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전개된 계획 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안지민(Jimin An)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21 새마을학연구 Vol.6 No.1

        새마을운동에서 전개된 계획 활동에 대한 탐색 연구는 새마을개발의 정의에 근거한 새마을계획의 이론적 고찰, 새마을계획 수립 및 집행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에 대한 학습과 탐구는 새마을계획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 능력을 함양하여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970년대 정부와 마을에서 수행했던 계획 활동에 대한 경험자료로 새마을운동중앙회의 새마을운동아카이브 구술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합리성을 기준으로 정부와 마을의 새마을계획을 비교하였다. 1970년대 정부의 새마을계획은 전형적인 합리계획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같은 시기 마을의 새마을계획은 합의계획에 가까운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마을에서 전개된 새마을계획은 마을주민이 중심이 되어 사업을 선정하고 추진방안을 구체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격렬하게 토론하고 설득하는 등의 마을주민 간 상호작용과 교류가 있었다. 한계도 적지 않았다. 정부의 총열제로 인한 공무원의 간섭과 동원이 있었고, 이러한 배경에서 마을의 새마을계획에 공무원이 깊숙이 관여하기도 하였다. 주민의 심의를 통한 자발적 승낙이 이루어지던 마을총회가 형식적 심의의 장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보여준 정부의 합의계획과 마을의 합의계획 간 상호보완적 수행은 통합된 합리성의 가능성을 부분적으로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Exploratory research on planning activities developed during the Saemaul Undong consist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Saemaul Plan based on the definition of Saemaul development and the basic knowledge necessary for devising and executing the plan. Learning about it and exploring it can foster practical skills based on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Saemaul Pla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using the Saemaul Undong Archives’ oral history from the Saemaul Movement Central Association as empirical data for the planning activities executed by the government and villagers themselves in the 1970s. The government’s and villagers’ Saemaul Plans are compared based on their rationality. The government’s Saemaul Plan from the 1970s is a typical rational plan, whereas villagers’ plans from the same period are marked by an agreed-upon rational plan. In the Saemaul Plan developed by villagers, the villagers themselves chose the projects and provided detailed strategies to conduct them. Further, there were interactions between them, including discussions and heated debates on how to persuade unwilling parties. Moreover, there were many limitations, such as interferences and attempts of mobilization by public officials due to the government’s ranking system, and they were deeply involved in village-level Saemaul Plans. The village general meetings, where voluntary agreements were made through deliberations by residents, also became the venue for rubber-stamp approval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complementary roles played by the government’s and villagers’ agreed-upon plans during the Saemaul Undongof in the 1970s is a good example that shows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rationality.

      • KCI등재후보

        Is Saemaul Undong still a Means for Politics?: Using Topic Modeling Based on LDA : 새마을운동은 여전히 정치를 위한 도구인가?: LDA기반 토픽모델링을 사용한 뉴스 빅데이터 분석

        김선영(Kim, Sun Young)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21 새마을학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뉴스 빅데이터로 1990년대 이후의 새마을운동을 객관적으로 관찰해 역사 속의 새마을운동이 아니라 오늘날의 새마을운동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새마을운동에 관한 개념과 새마을운동에 관한 정치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경험연구를 통해 새마을운동에 대한 한국사회의 이슈를 살펴보고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빅카인즈를 통해 1990년부터 2021년까지 38.305개의 뉴스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마을운동에 관한 신문사설 391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토픽 모델링 분석 방법 중 하나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적용하였다. 연구분석의 결과 1990년 이후 한국 사회에서 새마을운동과 관련된 이슈는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모델로서의 새마을운동과 관련한 이슈, 지역공동체/지역활동과 관련한 이슈로서의 새마을운동, 마지막으로 새마을운동과 정권변화로 인한 새마을운동에 관한 논의로 구분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특히 새마을운동과 관련한 신문사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드러난 지금의 새마을운동에 관한 토픽은 글로벌 새마을운동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즉, 새마을운동의 정치성에 관한 비판적 논의에 현재의 새마을운동을 적용하는 것의 한계를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뉴스 기사와 사설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마을운동과 관련한 이슈를 객관화해 살펴보았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observe the Saemaul Undong since the 1990s with news big data, and to examine the aspects of today s Saemaul Undong, not the Saemaul Undong in history. First, a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the meaning of Saemaul Undong and Saemaul Undong from the political perspective. In addition,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e issues related to Saemaul Undong in Korean society were examined and then interpreted. For this, 38.305 news articles and 391 newspaper editorial data on Saemaul Undongwere collected from 1990 to 2021 from BigKinds and analyzed. In this process,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one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methods, was applied. As the result, this study impl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riginal meaning of Saemaul Undong and develop it into Korea s unique future-oriented local community development model rather than distorting the true meaning of Saemaul Undong under the old prejudice that it is a political movement.

