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건설·IT융합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권혜미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들어 경제성장에 따라 IT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국내 IT 기술 및 인프라 기반기술의 개발 수준은 주요 23개국 가운데 최고 수준으로 IT융합 성장전망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IT산업의 통신과 방송의 구분이 없어지고 기존의 전통산업과 통합된 새로운 산업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 건설산업은 국내 단일산업으로 기획, 설계, 시공, 공정관리, 지능형 고객서비스 등이 포함된 기술, 소재 서비스 및 인력이 종합된 대표적인 융·복합 산업으로 전통적으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이다. 국내 건설산업 또한 IT활용을 통해 업무의 효율을 얻고자 하고 있다. 높은수준의 IT기술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국내 건설산업의 IT융합 관련 기술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지능형 건설기술 및 건설·IT 인프라기술, 에너지절감, 친환경 관련 기술 등은 선진국대비 50%로 낮은 수준이다. EU 및 일본,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도 건설·IT융합 관련한 에너지효율, 친환경 빌딩 등에 관한 각종 규제 및 지침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외 모두 건설·IT융합 시장은 점점 더 커질 것이라 예상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해당분야의 전문가집단의 설문기법으로 델파이(Delphi) 기법을 이용하여 산업분류 및 산업연관표를 재구성하였으며 패널 대상자는 평균경력 8.6년의 전문가집단 3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건설·IT융합산업을 도출하였다. 2012년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1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추정된 건설·IT융합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물가파급효과, 공급지장효과, 전·후방연쇄효과를 통해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건설·IT융합산업의 산업간의 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 하였다. 또한. 건설·IT융합산업을 산업분류하여 분석한 파급효과측정의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일반 건설산업을 외생화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의 관점에서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본 연구는 건설·IT융합산업의 산업분석의 선행연구로서 앞으로의 연구 및 정책적 시사점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됨에 큰 의의를 갖으며 또한 연구적인 측면에서도 건설·IT융합산업을 외생화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택함으로써 건설·IT융합산업에 대해 논의를 집중시킬 수 있어 큰 의의를 갖는다. 추후 더 정확한 건설·IT융합산업의 산업분류가 필요하며 이는 보다 발전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각종 규제 및 지침 등이 필요하며 건설·IT융합산업은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정도가 다른 산업에 비해 크기 때문에 건설·IT융합산업을 효율성 있게 육성한다면 연관 산업에 대한 지식 및 기술의 공유․확산 등을 통해 건설·IT융합산업의 성장이 여타 산업의 성장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시사한다.

      • 저소득 가정의 보육서비스 요구에 따른 보육정책 방향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윤서연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is achieved on the purpose to grasp the parents' request about child-care of low-income family and to grope the direction of child-care policy to offer more efficient child-care service to low-income family. To achieve these purposes, after grasping the actual condition with the priority researches and examining literature, and grasping the child care service requests of low-income family through the questionnaires, I tried to draw the direction of child care policy. The target of the questionnaires was the parents in the provided low-income families by law and the second high class families whose children are going to the child care center addressed in In-Cheon si. The questionnaires used to final analysing materials were 311 copies. The questionnaire is organized in the questions about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quest and satisfaction measure about the child-care center, the request and satisfaction measure about the child-care programme, the request about the child-care time and the fee, the request about the child-care support policy and etc. Collected materials are analysed through the frequency number, t-verification, unitary dispersion analysis and Scheffe post censorship attended by the research questions. The principal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are below : The first is, that the respon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Child-care center, and the satisfaction measure was ordered from highest to lowest in the order of , the national public child-care center, corporation child-care center, household child-care center, private child-care center, the national public child-care center was the highest. The most important point to choose the child-care center was the time they are taking care of children and the quality of meal and snack. The second is, that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est and the satisfaction about the child-care programme shows that the present child-care centers are doing the functions of caring and educating but they are unprepared for the inclusive child-care services, such as, emotional support service, local society communication service, sanitary service, informational and request service. Also, it shows that the parents are requesting even the function of the inclusive child-care services, but not just the function of caring and educating. The third is, that result about the request of child-care hours, 62.1% of them are using the center from morning to night, and they are strongly requesting the variety child-care hours like an extensional hour child-care, a limited time child-care, 24 hours child-care and a holiday child-care. Now days, the child-care fee of the government supporting unit cost 100% is supported but 18.3% of them answered that they have to pay the difference if they go to the private and household child-care center. Also, the field studying fee, educating special ability fee, meal and snack fee, and teaching materials fee are charged greatly to low-income families and 34.4% of them want the government supports all of the reasonable child-care fee without compensation. The fourth is, that the measure of the satisfaction about child-care support policy of government was 2.76, most of them answered they are dissatisfied, and the measure about the necessity about the child-care policy for low-income families, was 4.29, the request about child-care support policy was high. Especially, the request about the variety child-care center hours, such as, the child-care expense support, national-public child-care center expansion, limited hour, extension hour, 24 hours, and etc. was high. The belows are the suggested political direction which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 Firstly, the child-care fee support is necessary through the expansion of child-care financial support. Secondly, the devices about 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support, meal and snack management duty support, strengthening of child-care government official supervisor through the expansion of child-care public service personnel, to solve the disparity with child-care center, and to improve the quality. Fourthly, for improving quality of child-care programme and for developing and revitalizing the inclusive child-care programme, the arrangement duty of social welfare service have to be put in operation. Fifthly, to offer enough information, the local model development for parents' education the revitalization and child-care support have to be supplied. Sixthly, As in the side of prevention, the revitalization of after-school child-care center and the administrational system servicing have to be achieved.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quest about chid-care service for low-income families through the questionnaires, suggested political proposal for improvement of current system an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t the point of becoming basis materials to manage the substantial plan which can improve the utility factor of current child-care support system for low-income families thr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저소득 가정에 보다 효율적인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보육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현 실태를 파악해 보고, 「질문지 조사」를 통해 저소득 가정의 보육서비스 요구를 파악한 후 보육정책 방향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질문지 조사의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보육시설에 보내고 있는 법정저소득층 가정과 차상위계층 가정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311부였다. 