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연구는 다른 시대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형식학적인 방법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형식 또는 형식론과 관련된 개념과 방법론은 다른 시대의 것과 차이가 있어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68243
황철주 (삼한문화재연구원)
2019
Korean
신석기시대 조기 ; 형식학 ; 형식(型式) ; 형식(形式)-기종 ; 양식 ; 융기문토기 ; 오산리식토기 ; Early Neolithic Age ; Typology ; type ; form ; style ; Raised-Design potteries ; Osanritype potteries.
KCI등재
학술저널
223-257(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연구는 다른 시대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형식학적인 방법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형식 또는 형식론과 관련된 개념과 방법론은 다른 시대의 것과 차이가 있어 연...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연구는 다른 시대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형식학적인 방법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형식 또는 형식론과 관련된 개념과 방법론은 다른 시대의 것과 차이가 있어 연구자들에게 많은 혼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조금이라도 해소하고자 2012년부터 발표된 개념과 방법론을 소개,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약간 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의 형식학적 연구는 전통적 방법이라 할 수 있는 기종·기형 구분에 의한 형식학적 방법, 문양계열의 형식학적 방법, 속성배열법, 빈도순서배열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방법론적 성격에 따라 크게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방법과 객관적인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연구 방법은 주관적 해석에 기반한 변화상이 단점인 반면, 결손자료에 대한 유연성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연구 방법은 제 3자가 동일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인 반면, 단편적인 자료의 한계에 따라 비 검토(결손) 자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론에 대한 대안으로 토기조성론과 같은 양식론적인 관점이 적용된 방법이 떠오르고 있다. 이 방법론은 세부적으로 형식학적인 방법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어 완벽한 대안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해석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의 문제들은 부실한 기초자료에 기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기초자료의 충분한 확보와 더불어 새로운 시각과 방법론의 도입을 꾸준히 시도하고, 시행착오를 통해 조금씩 오차를 줄여나가야 할 것이 다. 앞으로도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정밀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위한 문화재청과 문화재 조사기관들의 간절한 노력 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of Neolithic Age Pottery in Korea puts emphasis on the typologicall research method along with study of other ages. However, as concepts and methodology related to type or typology are different to ones of other ages, so it causes a lot of confu...
Study of Neolithic Age Pottery in Korea puts emphasis on the typologicall research method along with study of other ages. However, as concepts and methodology related to type or typology are different to ones of other ages, so it causes a lot of confusion among majors not specializing in Neolithic Age Pottery. Therefore, this manuscript not only brings out concepts and methodology commonly used in current academia from 2012 in order to resolve the above issue but also suggests an alternative on the issue. Formal method in recent years is classified as a typologicall method which is known as typology method in tradition and divided based on forms and shapes, affiliated pattern seriation, attributively seriation, frequency seriation.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methodological nature,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ore subjective methods and more objective methods. While a disadvantage of the subjective method is change based in subjective understanding, flexibility on loss materials is an advantage. The objective method provides an identical outcome for third party, whereas it is vulnerable to loss materials by limitation of fragmentary materials.
For the alternative on above methods, a stylistic method such as earthenware construction theory is emerging. It is hard to consider these methodologys perfect alternatives but very worth to understand issues on a macroscopic point of view. Finally, the issues on a study of Neolithic Age in Korea are considered results caused by insufficient baseline data. Thus, it is necessary to secure enough baseline data as well as keep trying to acquire a new point of view and methods. It is also mandatory tha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Cultural investigation desperately try to secure detailed baseline data plus attention of lots of researcher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상택,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양식의 성립과 변동" 중부고고학회 16 (16): 39-102, 2017
