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연구 :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 A development of meditation program based on customized brain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employees’ mental health : focusing on manufacturing workers of company 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17930

      • 저자
      • 발행사항

        천안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뇌교육학과 , 2014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5.37 판사항(6)

      • DDC

        658.3124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x, 190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165-18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기업마다 요청하는 교육 중점 요구가 다른 현실을 적극 수용하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를 분석하였고, 직장교육의 목표인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을 도출하였으며, K사에 적합한 1박2일(12시간)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K사 생산직 771명을 대상으로 7개월 동안 13차수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김창대(2002)의 체계적 개발모형을 적용하였다. 우선적으로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에 대한 분석과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모듈을 구안하였다. 각 모듈은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으로 선정된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3번에 걸친 파일럿 과정 실시 후 K사 맞춤형 명상프로그램을 확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 개선작업을 거쳤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은 Tyler의 목표중심평가모형과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에 따라서 객관적 효과평가, 주관적 효과평가, 현업적용도 및 경영기여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객관적 효과평가를 위해서는 대응표본 t-검정 및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 및 삶의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공분산분석을 통한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도 통제집단은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서 별 차이가 없는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희망, 낙관주의에서 집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과 환경통제력에서 집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효과에 대한 집단비교 결과, 연령별로는 K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40대 집단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연수별로는 사전점수에서 교육을 통한 멘탈헬스 증진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던 10년 이상~15년 미만 집단이 모든 하위요인에서 점수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효과평가에서는 전반적인 교육 만족도가 5점 척도 기준으로 4.7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특히 강사만족도가 4.78로 아주 높게 나타나서 고객맞춤식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의 노력이 교육생들에게 잘 받아들여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프로그램 만족도도 4.5이상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나서 모듈마다 전하고자 한 핵심메시지가 잘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체험기와 재이수자 면담, 기업교육 및 인사노무 관련 잡지, 노사 임금협상 결과 등의 질적 자료를 통해 현업적용도와 경영기여도를 확인해 본 결과에서도 교육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업교육에서 한국의 명상을 체계화한 뇌교육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는 점,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이라는 뚜렷한 교육목표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 그리고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맞춤식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점에서 여타의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국내 기업교육에서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프로그램이 개발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교육방법상으로도 한국적 명상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개발은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인의 정신건강수준이 크게 나빠졌다고 보고된 40대 중반~50대 중반의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명상프로그램의 개발은 상당히 의미 있는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효과 또한 검증되었기에 추후 조직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대한민국의 기업 및 관공서의 인적자원개발에 큰 활용도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기업마다 요청하는 교육 중점 요구가 다른 현실을 적극 수용하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