질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질문, 보육시설의 만족도 및 요구,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보육시간 및 보육비용에 관한 요구, 보육지원정책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현재의 보육시설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국공립보육시설, 법인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순으로 국공립보육시설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시설 선택 시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시간과 급식ㆍ간식의 질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를 차이를 본 결과 현재 보육시설에서 보호 및 교육의 기능은 하고 있으나, 포괄적인 보육서비스 개념인 정서적 지원서비스, 지역사회교류서비스, 보건서비스, 정보 및 의뢰서비스에 대한 기능이 미비하며, 점점 부모의 요구는 보육시설에서의 서비스의 기능이 보호와 교육의 기능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보육서비스의 기능까지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간에 대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 62.1%가 종일제를 이용하고 있었고, 시간연장보육, 시간제 보육, 24시간 보육 휴일보육 등 다양한 보육시간에 대한 부모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보육료에 대한 부담정도는 현재 정부지원단가 100%의 보육료가 지원되지만, 민간 및 가정보육시설에 다닐 경우 차액분에 대한 부담으로 부담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18.3%나 차지하였다. 현장학습비, 특기교육비, 급식ㆍ간식비, 교재비 등 추가납부금에 대한 저소득 가정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한 총 보육비용은 34.4%가 국가에서 모두 무상으로 지원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넷째, 현재 정부의 보육지원 정책의 만족도는 2.76으로 대부분 불만족 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저소득 가정을 위한 보육지원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선 4.29로 보육지원 정책의 요구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자녀양육비용지원,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 시간제, 시간연장, 24시간 등 보육시설 이용시간 다양화 등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재정 지원 확대를 통한 자녀의 양육비용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시설 간 격차 해소 및 질 향상을 위한 평가인증제 참여 지원 방안, 급ㆍ간식 관리 효율화 지원방안, 보육담당 공무원 확충을 통한 보육시설 관리감독의 강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셋째, 보육시설 이용시간 다양화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넷째, 보육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 포괄적 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해 사회복지사의 배치 의무화를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보육정보의 충분한 제공을 위해 부모교육 활성화 및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지역모델 개발을 보급해야 한다. 여섯째, 예방적 측면으로서의 방과후 보육시설의 활성화 및 제고를 위한 행정체계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저소득가정의 보육서비스의 요구를 설문조사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현행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시행하고 있는 저소득 가정을 위한 보육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음악 저작권 인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허신영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나라 저작권법 제 2조에 따르면 저작물이란 사상 또는 감정을 창작적으로 표현한 것을 말하며 시, 소설, 음악, 미술, 영화, 연극, 컴퓨터프로그램 등과 같은 ‘저작물’에 대하여 창작자가 가지는 권리를 저작권이라고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온라인상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저작물들이 범람하게 되었고 대중들은 점차 이러한 것들을 무료로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으며 그 중 음악분야는 대량의 복제와 유통이 가능한 mp3기술의 발달로 온라인상에서 이용자들이 원하는 만큼 음악을 불법으로 다운 받거나 공유하여 기존의 유통, 산업 체계까지 흔들어 놓게 되었다. 다행히 몇 년 전부터 저작권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2008년부터는 저작권 보호가 국가의 핵심 국책산업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홍보와 교육방법을 통해 올바른 저작권 인식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시행하고 있다. 이렇듯 현재 저작권 정책이 불법 음악 다운로드 근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지, 저작물을 이용하는 일반 대중들 인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정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음악 불법 다운로드 및 저작권 관련 지식,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정책들과 관련한 음악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크게 음악 청취 및 불법다운로드 관련행동, 저작권 인식 관련 특성, 저작권 관련 지식수준, 저작권 관련 정책에 대한 반응을 구분하여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성별과 연령별로 집단을 세분화하고, 각 세분 집단별 특성을 살펴봄과 동시에 각 세분 집단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성별과 연령별 세분 집단간 가장 많은 응답은 불법 음원 다운로드가 옳지 않거나 범죄행위라고 생각하지만 블로그나 까페등 무료 다운로드 사이트를 알고 있어 불법 다운로드를 하고 있으며 지상파 방송을 통해 음악 저작권에 대해 접해 인지하고 있으나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여 음악 저작권 보호의식은 높지 않다고 답하였다. 저작권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은 법과 제도의 강화 , 불법 음악사용에 관한 지속적 단속필요, 저작권 관련 전문인력 양성과 저작권에 관한 교육 및 홍보, 음악 저작권 전문기관의 활동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불법 음원 다운로드를 막기 위해 이용자들과 소통하는 저작권 정책을 시행하려면 이용자들에 대한 인식조사 및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본 연구가 앞으로의 음악 저작권 정책 수립에 기초가 될 것을 희망하며 연령과 성별에 관한 인식 조사 자료로 활용되어 지길 바란다. According to the Copyright Act of Korea, Article 2(definition), "works" mean creative productions in which the ideas or emotion of human beings are expressed. And "copyright" means the rights of author on such works as poem, novel, music, the fine arts, movie, the play and computer program and so on.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rapid change of the internet environment, many works which can be obtained easily on the Internet are deluged around us. The public takes for granted that they use such a work for free. Owing to the development of mp3 technology enabling the mass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usic, the public became to download or share music as much as they want. And such a thing has disturbed the existing circulation market and industrial structure. Fortunately, for years, the necessity of copyright reinforcement raised its head. In 2008, the copyright protection policy was designated with core national policy industry of the nation. With the various public information by the education method, the understanding of copyright has become to take effect correctly. As mentioned above, for the proper policy execution of copyright reinforcement and protection, it needs to study on whether the current copyright policy influences to stop such illegal practices and how it affects the public using such works positively. And this may be the most important part of copyright policy. In this research,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music consumer related illegal downloading of music, copyright-related knowledge, and the policy of copyright protection, we divided largely it into the listening to music and illegal downloading-related behaviors, the characteristic relating to the recognition of copyright, the knowledge level relating to copyright, and the response of policy relating to copyright in detail. For the purpose of it, we conducted survey of the public who dwell in Seoul and Gyeongi-do provi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most of the groups without distinction of gender and age said that; (1)illegal sounds downloading is not a right but a criminal act. Nevertheless, they are downloading the works through the free downloading from blog and cafe sites they know. On terrestrial broadcasts, they are contacting and recognizing about music copyright information. Nevertheless, for the lack of social awareness of it, their consciousness about music copyright protection is not that high. (2)as a policy to reinforce copyright, it requires the reinforcement of the related law and institution, the continuous crackdown on illegal music downloading and its use, the cultivation of copyright-related professional manpower, the education on copyright and public information, and the professional institute activities for music copyright. In conclusion, to prevent illegal sounds download and to enforce copyright policy for intercommunicating with its users, much research on copyright awareness should be accomplished continuously. And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come one of source materials for the music copyright policy establishment, and can be utilized for a copyright awareness material according to gender and age.