      • KCI등재후보

        The Nurturing of Saemaul Development Human Resource and Its Implications: A Case Study on the Saemaul Education at Yeungnam University

        이원영(Lee Won-young),이정주(Lee Jeong-ju),전우석(Jun Woo-seok)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20 새마을학연구 Vol.5 No.2

        1970년대 새마을교육은 노동생산성 증가와 국가인적자원 개발에 기여했으며, 사회적 자본 축적을 촉진하였다. 이것이 바로 새마을교육을 새마을운동의 성공 요인으로 꼽는 이유이며, 새마을운동을 다른 나라의 지역사회개발 운동과 본질적으로 차별화하는 특징이다. 새마을교육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국제사회의 관심과 기대로 이어지고 있으며, 국제개발협력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새마을교육 경험을 연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21세기 4차산업혁명 시대에 개발도상국의 국가인적자원개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고등교육을 통한 새마을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대학새마을교육이 지역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기여한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부터 개도국과의 대학새마을교육 공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영남대학교의 새마을개발 인재 양성사례를 중점연구대상으로 시계열 분석과 질적 연구를 수행한다. 분석 결과는 영남대학교가 사회적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을 위한 새마을개발 인재를 양성해왔음을 보여준다. 이는 국제개발협력의 관점에서 개도국과의 대학새마을교육 공유 방안을 모색할 때 개도국에 대한 다차원적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융통성 있는 공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고등교육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의 한국의 경험에서 개도국의 발전을 위한 활용가치가 도출될 수 있다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During the 1970s, Saemaul Education played a pivotal role in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nurturing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NHRD), and promoting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Hence why Saemaul Education is considered as a key factor that led to the success of the Saemaul Undong and fundamentally differentiates Saemaul Undong from other countries’ community development. This appraisal of Saemaul Education is followed by interests and expect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a demand for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particular, in-depth research on Saemaul Education through higher education is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NHRD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echanism by which Saemaul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and the countr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research derives implications and insights on strategies and plans to share Saemaul Educ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higher education. To this end, this paper focused on the case analysis of Yeungnam University’s Saemaul Education through the time series analysi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 is, Yeungnam University’s Saemaul Education has devoted to NHRD while responding flexibly to social changes and the demand of the times. It implies that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about developing countries in a creative and flexible way is required to share Saemaul Educ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In addition, this paper attaches a new significance that the utilization value for the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can be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in Korea in all fields, including higher education.

      • Improv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Case Study of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in Ponjong Village, Gunungkidul Regency, Yogyakarta Special Region, Indonesia

        레잘디 알리프 프라마다(Rezaldi Alief Pramadha),이정주(Lee Jeong Ju)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18 새마을학연구 Vol.3 No.2

        인도네시아는 지역사회개발 정책인 마을기금프로그램에 글로벌새마을운동을 적용하여 마을자치역량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의 지역사회개발정책 추진에 있어 새마을운동의 활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뽄종 마을 주민들의 글로벌새마을운동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 인도네시아 마을기금 프로그램 참여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냈는지, 그리고 글로벌새마을운동 프로젝트 참여의 어떠한 경험이 마을기금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뽄종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글로벌새마을운동 프로젝트와 마을기금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인식, 글로벌새마을운동 프로젝트의 성과, 그리고 마을기금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 분석을 위해 PLS-SEM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주민참여 측면에서 글로벌새마을운동 프로젝트는 글로벌새마을운동 프로젝트를 결합한 마을기금 프로그램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민참여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실현하는 것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몇 가지 변인들이 간접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효과는 글로벌새마을운동 프로젝트의 긍정적 결과와 마을기금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인 두 변수의 조정 효과를 통해 발생했다. Adoption of Saemaul Undong in Indonesia through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uses Village Fund Program that focuses on improving village government authority as policy entry.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applicability of Saemaul Undong Concept in Indonesia by reviewing and analyzing impact of participation experience in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on participation in Village Fund Program. This research uses Partial Least Square-Structural Equation Model (PLS-SEM) to process data sample of 99 Ponjong villagers’ opinion about their participation in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and Village Fund Program, result of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and their perception about Village Fund Program. This research finds that, in term of participation,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has direct positive impact to Village Fund Program which occurrs through synchronization of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and Village Fund Program. However, insignificant indirect effect might indicate obstacles in realizing mindset change into participation.