2 임상택, "한반도 신석기시대 복합수렵채집 사회 성격 시론" 한국신석기학회 (30) : 27-62, 2015
3 황철주, "한반도 동·남해안지역 융기문토기 편년에 대한 검토" 한국신석기학회 (24) : 31-67, 2012
4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전문사전-신석기시대편" 2012
5 전중총일, "한국 중·남부지방 신석기시대 토기문화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6 구자진,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와 편년" 진인진 2014
7 田中聰一,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와 편년" 진인진 2014
8 하인수, "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 전개" 서경출판사 2012
9 이동주, "한국 남부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유문토기연구" 한국상고사학회 7 : 1991
10 황철주, "최근 울진 죽변리 신석기시대 유적의 발굴성과-울진 죽변리 1-41번지 유적을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九州繩文硏究會 2017
1 임상택,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양식의 성립과 변동" 중부고고학회 16 (16): 39-102, 2017
2 임상택, "한반도 신석기시대 복합수렵채집 사회 성격 시론" 한국신석기학회 (30) : 27-62, 2015
3 황철주, "한반도 동·남해안지역 융기문토기 편년에 대한 검토" 한국신석기학회 (24) : 31-67, 2012
4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전문사전-신석기시대편" 2012
5 전중총일, "한국 중·남부지방 신석기시대 토기문화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6 구자진,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와 편년" 진인진 2014
7 田中聰一,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와 편년" 진인진 2014
8 하인수, "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 전개" 서경출판사 2012
9 이동주, "한국 남부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유문토기연구" 한국상고사학회 7 : 1991
10 황철주, "최근 울진 죽변리 신석기시대 유적의 발굴성과-울진 죽변리 1-41번지 유적을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九州繩文硏究會 2017
11 신종환, "청원 쌍청리 주거지" 국립청주박물관 1993
12 부산대학교박물관, "청도 오진리 암음유적"
13 한영희, "지역적 비교" 국사편찬위원회 12 : 1983
14 이청규, "제주고고학연구" 학연문화사 1995
15 황철주, "젊은 연구자가 본 신석기문화의 새로운 시각" 한국신석기학회 2016
16 이상균, "융기문(신암리식)토기의 재문제" 호남고고학회 3 : 1996
17 황철주, "울진군의 역사와 문화" 재)삼한문화재연구원·(재)성림문화재연구원 2016
18 황철주, "울진 죽변리 15-68번지 유적" 삼한문화재연구원 2015
19 황철주, "울진 새뜰마을(죽변등대지구) 조성사업 부지 내 유적" 영남지역문화재조사연구기관 협의회 2018
20 안재호, "울산세죽유적Ⅰ" 동국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2007
21 이동주, "울산 우봉리 유적" 동아대학교박물관 1997
22 안재호, "울산 세죽유적의 상대편년과 탄소14연대" 부산고고학회 (13) : 1-27, 2013
23 이소라, "오산리식토기 편년 연구-오산리 A지구의 층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2017
24 이소라, "오산리식토기 편년 -오산리A지구의 층서를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34) : 1-33, 2017
25 하인수, "영남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연구 : 편년과 생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26 하인수, "영남지역의 신석기문화" 영남고고학회 1997
27 한영희, "신석기시대 중·서부지방 토기문화의 재인식" 경기대학교박물관 5 : 1996
28 임학종, "신석기시대 주칠토기 삼례"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0 : 1999
29 이청규, "북촌리유적" 제주대학교박물관 1988
30 하인수, "부산직할시립박물관연구논집 3" 1995
31 김정학, "부산시지" 부산시사편찬위원회 1974
32 신가화, "부산 장항유적 출토 신석기시대 전기 토기의 전환양상 연구" 한국신석기학회 2017
33 최대용, "동삼동패총 토기의 시문기법 편년" 한국신석기학회 2017
34 최대용, "동삼동패총 토기의 시문기법 편년" 동국대학교대학원 2015
35 하인수, "동삼동Ⅰ문화층 토기에 대한 소고" 부산박물관 20 : 2014
36 임상택, "동·남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양식 - 죽변 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신석기학회 (24) : 1-30, 2012
37 장은혜,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조ㆍ전기토기 전환과정 연구" 한국신석기학회 (28) : 1-40, 2014
38 장은혜,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조·전기토기 전환과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39 정징원, "김해 수가리패총" 부산대학교박물관 1981
40 임상택, "강원지역의 신석기문화" 강원고고학회 2004
41 小林謙一, "韓國新石器時代隆起文土器と日本繩文時代早期~前期の年代-蔚山市細竹遺跡 出土試料の炭素14年代測定" 中央大學文學部 (57) : 2012
42 황철주, "韓半島 東·南海岸地域 隆起文土器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43 小林達雄, "繩文土器大觀 4" 小.學館 1989
44 안재호, "生産과 流通의 樣式編年" 한국청동기학회 (22) : 4-25, 2018
45 岩永省三, "橫山 浩一先生退官記念論文集-生産と流通の考古學" 1989
46 山內淸男, "日本遠古之文化(補注附·新版)" 先史考古學會 1939
47 小林達雄, "日本原始美術体系Ⅰ" 講談社 1977
48 山內淸男, "日本原始美術Ⅰ" 1964
49 崔鍾圭, "幾何文土器의 編年表 作成을 위한 一小考" 부산대학교 대학원 1977
50 小林達雄, "博物館硏究論集 3" 釜山廣域市立 博物館 1995
51 하인수, "南部地域 櫛文土器의 樣式과 型式 문제" 한국신석기학회 (25) : 67-103, 2013
52 小林行雄, "先史考古學に於ける樣式問題" 4 (4): 1933
신석기시대 영남-서북큐슈 해안지역 교류에 관한 검토 - 어로구의 양상을 중심으로 -
적색마연 유공양이파수옹(有孔兩耳把手甕)의 변화상과 그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