      • 예술행정 교육과정의 특성 분석 :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정다정 숙명여자대학교 정책ㆍ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provide basic and standard data with Korean universities as it analyzes curriculum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ion in graduate programs by the type of college, and identifies it. Firstly,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Arts Administration by comparing with Arts Management because they are similar each other, and explains the necessity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ion in view of theory and field demand with analyzing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studies which show the difference betw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are referred. Next, it shows which filed of study more related to general understanding of Arts Administration is, and which title of subjects most frequently used is by classifying AAAE's member schools in standard of their degree and college. Both of Arts Administration and Arts Management are used for the title of Arts Administration curriculum. MA is the most common, and MFA is there the next in view of degree. Humanity․Arts i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Social Science, Management․Law, and Education in view of college. Next, it shows 10 essential subjects which are the standard of AAAE graduate curriculum('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rt', 'Financial Analysis / Budget Management', 'Income Generation : Marketing and Development', 'Strategic Planning', 'Legal and Ethical Environments for the Arts', 'Policy for the Arts', 'Institutional Leadership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Environment for the Arts', 'Research Methodology', 'Technology Management / Training') and other subjects in view of 'Degree Requirements', and focuses on the specialty of 3 types of college('Education', 'Humanity․Arts', 'Social Science, Management․Law). This study is consist of two type of analysis. One of them is macro method that focuses on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subjects, and the other one is micro method that focuses on qualitative text of every subject in order to identify each college. Three points are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the different method of management is necessary in order to keep the essence of Arts Administration. Secondly, subjects which deal with internet and smart-phone have to be opened. Lastly, Internship program should be operated as an essential course for the degree by aligning the regular curriculum. This study could be contribute to academic world of Arts Administration because it provides the domestic universities with systematic blueprint of curriculum. 본 연구는 AAAE 회원 학교들을 중심으로 대학원 예술행정 교육의 교과구성을 대학의 유형별로 파악하고, 특성을 도출해 내어 국내 학계가 예술행정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있어 표준으로 삼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먼저 예술행정의 등장배경과 유사개념인 예술경영과의 비교를 통해 예술행정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나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예술행정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이론과 현장수요의 면에서 설명하였다. 또한 대학원 예술행정 교육의 특성이 학부와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학부 예술경영 교육의 특성을 설명한 연구를 찾아보았다. 그 다음에는 조사대상인 AAAE의 회원 학교들을 각각 졸업 시 수여하는 학위와,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단과대학(원)에 따라 분류하여 예술행정의 보편적인 인식이 어느 학문에 더 가까운지, 전공과정명으로는 무엇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예술행정 교육과정의 명칭에 대해서는 보편적으로 예술행정과 예술경영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여하는 학위에 대해서는 인문학석사학위(MA)가 가장 많았으며, 예술학석사학위(MFA)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예술행정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의 유형에 대해서는 인문․예술대학 분류군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사회과학, 경영․법학대학 분류군과, 교육대학 분류군 순이었다. 다음으로 AAAE가 대학원 교과과정 기준으로 제시한 10개의 예술행정 필수과목(‘예술 창작과 보급’, ‘재무 분석 / 재정 경영’, ‘수익창출 : 마케팅과 관객개발’, ‘전략 기획’ ‘예술의 법적․윤리적 환경’, ‘예술 정책’, ‘조직 리더십과 경영’, ‘예술의 국제적 환경’, ‘연구방법론’, ‘기술 경영 / 훈련’)과 학위 취득조건을 중심으로 모든 교과목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에서 분류한 단과대학(원)의 3가지 유형(‘교육대학’, ‘인문․예술대학’, ‘사회과학, 경영․법학대학’)별로 특성을 파악하는데 치중하였다. 분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단과대학(원)별로 강조하는 과목이 있는지를 과목의 개수와 분포도를 통해 거시적으로 분석하였고, 두 번째는 개설된 과목들이 단과대학(원)별로 지니고 있는 특성을 도출해내기 위해 학과목 분류별로 모든 과목들의 설명을 참고해 미시적인 분석을 하였다. 예술행정 교육의 교과구성 특성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예술행정 교과과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술행정의 본질을 흐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 기업과는 다른 경영의 방법론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둘째, 인터넷과 스마트폰 활용 기술과 관련된 교과목을 개설하는 것이다. 셋째, 인턴십을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위 취득을 위한 필수 과목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예술행정 교육과정의 단과대학별 특성은 향후 국내 예술행정학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갖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 전문무용수의 은퇴 후 직업전환을 위한 지원모델 개발 연구 : 발레를 중심으로

        임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전문무용수는 무대에 서기까지 10년이 족히 넘는 긴 시간의 꾸준한 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무용’이라는 속성상 자발적이든 타의적이든 30대 초의 이른 나이에 은퇴를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렇듯 어릴 적부터 오랜 훈련과 교육을 통해 무용에 깊은 열정을 가진, 공연을 통해 무대 경험과 단체생활에 익숙해진 그들이 너무나 이른 나이에 은퇴하여 사회로 나오게 된다. 조기 은퇴하게 되는 전문무용수들은 그들의 전문 능력을 가지고 사회에 기여하며 문화예술과 관련된 일에 활동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의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관심이 취약하여 지금껏 방치해온 상태이다. 이렇듯 전문무용수와 같은 고급인력의 조기 은퇴는 이미 무용수 개인의 문제가 아니며, 무용단체의 문제이고 사회 전체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무용수의 생애주기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전문무용수의 은퇴 이후 대비책에 대한 현주소와 과제를 점검함으로써, 앞으로 은퇴하는 역대무용수 출신의 고급인력들이 사회에 적응하여 무용수 개인과 문화예술사회를 위해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기존 국내외 논문들의 이론과 문헌 및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전문무용수의 실태를 노동시장 이론과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문무용수 70명과 역대무용수 30명에 대한 개별 조사를 실시하여 노동시장의 특성 및 경력구조, 활동실태 등을 파악하였다. 특히 국내의 대표적인 직업발레단인 국립발레단과 유니버설발레단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부가적으로 영국,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의 해외 전문무용수 지원센터 사례들을 통해 우리나라 전문무용수지원센터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문화예술가 정책 차원에서 중요한 준거 지표로 활용하였다. 조사 분석결과, 전문무용수는 어린 나이부터 오랜 학습과정을 받아야 하는 반면 무용수의 활동 기간은 짧고, 조기 은퇴는 30대 초반으로 매우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무용수의 조기 은퇴 요인은 개인 선택 의지보다는 부상 또는 체력의 한계와 같은 불가항력적인 요인이 높았다. 이러한 빠른 은퇴에 대하여 무용수 본인들도 은퇴 준비의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은퇴 준비는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무용수들이 무용을 그만두는 시점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전문무용수의 경우는 일자리 부족과 재교육 프로그램의 부재를, 역대무용수의 경우는 취업 정보 습득을 우선으로 꼽았다. 전문무용수들은 은퇴 이후에도 무용 관련된 분야에서 종사하길 희망하고 있었는데, 그런 이유로 이와 관련된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참여 의사를 보이고 있었다. 무용 이외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전문무용수의 경우 무용 응용된 분야를, 역대무용수의 경우 행정 비즈니스와 관련된 재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책방안 대안에 있어서 전문무용수는 전문무용수 지원센터와 같은 공공부문의 지원의 필요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역대무용수는 무용 전문 강사 교수법 지도와 같은 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을 가장 중요하다 응답하였다. 