      • Strengthening Citizens’ Participation in Community Driven Development: The Role of Citizens in Kenya’s Constituency Devolved Fund ACT 2013

        루이자 피스 카루나(Louiza Peace Kaluna),이희욱(Yi Huiuk)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17 새마을학연구 Vol.2 No.1

        케냐 정부는 주민들의 지역개발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선거구개발기금법을 국회를 통하여 입법화하였다. 이 기금의 목적은 상대적 빈곤층들의 교육, 건강 도로와 같은 기본적 필요에의 접근을 공급하는 데 있다. 이 기금의 실행은 하향적 책임과 지역주민의 저조한 참여율로 인하여 도전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시민 참여의 개념을 위한 확실한 사례를 구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의 측면을 강조하면서 개선되어야 하는 민주주의 수요에 대한 최소한의 절차적 정의를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시민 참여라는 개념에 대한 실증적인 결과로 뒷받침되는 확실한 논거를 제기함으로써, 일반 시민들에게 좀 더 의미 있고, 성취 가능한 참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위임 기금을 통한 지역 개발에 있어서 시민 참여의 개념은 마을 거주민의 빈곤 근절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의도된, 그리고 이후 농촌 개발로 이어진 공동체 주도의 개발 모델인 새마을운동을 통해 한국에서 꾸준히 연구되었다. 그것은 사람들의 아래로부터 운동과 하향식 정책구상이 결합된 쌍방이 함께 하는 운동이었다. 다시 말해 새마을 운동은 핵심 구성요소인 정신개혁 운동으로 자주 언급된 배움과 혁신 과정을 조성하기 위한 내외행적인 관계의 종합이다. 새마을운동은 주로 공동체 발전과 현대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했다. 그 결과는 현재 한국에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참여적 민주주의 토론의 범위 내의 참여적 공간으로써 선거구개발기금 프로그램에 대해 연구한다. 본 연구는 케냐의 선거구발전기금 프로그램의 지역 시민 참여를 저해하는 구조적 취약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실 본 연구는 케냐를 위해 아주 시기적절하다. 2010년 국민투표를 통해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된 새 헌법에 따라 케냐는 전면적인 권력 이양 시스템을 실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거구발전기금 프로그램 외에 지역 수준에서 시민 참여가 헌법상 보장된 무수히 많은 다른 민주적인 공간이 많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장래의 시민 참여 프로그램이 닻을 내릴 수 있는 훨씬 필요한 실질적인 조언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make a strong case on the concept of effective citizen’s participation. It contends that the procedural minimum definition of democracy needs to be improved with more emphasis on the aspect of participation. By advancing a strong argument backed by empirical findings on the concept of citizens’ participation, the study hopes to make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more meaningful and achievable to regular citizens. Citizen’s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devolved funds has been well-studied in South Korea through the Saemaul Undong which was a community-driven development model meant to eradicate poverty and improve the livelihoods of the villagers which later led to rural development. It is a bilateral movement that combines top-down policy initiative and bottom-up people’s movement. In other words, Saemaul Undong is a synthesis between endogenous (local, bottom- up) and exogenous (extra-local, top-down) links to foster learning and innovation processes or much referred to as mental reform movement which is an essential ingredient of the entire program. In bid to enhance development in community participation at the grassroots level, the government of Kenya in 2003 established the Constituency Development Fund (CDF) through an Act of Parliament.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the CDF program as a participatory space within the larger participatory democracy debate. It also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weaknesses of the CDF program in Kenya which impede effective local citizen’s participation. Indeed, a study that is very timely for Kenya. Following a new constitution which overwhelmingly passed in a national referendum in 2010, the country is expected to go into a full-blown devolution system. Besides the CDF program, there are numerous other democratic spaces opening at local levels where citizen’s participation is constitutionally guaranteed. This study will offer the much needed practical input upon which future citizen participatory programs will be anchored.

      • Imbibing the Saemaul Spirits for a Cleaner Environment: A Case Study on Waste Segregation and Disposal Focusing on International Students at Yeungnam University

        리넷 메리콘 헤노사(Lynette Marycon Genosa),니티아 쿠마라사미(Nithya Kumarasamy)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19 새마을학연구 Vol.4 No.2