      이 연구에서는 기업마다 요청하는 교육 중점 요구가 다른 현실을 적극 수용하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를 분석하였고, 직장교육의 목표인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을 도출하였으며, K사에 적합한 1박2일(12시간)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K사 생산직 771명을 대상으로 7개월 동안 13차수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김창대(2002)의 체계적 개발모형을 적용하였다. 우선적으로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에 대한 분석과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모듈을 구안하였다. 각 모듈은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으로 선정된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3번에 걸친 파일럿 과정 실시 후 K사 맞춤형 명상프로그램을 확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 개선작업을 거쳤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은 Tyler의 목표중심평가모형과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에 따라서 객관적 효과평가, 주관적 효과평가, 현업적용도 및 경영기여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객관적 효과평가를 위해서는 대응표본 t-검정 및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 및 삶의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공분산분석을 통한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도 통제집단은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서 별 차이가 없는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희망, 낙관주의에서 집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과 환경통제력에서 집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효과에 대한 집단비교 결과, 연령별로는 K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40대 집단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연수별로는 사전점수에서 교육을 통한 멘탈헬스 증진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던 10년 이상~15년 미만 집단이 모든 하위요인에서 점수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효과평가에서는 전반적인 교육 만족도가 5점 척도 기준으로 4.7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특히 강사만족도가 4.78로 아주 높게 나타나서 고객맞춤식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의 노력이 교육생들에게 잘 받아들여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프로그램 만족도도 4.5이상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나서 모듈마다 전하고자 한 핵심메시지가 잘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체험기와 재이수자 면담, 기업교육 및 인사노무 관련 잡지, 노사 임금협상 결과 등의 질적 자료를 통해 현업적용도와 경영기여도를 확인해 본 결과에서도 교육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업교육에서 한국의 명상을 체계화한 뇌교육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는 점,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이라는 뚜렷한 교육목표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 그리고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맞춤식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점에서 여타의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국내 기업교육에서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프로그램이 개발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교육방법상으로도 한국적 명상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개발은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인의 정신건강수준이 크게 나빠졌다고 보고된 40대 중반~50대 중반의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명상프로그램의 개발은 상당히 의미 있는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효과 또한 검증되었기에 추후 조직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대한민국의 기업 및 관공서의 인적자원개발에 큰 활용도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ⅰ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목 차
      • 국문초록 ⅰ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문제 및 가설 6
      • Ⅱ.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 고찰 8
      • 1. 멘탈헬스의 개념 8
      • 2. 조직성과와 관련된 연구 9
      • 1) 조직성과 9
      • 2) 긍정조직학 10
      • 3) 긍정적 조직행동 11
      • 3. 멘탈헬스와 조직성과 12
      • 1)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성과의 관계 12
      • 2) 긍정심리자본과 웰빙의 관계 14
      • 3) 웰빙과 조직성과의 관계 15
      • 4.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 17
      • 1) 긍정심리자본 17
      • 2) 삶의 만족도 20
      • 3) 심리적 웰빙 21
      • III. 고객맞춤식 프로그램 개발 24
      • 1. 목표수립 25
      • 1) 프로그램 개발팀 구성 및 기획 25
      • 2) 맞춤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업교육 요구조사 26
      • (1)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분석 26
      • (2) K사 교육요구 분석 27
      • (3) K사 학습자 교육요구 분석 29
      • (4) K사 학습자의 사전점수에 따른 집단별 특성 분석 31
      • 3)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39
      • 2. 프로그램 구성 40
      • 1)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의 중점사항 40
      • 2) 프로그램 활동 요소의 선정 42
      • (1) 뇌교육의 개념 42
      • (2) 뇌교육프로그램 5단계와 기업교육에의 적용 43
      • (3) 뇌교육프로그램이 멘탈헬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46
      • 3) 교육 내용 48
      • 4) 교육환경 분석 50
      • 5) 교수전략과 매체 50
      • 3. 예비연구 / 장기적 효과제고 노력 51
      • 1) 1차 예비연구: 기업교육 전문 강사 대상 공개과정 51
      • 2) 2차 예비연구: 교육담당자 대상 공개과정 52
      • 3) 3차 예비연구: K사 파일럿 과정 53
      • 4) 최종 프로그램 확정 53
      • 4. 프로그램 실시 및 지속적 개선 58
      • 1) 프로그램 실시 준비 58
      • 2) 프로그램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 개선 61
      • IV.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정 70
      • 1. 연구방법 70
      • 1) 연구대상 70
      • 2) 측정도구 70
      • (1) 객관적 효과평가 72
      • (2) 주관적 효과평가 75
      • (3) 현업적용도 평가 75
      • (4) 경영기여도 평가 75
      •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75
      • 2. 객관적 효과평가 76
      • 1) 측정모형에 대한 타당성 평가 76
      • (1) 신뢰도 분석 78
      • (2) 정규성 검증 79
      • (3) 확인적 요인분석 80
      • 2) 대응표본 t-검정 84
      • 3)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효과검증 85
      • 4) K사 학습자의 사후점수에 따른 집단 비교 94
      • 5) 상관분석 104
      • 6) 단계적 회귀분석 105
      • 7) 위계적 회귀분석 109
      • 8) 연구가설에 대한 검정 113
      • 3. 주관적 효과평가 117
      • 1) 반응평가: 교육만족도 117
      • 2) 질적 자료를 통해 확인한 교육효과 120
      • 4. 현업적용도 평가 137
      • 1) 교육이수 후 홈페이지 체험기에 나온 내용 137
      • 2) 재이수자 면담내용 146
      • 5. 경영기여도 평가 146
      • V. 논의 148
      • 1.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 148
      • 2.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논의 150
      • VI. 결론 및 제언 159
      • 1. 결론 159
      •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61
      • 참고문헌 165
      • 부 록 183
      • ABSTRACT 1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