이러한 문헌고찰과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문무용수의 조기은퇴 후 직업전환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과 일자리 수요 창출 및 체계적인 정보 지원 등의 공공부문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전문무용수의 은퇴 후 직업전환 활성화를 위한 공공부문의 지원 대책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문무용수의 직업전환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지원은 창의력 있는 무용수 육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무용과 관련된 새로운 직업 창출의 의미 즉 직업 확장의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보다 질적으로 향상되고 전문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공개토론회와 심포지엄, 워크숍 등을 통해 전문무용수의 은퇴 후 직업전환에 대한 공공지원의 필요성을 알리고 전문무용수들이 직업전환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시킨다. 둘째, 기존까지는 전문무용수들의 은퇴 문제가 무용수 개인의 문제로 인식되어 공공부문에서 전문무용수와 관련한 컨설팅 상담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많은 전문무용수들이 새로운 직업전환에서 직면하는 많은 애로사항을 무용수 개인으로 고민해야 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무용수의 활동 기간 중 생길 건강문제 및 부상에 대한 재활 관리와 지도에 대한 상담을 실시하여 무용수 활동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문무용수 은퇴 시점에서는 새로운 직업 전환에 대한 정보 전달과 취업 추천을 통해 사회 진출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은퇴 후 새로운 직업에서 종사하는 역대무용수들의 애로사항을 구체적인 상담과 교육을 통해 현실적인 생계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고 나아가 전문무용수들이 은퇴 후 예상되는 애로사항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미리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은퇴 후 직업전환에 있어서 무용수 활동 기간을 포함한 은퇴 이후까지의 개인 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전문무용수와 역대무용수의 든든한 동반자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 전문무용수들은 무용계 내에서 새로운 직업을 찾을 때 지인의 소개로 알음알음 취업하고 있음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실력보다 네트워크가 더 중시될 우려가 깊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용계 전체의 취업 정보를 일원화하여 체계적인 정보의 이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중간 통로가 필요하다. 마침 2007년 새롭게 설립된 (재)전문무용수지원센터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곳에 치중하지 않고 중립성을 가진 대표적인 공공 지원기구이다. 이 단체를 통해 무용 인력 네트워크가 하나로 집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원화된 쌍방향 구인, 구직 시스템을 마련하도록 한다. 넷째, 전문무용수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무용 강사 양성에만 국한하지 않고, 무용 관련된 프로그램을 기획, 개발할 수 있는 무용수 출신의 관리자 양성에도 힘써야 한다. 이는 문화예술이 발전할수록 더욱 강조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분야 내에서 무용을 소재로 한국적 환경에 적합한 무용 체험 위주의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하는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무용수 출신의 기획자는 무대 위의 경험과 무대 밖의 현실을 적절히 조합하여 균형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시너지 능력이 기대되어 무용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프로그램 기획자보다 더욱 선호될 것으로 본다. 위의 전문무용수의 은퇴 후 직업전환 활성화를 위한 공공부문의 지원 대책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공공부문의 무용수 직업전환에 대한 지원정책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관련하여 전문무용수 직업전환 재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무용수 개인 컨설팅 사업을 추진하며, 취업정보의 체계적인 전달과 무용 전문 인력 네트워크 구축,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관리자 양성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헌고찰과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문무용수의 조기은퇴 후 직업전환에 대한 문제점은 무용수 개인의 문제가 아니며 공공부문에서 전문무용수의 직업전환을 지원해주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공공부분에서 무용수 직업전환의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위하여 전문무용수 직업전환 재교육 프로그램 지원과 무용수 개인 컨설팅 사업 추진, 일원화된 취업정보의 체계적 전달 및 네트워크 구축,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관리자 양성 등과 같은 방안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분석하면서 우리나라 전문무용수의 은퇴 후 직업전환에 대한 통계자료와 국내 연구가 전무함을 알게 되었다. 전문무용수의 은퇴 후 직업전환에 관한 모든 시도와 연구는 추후 수십년 뒤의 무용수를 포함한 그와 비슷한 생애주기를 가진 예술인들을 위한 모델로써 직업전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때까지 해외 지원사례와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현실적인 정책대안을 연구하여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To be a professional dancer, a steady training of more than 10 years is needed. Characteristically, however, a situation of retirement at the early age of 30 has to be ultimately confronted, whether voluntary or involuntar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objective of the lifespan of a professional dancer an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concerning preparation measures of our country's professional dancers after retirement, an alternative policy is suggested for the adaptation to high-class society of dancers facing retirement in relation to personal and cultural arts society. In order to attain such research objectives, this research paper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professional dancers at the point of view of labor market theories, with a foundation on theories, documents, and data of precedent researches. Separate surveys of 70 professional dancers and 30 former dancers in our country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areer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nd its current state of activity. As a result, it was demonstrated that professional dancers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since their early ages, then retire in their early 30s. Key factors of early retirement of such professional dancers showed greater influences of either injury or limits of physical strength rather than voluntary decisions. In relation to such early retirements, the dancers themselves recognized the need for prior preparations before retirement, yet in reality, showed that such preparations were not being able to be carried into effect. The biggest difficulty that dancers experience during retirement from a dancing career is the shortage of jobs, absence of re-education programs, and difficulty of finding job information. Furthermore, because dancers tend to pursue dance-related careers after retirement, great interests in dance-related re-education programs were demonstrated. Through the presence of the Dancers' Career Development Center, which increases the activity of such abovementioned factors, development and support of re-education programs for dancer's career change after early retirement, formation of job placement demand, and systematic information support are hoped to be made possible. Supportive measures for public classes, in terms of increased career change activities of dancers after retirement,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administration of qualitatively improved professional re-education programs must be recognized to be highly important, for which program development must be paralleled. Secondly, consultations and rehabilitation managements for health problems or injuries that occur during the activity period of professional dancers must be provided in order make possible a longer dancing career. Thirdly, a double-directional career/employee demand system for the combination of dance networks is constructed. Fourthly, dance instructor training is not limited by professional re-education programs, but provides the planning and developing dance-related programs and the education of managers with experience from the field of dance. The issues of career changing after early retirement is not just a personal problem anymore. Not only is a public policy support needed, but a societal change of perceptions is also needed in order to help professional dancers that retire early to reflect their skills into the society. We hope that this research paper can become a foundation stone for the attainment of more realistic policy measures and researches in relation to career changes of professional dancers.