        적절한 쓰레기 분리수거는 환경오염 및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최근한국에서 공부하는 유학생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에 재학 중인 유학생의 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인식, 태도 및 행동에 관한 것이다. 부적절한 쓰레기 분리수거로 인한 환경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며, 이 연구는 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쓰레기 분리수거가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는 근본 원인을 조사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에 체류하는 동안 대부분의 유학생은 최선을 다해 한국 생활방식에 적응한다. 그러나 때때로 무지와 언어 장벽으로 인해 적절한 쓰레기 분리수거와 관련된 제도와 규정을 따르기 어려울 수 있다. 긍정적인 인식과 좋은 태도가 있다 하더라도 더 깨끗한 환경을 위해서는 개입이 필요한데, 본 연구자들은 개인의 사고방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권고한다. 개인의 사고방식의 개선은 새마을정신의 활용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태도와 실천에서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근면, 자조, 협동의 핵심 가치를 함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가치를 함양함으로써 우리는 보다 진보되고 환경 윤리적인 개인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자신이 사는 곳 어디에서나 더 깨끗한 환경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Appropriate waste segregation and disposal could lead to less pollution and environmental damage.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has increased exponentially. This descriptive study presents the awareness, attitudes, and actions towards waste segregation and disposal by international students in Yeungnam University. The rate of environmental damage owing to improper waste segregation and disposal is alarming and in order to address this concer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derlying causes for the lack of proper waste segregation and disposal. The case study results show that during the period of their sojourn, most students adapt to the way of life in Korea to the best of their ability. However, at times owing to ignorance and language barrier, they are unable to adhere to and comply with the rules and regulations pertaining specifically to proper waste segregation and disposal. Although there was positive awareness and good attitude present, a need for intervention is needed for a cleaner environment. The researchers recommend that improvement in terms of individual mindset is needed. This could be achieved using Saemaul spirits as a tool for change through imbibing the core values of self-help, diligence and cooperation to bring about a positive change in attitude and conduct in relation to waste segregation and disposal. The additional benefit of imbibing such practices and developing into a more evolved and environmentally ethical individual will result in cleaner environments wherever they choose to live.

      • KCI등재후보

        Alternatives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for the Kyrgyz Republic

        아이다 무사에바(Aida Musaeva)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20 새마을학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유럽 연합의 LEADER와 대한민국의 새마을운동의 두 가지 역할모델을 통해 키르기스 공화국의 지역경제개발(LED)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는 LED, 새마을운동, LEADER의 이론적 틀을 설명하고, 파트너십 구축, 지역 참여, 내생 및 외생 발전과 같은 이론을 상향식 및 하향식 접근 방식으로 나누어 요약했다. 이러한 역할모델 비교를 통해 새마을운동의 하향식 접근 방식이 고위 공무원, 지방 정부 및 마을 주민들의 완전한 참여를 촉진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두레와 향약과 같은 전통적 협동 문화가 새마을운동의 정신을 강화하고 사람들의 사고방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했다. 반면 LEADER는 유럽 연합이라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지역 활동 집단의 구성을 통해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공공, 민간 부문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은 LEADER의 상향식 원칙의 기본적인 특성이다. 이렇게 확인된 두 모델의 주요 특성과 원칙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키르기스 공화국에 대한 두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 연구에서는 키르기스 공화국의 농촌 지역에서 삶의 질 향상과 참여기회 확대를 위해 지역경제개발을 위한 3자 이해관계자 모델을 제안한다. The paper seeks alternatives for the local economic development (LED) for the Kyrgyz Republic. For this purpose, the two role models are selected: the European Union’s LEADER and the Republic of Korea’s Saemaul Undong. The author outlines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LED, the Saemaul Undong, and the LEADER. Theories such as partnership building, local participation, and endogenous and exogenous development applied to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outlined in the paper. A comparison of these role models reveals that Saemaul Undong’s top-down approach facilitated the full participation of the high-ranking officials, local governments, and villagers. Additionally, the traditional culture of cooperation such as dure and hyangyak, have strengthened the spirits of Saemaul Undong and positively affected people s mindset change. The LEADER, on the other hand, is aimed at establishing partnerships through the formation of local action groups to mitigate disparities that arise in the diverse and heterogeneous context of the European Union. The collaboration with the public, private sector, and community ar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 bottom-up principles. Based on these main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the paper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these models to the Kyrgyz Republic. For the application, the paper proposes a tripartite stakeholders’ model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to expand opportun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of the Kyrgyz Republic.

