "삼일신고의 상식"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47 : 2003
38 반창열, "삼일신고에 나타난 의료기공에 관한 연구" 대한의료기공학회 7 (7): 2004
39 "삼일신고(三一神誥)"
40 반창렬, "삼일신고 진리훈에 나타난 기공원리 및 한의학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의료기공학회 4 (4): 2000
41 "사기․봉선서(史記․封禪書)"
42 김수홍, "빛명상이 전문계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3 "부도지(符都誌)"
44 류현민, "명상프로그램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4
45 이정은, "명상의 현대심리학적·의학적 활용연구 : 마음챙김 명상과 자아초월 심리학·정신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46 정태혁, "명상의 세계" 정신세계사 2011
47 배인혜, "명상의 내적 이미지를 표현한 섬유조형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48 불교와 사상의학 연구회, "명상 어떻게 연구되었나?" 올리브그린 2013
49 박 석, "명상 길라잡이" 도솔 2001
50 강천봉, "대종경전총람" 대종교총본사 1973
51 "단기고사(檀奇古史)"
52 배병철, "기초한의학" 성보사 1997
53 방건웅, "기가 세상을 움직인다(1부)" 예인 2005
54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55 정유창, "국내 명상의 실태 조사 :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2
56 양영필, "국내 마음챙김 명상의 임상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57 Sedlmeier, P., "The Psychological Effect of Meditation: A Meta-Analysis" 138 (138): 2012
明・淸 交替期 對明 海路 使行의 內陸 主要 分岐處 考察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7 | 0.97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