      • 인터넷전문은행 대응을 위한 국내 시중은행의 전략요인 : 핀테크 기술 수용 중심으로

        이종림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금융산업은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하고, 기술에 의해 시장지배자가 바뀌는 핀테크 시대로 접어들면서 경쟁과 변화가 예견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핀테크 혁신을 할 수 있는 조직을 신설하고 육성하는 등 다양한 외부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에서는 활발하게 핀테크의 도입과 수용을 통해 은행이 자체 보유한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하고 Digitalization을 진행함으로써, 핀테크의 주 목적인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가치를 어떻게 실현하느냐에 주안점을 두는 등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의 핀테크 수용으로 금융산업의 변화는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FGI를 통해 은행의 핀테크 산업 및 서비스 분야의 니즈를 파악하고 델파이 기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국내 시중은행의 핀테크 수용과 관련된 유형별 주요전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FGI를 통해 세부 유형별 구체적인 니즈를 통해 키워드를 도출한 결과, 인터넷전문은행과 차별화된 서비스, 금융혁신 역량강화를 위한 요소와 은행의 핀테크 서비스가 고객에게 주는 만족도를 줄 수 있는 요소, 은행이 도입할 핀테크 핵심기술과 품질요소 등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설문조사를 통해 은행의 업무 적합성에 부합하는 업무를 파악한 결과 첫째, 시중은행이 은행의 기존자산 활용도가 높고 업무적합성에 부합하는 업무는 보안⋅인증, 온라인 플랫폼, 계좌조회⋅송금이며 우선대상인 업무는 계좌조회⋅송금, 보안⋅인증, 온라인 플랫폼 등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서비스 안정성(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실현가능성이나 성과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부 업무별로 차이는 있으나 내부 전문가 Pool 양성, 경쟁력 있는 외부기업과의 제휴, 내부 전문가 양성 등이 대체적으로 효과성이 높은 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시중은행이 핀테크 도입전략을 세울 때 핵심전략요인 및 그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시장 대응에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複合敎育文化空間으로서 博物館·美術館 技能特性에 관한 硏究

        류미선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서 박물관·미술관 개념의 기능 특성 강화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하고 있다. 현대의 박물관·미술관 기능이 과거 박물관·미술관 기능에 비해 다원화 되어감에 다라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 변화되어 가는 현황을 파악 및 분석하여 향후 전개방향에 대해 전망해 보고자 한다. 최근 박물관·미술관은 급속도로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 및 관람객의 문화적 욕구에 부흥하기 위해 고유기능인 전시·보존·교육·수집·연구 기능에 벗어나 다양하고 폭넓은 분야와 접목된 복합교육문화공간의 형태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의 활성화 방안, 공간구성, 디자인, 환경 관련 연구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왔으나 박물관·미술관의 특성화 기능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부족한 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물관·미술관이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 변화하는 과정과 현황을 오늘날 현대적 개념의 박물관·미술관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과 부대사업, 특수성을 부각하기 위한 확산된 활동 등을 기획과 운영까지 비교적 상세하게 파악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 분야별로 특성화되어 있는 12개의 박물관(3개 미술관 포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분석과 관계자 및 관람객 인터뷰 등을 통한 기초조사와 참고문헌 등을 통한 이론적인 탐구를 연구의 방법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복합교육문화공간을 실시하고 있는 박물관·미술관에서는 각 시설의 고유특성에 맞는 집중화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함에 따라 관람객들이 박물관·미술관을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복합교육문화공간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박물관·미술관들이 향후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서 박물관·미술관이 특성화 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확대를 통한 기능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기존의 박물관·미술관 기능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교육기능이 전반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은 재론의 여지없이 문화공간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해야하는 기능으로 유물을 중심으로 한 박물관·미술관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이는 조사된 박물관·미술관의 현황에서도 분명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의 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공간 외 활동확산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지던 박물관·미술관 내에서의 활동은 일정한 공간의 보이지 않는 한계로 인해 박물관·미술관 내·외부로 부터 외(外)적 활동의 필요성을 꾸준히 요구받아 왔다. 뿐만 아니라 박물관·미술관에 직접 내방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계층이나 집단은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찾아가는 박물관·미술관’과 같은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도 확장된 개념으로의 박물관·미술관 활동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부가서비스 확대를 통한 활성화를 들 수 있다. 부가서비스는 박물관·미술관 활동을 보조하는 기능으로 관람객들에게 박물관·미술관을 통한 향유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박물관·미술관이 갖는 경직된 이미지에서 탈피할 수 있으며, 박물관·미술관의 역할을 풍요롭게 한다. 박물관·미술관은 위와 같은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의 기능확대를 통해 일반대중의 접근이 용이한 문화공간과 더불어 건전한 고유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문화 인프라로 자리매김 해 나아갈 것으로 본다. This thesis has subject a study of museum's functional characterization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According to diversifying that comtemporary of museum is compared to the past, this thesis is based on identify of museum and analyze its case and construction, and then will be able to see the future of museum about direction of activity. Lately museum is trying to change into various and widely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 from the right function, like a exhibition and conservation. A lot of study is focused on museum's rendering method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spatial configuration, design, environment-related research, but I thought to lack the study about characterizing feature. Therefore I would like to study of the process and current condition that the museums changes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on this thesis. And also I would like to study program, a subsidiary enterprise, other activities from planing to managing at details as utiliz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of contemporary concepts. So I based on interviews of visitors and interested parties of 12 museums(including 3 art museums). And then I studied bibliography and analysed program. Study results were as follow. The visitors recognized museum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for the centralized planning and operating programs each museums. So I will guess the direction of some museums that do not act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In order to achiev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nsive, the first, in recognition of the existing features of the museum off, they had to do invigoration of function. The education is the significant function in museum and more important of museum based on relics. These are the point that read off the result of present condition of museums in this study. And the second, diffusion is caused by activities outside the active space. The museums were recognized that activities needed to external activities due to limitation in the past museums. Besides, some people directly to the museum can not go layer or group in the environment. They need to activities like a 'out reach program of museum'. Finally, it is activation for additional service. Additional services assist the functions of museum activities for the visitors through the museum to make it easier to enjoy the role. This helps that breaks the rigid image of museum and will enrich the museum's role. Based on this, the museum will be able to reach to the visitors friendly through museum's functional characterization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 미혼남녀의 결혼 및 일·가정양립 인식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임현정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work-family balance, namely, the anticipation of the work-family balance, of those who are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ir marriage and the work-family balance. This study further aimed to identify the ways to improve both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he quality of the social workers’life.