      • KCI등재

        제1세대 지역사회개발관점에서 본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 관한 연구

        김선영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22 새마을학연구 Vol.7 No.2

        S. Korea wa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that could exist through international aid in the 1950s and 1960s. Nevertheless, Korea is the only country worldwide that has completely transformed its reputation by joining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under the OECD in 2010. The study attempted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enabled only S. Korea to transform its position in the world by exploring 1970s Saemaul Undo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rly community development formalized in the 1940s and started to be systematically conceptualized in the middle of the 1950s.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local autonomy guaranteed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 2) the central government's incentives through inter-individual and inter-regional competition to motivate individuals and the entire village, and 3) the central government's management of national support resources, 4) the government's performing supplementary rol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 nationwide, and 5) educating community leaders. It is meaningful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initiatives related to ODA, which have been promot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to eradicate poverty and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 Community-Based Tourism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Saemaul Undong 2.0: The Case of Pantai 9 Sumenep Regency, East Java Province, Indonesia

        아디 뒤얀토 누룩만(Adie Dwiyanto Nurlukman),에디 수프라이트노(Edy Suprayitno)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19 새마을학연구 Vol.4 No.2

        지역 기반 관광 개발을 통한 해안 개발의 추세는 빈곤을 완화하고 환경 파괴를 줄이는 중요한 기회가 된다. 이는 최근에 해안 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는 사실과도 관련이 있다. 지역 기반 해안 개발은 이러한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한 해결책이 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공동체의 역량강화에 있어 성공적 모델의 하나인 한국의 새마을운동과 연관하여 지역 기반 관광 개발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 수메넵군의 판타이 9의 개발을 다루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지역 주민들에 의해 혁신적이고 자율적으로 추진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우리는 한국의 상황과는 매우 다른 해당 지역의 지혜와 지역 사회의 사회적 조건을 잘 고려한다면, 새마을운동 2.0의 정신이 지역 기반 개발의 기초로서 모든 개발 모델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trend of coastal development with a model of community-based tourism development is an opportunity to reduce poverty and environmental damage. This is in line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coastal tourism. Community-based coastal development is a solution to this complexity.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tourism with Korea s Saemaul Undong model as one of the successful models in community empowerment. This research seeks to portray the development of Pantai 9 in Sumenep Regency, which is driven innovatively and independently by the surrounding commun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spirit of Saemaul Undong 2.0 as a foundation in community-based development allows it to be adopted by all development models, with the prerequisites for adjusting the local wisdom an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local community that are very different from Korean conditions.

      • The Impact of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Program on Rural Household Income: Cross-sectional Evidence Covering Communes That Hosted Korea’s Saemaul Undong Program

        Manh Hung Do,비엣 흥 응웬(Viet Hung Nguyen),투하 응웬 티(Thu Ha Nguyen Thi),한 호앙 티(Hanh Hoang Thi),프엉 투 응웬 티(Phuong Thu Nguyen Thi)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연구원 2018 새마을학연구 Vol.3 No.2

        베트남의 1986년도 정치경제 개혁, 즉 도어머이(Doi Moi)는 베트남의 경제를 개방적 사회주의경제로 전환시켰으며, 이를 계기로 베트남 경제는 획기적으로 근대화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급속한 도시화는 도농 간 불균형을 가져왔으며, 이 도농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베트남 정부는 2006년에 새농촌개발(NRD) 프로그램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이 프로그램은 농촌 지역의 사회기반시설의 확충과 생활환경의 개선, 생산 활동의 종합적 발전, 소득증대, 농민들의 육체적ㆍ정신적 건강 증진 등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NRD 프로그램의 시행이 NRD의 궁극적 목적 중 하나인 농가소득 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새마을운동의 시범사업을 실시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간에 소득 증대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밝혀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NRD의 시행이 상당히 긍정적 결과를 가져왔으며 코민 수준에서 농가소득 증대와 생활환경의 개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도로 건설, 전기 도입, 주민 역량 강화, 제도의 발전 등이 농가소득 증대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했다. 회귀분석의 결과는 또한 새마을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코뮌들이 그렇지 않은 코뮌에 비해 연소득이 1200만 동(미화530달러) 더 많다(또는 41.8%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economic and political reform of Vietnam in 1986 (the Doi Moi) has transformed its economy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nto an open socialist-oriented market economy. This caused a dramatic change of Vietnam’s economy towards modernization. However, the urbanization process created an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urban and rural regions. To solve the gaps between these regions, the government of Vietnam firstly introduced the New Rural Development (NRD) program in 2006 to encourage and mobilize a revolutionary and campaign to improve local infrastructure, living condition,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related-production activities in rural regions, as well as increase income, and impro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eople living in rural communitie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is research paper is aimed at providing a scientific evidence for justifying whether the NRD implementation could have an impact on rural households’ income, one of the ultimate goals of the NRD, and examining the difference of incomes between Saemaul Undong (SU)-piloted provinces with the other provinces by employ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NRD implementation has shown positive results and significant impacts on increasing rural households’ income and improving living conditions at the communal levels. Criteria such as road development, access to electricity, capacity building,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households’ income. The regression model also indicates that the communes currently implementing SU pilots have a better annual income of 12 million VND (~US$ 530) or 41.8% higher than the other commu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