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a survey, with data being gathered from the unmarried women and men of the age of above 20 years old, who were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the capital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was initially distributed to 300 targets, and the resulting 269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s 22.0 program, in terms of the factors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ain variables, in the independent marriage values among the marriage values, female participants showed a higher marriage-independence than the male participants, showing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The view of children, which is a variable of family values, and the work autonomy, personnel affairs·wage·workload, and the compensation system, which are the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ll showed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All the variables of burnout, which are the reduction of the sense of achievement,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gender. Regarding the variables necessity for marriage and the work-family balance, both the two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erms of the gender. Second, an analysis was made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rriage and family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In terms of the marriage orientation, those who had higher instrumental marriage values, had a greater family-orientation, emphasized the value of the children, felt a greater work autonomy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was found to have a higher degree of romantic perspective on marriage. In contrast, those who showed a higher degree of the independent marriage values and open-minded family values were shown to have a less romantic perspective on marriage. In terms of the family values, those who are more children-oriented, and are highly appreciating the compensation system in the workplace were identified to put more importance on the family values. However, it was found that if a participant had a more open-minded family values and felt emotional burnout more frequently, he or she tended to show the family orientation. In terms of the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people showed a greater satisfaction about the personnel affairs·wage·workload and the compensation system, and showed a lower degree of burnout in every aspect, when they recognize a higher degree of work autonomy in the workplace. People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mpensation system and achievement, and less emotional exhaustion in the burnout, when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the personnel affairs·wage·workload in the workplace, and it was found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was related to a higher level of achievement. In terms of burnout, people showed a lower level of feeling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when they had a higher sense of achievement, and the recognition of depersonalization was shown lower when they feel less degree of emotional exhaustion. Third, an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necessity for marriage and the work-family balance. The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necessity for marriage showed 6.9% of the explanatory power in the first phase and the male necessity for marriage was found to be higher for the male participants. In the second phase, it showed the explanatory power of 31.8% when the marriage and family values were added. This result implies that when the gender is male, when there is a greater attitude of instrumental marriage values, when the marriage independence is lower, when the open-minded family values are lower, and when there is a higher view of children, there is a higher necessity for marriage. All the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were added in the third phase, and as a result, it showed 35.7% of the explanatory power. Thus, it suggests that when the gender is male, when the marriage independence is low, when the open-minded family values are low, when the view of children is high, when the sense of achievement becomes greater, when the emotional exhaustion is high, people believe that marriage is necessary. Next, an analysis was made regarding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work-family balance. In the first phase, it showed 6.9% of the explanatory power, and it was found that the work-family balance was higher when the gender was male. In the second phase, the marriage and family values were added, and it showed 13.5% of the explanatory power. This result suggests that when the gender is male, and when the romantic perspective on marriage is low, people tend to have a higher work-family balance. In the third phase, the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variables were added,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17.0%. This result implies that when the gender is male, when the romantic perspective on marriage is low, and when the sense of emotional exhaustion is low, people tend to have a higher work-family balance.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social workers’ marriage and family values, through the observation on their recognition of marriage and work-family balance. Also, this study discussed the effects of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s a workplace upon the social service workers’ work-family balance.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could be used to enhance the recognition of the unmarried social welfare workers on their marriage, and could contribute to preparing the political measures about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astl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provided a foundation for the workers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promote the necessity for marriage, and the work-family balance, by making suggestions of the administrative measures.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결혼태도와 일·가정양립인식, 즉 일·가정양립전망을 살펴보고, 이들의 결혼 및 일·가정양립인식의 영향요인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사회복지조직의 서비스 효과성 증대와 사회복지 종사자 삶의 질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내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미혼남녀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26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결혼가치관 중 독립적 결혼관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은 결혼독립성을 보여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가치관 변인 중 자녀관과 직장만족도 변인의 업무자율성, 인사·보수·업무량, 보상시스템 모두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소진 변인은 성취감감소, 감정적고갈, 비인격화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필요성 및 일·가정양립 인식 변인을 살펴보면, 두 변인 모두 성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결혼 및 가족가치관과 직장만족도 및 소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혼가치관을 살펴보면, 도구적결혼관이 높고, 가족 중심적이며, 자녀를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직장에서 높은 업무자율성과 성취감을 느낄수록 낭만적결혼관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 독립적인 결혼관과 개방적가족관이 높을수록 낭만적결혼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가치관에서는 자녀 중심적이고, 직장환경에서 보상시스템을 높게 평가할수록 가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개방적가족관과 감정적고갈을 많이 느낄수록 가족중심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만족도와 소진을 살펴보면 직장에서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고 지각할수록 인사·보수·업무량과 보상시스템에 만족하고, 소진과 관련한 요소 모두에서 소진의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의 인사·보수·업무량에 만족할수록 보상시스템과 성취감에서도 긍정적이었고, 소진에서의 감정적고갈 또한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시스템은 높은 성취감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소진에서는 성취감이 높을수록 감정적인 고갈과 비인격화를 덜 느끼고, 감정적고갈이 적을수록 비인격화에 대한 지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필요성과 일·가정양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혼필요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1단계에서 6.9%의 설명력을 가졌고 성별이 남자일수록 결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단계에서 결혼과 가족가치관을 추가하였을 때, 31.8%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는 성별이 남자일수록, 도구적결혼관이 높을수록, 결혼독립성이 낮을수록, 개방적가족관이 낮을수록, 자녀관이 높을수록 결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단계에서 직장만족도와 소진에 관한 변인을 모두 투입한 결과 35.7%의 설명력을 보였다. 즉 성별이 남자일수록, 결혼독립성이 낮을수록, 개방적가족관이 낮을수록, 자녀관이 높을수록, 성취감이 올라갈수록, 감정적고갈이 클수록 결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가정양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1단계에서 6.9%의 설명력을 가졌고 성별이 남자일수록 일·가정양립 인식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단계에서 결혼과 가족가치관을 추가하였을 때 13.5%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는 성별이 남자일수록, 낭만적결혼관이 낮을수록 일·가정양립 인식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단계에서 직장만족도와 소진에 관한 변인을 추가하였을 때 총 설명력은 17.0%로 나타나 성별이 남자일수록, 낭만적결혼관이 낮을수록, 감정적고갈을 덜 느낄수록 일·가정양립 인식을 높게 자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업 분야 종사자들의 결혼 및 일·가정양립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결혼 및 가족가치관과 사회복지분야가 직장환경으로써 이들의 일·가정양립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논의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분야에 종사하는 미혼남녀의 결혼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일·가정양립에 대한 정책적인 대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정책적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결혼필요성과 일·가정양립 인식을 제고하도록 도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기혼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은하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factors on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of married male and female worker with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and environment factors; family, job, legal variables. and Its purpose is to present policy proposal for improve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of married male and female worker. Also, There are major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First, analysis of the connections between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and married male and female worker's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Second, analysis of the connections between environment factors and married male and female worker's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5 cases of married male and female worker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Collected date was analyzed by the SPSS 20.0 progra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t-test, cros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with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The result was that female's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is higher than male in gender. And the specialized jobs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is higher than other jobs. Seco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and housework and conjugal relations in Family variables. Then, this means that the more they did housework and satisfied their conjugal relations, the higher their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Third, It showed that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workplace culture had influence on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Then, this means that the higher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the lower workplace culture are the higher their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is. Fourth,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perception about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and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Then, this means that the more they perception about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the higher their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Fifth, This study investigated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with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and environment factor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effect of factors were gender of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housework and conjugal relations of family variables, discrimination in the work place of job variables and perception about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of the legal variable. Most of all, housework was the most relative influence in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Building on this study findings, it presents policy proposal for improve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of married male and female worker. First, a change of role between men and women needs a change of perception of role for improving married worker's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It needs to be applied to sociocultural awareness as well as individual awareness. Our society has to promote men's participating in housework. and provide steady jobs for women. Also, they need to increase the size of professional employment and produce specialized jobs. And Korean businesses are in the concept introduction stage of work-family balanced culture. So, they need to understand their workplace culture for work-family balance and change their awareness. And then, Korean businesses need to let their workers know their work-family balance rules in operation and recommend the use of it for them in a free atmosphere. And it's important to induce the use of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by improving it realistically.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환경요인 즉, 가정적 요인, 직장 요인, 법적 요인이 기혼 남녀 근로자의 일·가정양립 인식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기혼 남녀 근로자의 일·가정양립 인식의 향상을 위한 논의와 정책 대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기혼 남녀 근로자의 일·가정양립 인식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둘째, ‘환경 요인과 기혼 남녀 근로자의 일·가정양립 인식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환경 요인은 ‘가정적 요인이 일·가정양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와 ‘직장 요인이 일·가정양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 ‘법적 요인이 일·가정양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로 분류하였다.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인천에 거주하고 있는 기혼 남성 근로자 174명과 기혼 여성 근로자 181명 총 35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응답분석, t-검정,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다단계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일·가정양립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성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일·가정양립 인식 정도가 높음이 나타났다. 또한, 취업분야에서 전문직일수록 일·가정양립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적 요인이 일·가정양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가사노동과 부부관계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가사노동에 참여할수록, 부부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일·가정양립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직장요인에서는 직장 내 차별과 직장 문화가 일·가정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직장 내 차별 수준이 높을수록 직장 문화 수준이 낮을수록 일·가정양립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법적 요인이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일·가정양립 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즉 일·가정양립 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일·가정양립 인식 정도가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환경 요인을 함께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성별과 가정적 요인 가운데 가사노동과 부부관계, 직장 요인 가운데 직장 내 차별, 법적 요인인 일·가정양립 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 가사노동이 가장 큰 상대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일·가정양립 인식 향상을 위한 정책적 함의는, 먼저 남녀의 사회·가정에서의 역할 변화에 따른 역할에 대한 인식의 재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남녀 개인 뿐 아니라 사회와 기업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사회는 남성에게는 가족역할과 가사노동의 참여를 촉진시키고, 여성에게는 보다 안정적인 노동시장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또한 여러 분야의 전문직 채용을 늘리고, 많은 전문가를 양성·배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은 일·가정양립 문화의 개념이 도입 단계에 있다. 이에 무엇보다도 기업은 ‘일·가정양립을 위한 조직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럼으로 기업이 실행하고 있는 일·가정양립 제도를 근로자들에게 바르게 인식시키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업문화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남성들이 일·가정양립제도를 적극 사용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지원법의 개선과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이지혜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받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가 우리에게 주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한국복지패널 4차년도(2009년)부터 7차년도(2012년) 자료를 활용하여 빈도 분석과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기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만 7세 미만 미취학 아동을 양육하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연령은 음의 계수로 추정되었고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적을수록 경제활동참가의 확률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육수준은 모두 음의 계수로 추정되었고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원졸의 학력을 가진 기혼여성일수록 학력이 중졸이하, 고졸, 대졸인 기혼여성보다 경제활동에 많이 참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배우자 유무는 양의 계수를 나타냈고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배우자가 있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의 참여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넷째, 배우자의 월평균 소득은 음의 계수를 나타냈는데 배우자의 월평균소득이 적을수록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가구소득은 양의 계수를 나타냈고 유의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는 가구소득이 많은 가구의 기혼여성이 가구소득이 적은 여성에 비해 경제활동참여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자녀수는 양의 계수로 1자녀일 때보다 3자녀일 때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곱째, 배우자의 경제활동참여는 모두 양의 계수로 추정되었고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배우자의 경제활동참여가 미취업일 때가 상용직, 임시·일용직, 비임금근로일 때보다 경제활동에 많이 참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덟째, 보육기관 경험은 음의 계수로 나타났는데, 즉 보육기관 경험이 없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시설경험 유무를 살펴본 결과, 보육시설의 이용도는 높았지만 보육시설 이용경험이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결정에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raw data presented by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between 2009 (the fourth wave) and 2012 (the seventh wave), and the author in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household and household members for the four years by pool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onduct logistic regression for analyzing factors having effects o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e was estimated as a negative coefficient with significance, indicating that probability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was higher as the age of the subjects was lower. Second, educational years were estimated as a negative coefficient with significance, indicating that married women who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in labor force more than those who did not graduate from middle school or graduated high school or college. Third, having spouse was a positive coefficient with significance, indicating that married women with spouse showed higher labor force participation. Fourth, the monthly income of spouse was a negative coefficient, indicating that the woman showed higher labor force participation as the monthly income of their spouse was lower. Fifth, household income was a positive coefficient with significance, indicating that married women with higher household income participated in labor force than those with lower household income did. Sixth, the number of children was a positive coefficient, indicating that the woman having three children showed higher labor force participation than those having one child did. Seventh, the spouse’s participation in labor force was estimated as a positive coefficient with significance, indicating that the women whose spouse was unemployed showed higher labor force participation than those whose spouse was employed as full-time, part-time, daily job worker, or worker without wage. Eighth, experience of nursery institutions was a negative coefficient, indicating that the woman without the experience showed higher labor force participation than those with the experience did. Finally, as for experience of nursery facilities, accessibility of nursery facilities was higher, but the experience of using nursery facilities was not significant on determination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he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