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영어학습자의 단기 어휘회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그림 정보와 범주 정보를 중심으로

        임현정 崇實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초등학교 영어학습자의 단기 어휘회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그림 정보와 범주 정보를 중심으로 영어교육전공 임현정 지도교수 김용진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수준의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학습자들이 자율적으로 어휘를 학습할 때 영어 단어가 어떤 형태의 정보로 제시되는 것이 단기 기억회상(short-term memory recall)에 효과적인 것인지를 실제 실험을 통해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어 단어와 그 단어의 한국어 대응어(gloss)만을 제시하는 것과, 영어 단어와 한국어 대응어와 그림 정보를 제시하는 것과, 영어 단어와 한국어 대응어와 그림 정보와 범주 정보를 제시하는 것들이 각각 초기 학습자들의 어휘 단기 기억회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어린이가 모국어의 어휘를 습득(acquisition)하는 경우에는 해당 모국어에 충분히 오랜 기간 동안 노출되는 상황에서, 어휘 항목들이 가장 적절한 의사소통 맥락 속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습득자의 연령과 관심 분야에 따라 자연스럽게 습득되지만(Nation 1990), 한국과 같이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EFL 상황에서는 제한된 영어 수업 시수와, 교과서나 교실 상황이라는 인위적인 의사소통 맥락에서 학습(learning)이 진행되기 때문에 어떤 어휘를, 어떤 단계에서, 몇 단어 정도를 어떤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이화자와 신동광 2011). 본 연구를 위해서 인천 지역 한 초등학교의 3개 학급 76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첫 학급(24명, 이하 A 집단으로 부름)은 통제집단으로 영어 단어 120개와 그 단어의 한국어 대응어만을 제공하였고, 둘째 학급(26명, 이하 B 집단)은 실험집단 1로 같은 영어 단어와 한국어 대응어 외에 그 단어를 나타내는 그림이나 사진을 추가로 제공하였고, 셋째 학급(26명, 이하 C 집단)은 실험집단 2로 B 집단에게 제공한 정보를 12개의 개념 범주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이 세 집단은 제공된 어휘 학습 자료를 가지고 40분간 자율적인 암기 학습을 한 다음에 40분간은 영어 이외의 일반 정규 수업을 하고 휴식 시간을 가진 다음 40분간에 걸쳐서 한 두 시간 전에 익힌 어휘에 대한 기억회상 시험을 치렀다. 기억회상을 위한 시험은 120개의 어휘 목록을 무작위적인 순서로 배치하여 한국어 대응어를 써넣도록 하는 과업이며 실험에 참여한 세 집단에게 동일한 형태로 주어졌다. 실험 결과, 그림 정보를 제공받은 B 집단은 그렇지 않은 A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좋은 어휘 학습 효과를 보였으나 범주 정보를 추가로 제공받은 C 집단은 그렇지 않은 B 집단에 비해 미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을 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습 효과를 보이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EFL 학습자들에게 어휘 학습을 시킬 때 어휘 의미에 덧붙여서 그림이나 사진 정보를 곁들일 때 적어도 단기 기억회상에 높은 교육적 효과를 예상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림 정보와 달리 범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특별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을 시사하는데, 이것은 본 연구에서 제공한 범주 정보가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보다 근본적으로 초등학교 4, 5학년 단계의 학습자에게 다소 추상적인 수준의 정보인 범주화가 별로 큰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어휘 학습을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핵심어: 그림 정보, 단기 기억회상, 범주 정보, 어휘학습, EFL ABSTRACT Factors Affecting Short-term Memory Recall of Vocabulary for Elementary School EFL Learners: With reference to picture information and categorization information Lim, Hyun-Jeong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the short-term memory recall of English vocabulary by elementary school EFL learner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visual information and categorization information help the early learners memorize English words on a short-term basis. When a child acquires his or her mother tongue, he/she is exposed to the language in authentic communication situations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This leads to a natural acquisition of a native language. In an EFL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learners do not have these benefits. They have to learn the language with insufficient amount of exposure. That's why the EFL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carefully and methodically prepared for maximal effect. This study, therefor, tries to find out how to organize vocabulary (self)-learning materials for early EFL learners. Seventy-six primary school students in Incheon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came from three different classes of fifth grade. The first class (Group A) had 24 students and were given a vocabulary learning material in which 120 English words were alphabetically listed with Korean glosses. The second class (Group B) had 26 students and were given the same learning material as Group A with one difference: each word is provided with a picture. The third class (Group C) had 26 students and were given the same learning material as Group B with one difference: the whole 120 words were classified

      • 초등학생의 친구 네트워크와 도움 네트워크 변화 탐색 : 학업적 성취목표의 선택 및 영향 효과 중심으로

        임현정 경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초록 초등학생의 친구 네트워크와 도움 네트워크 변화 탐색 : 학업적 성취목표의 선택 및 영향 효과 중심으로 임현정 교육방법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인 stochastic actor-oriented models(SAOM)을 적용하여 친구 네트워크와 도움 네트워크의 변화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경기도 소재 한 개 초등학교의 4개 반의 5학년(N=111, 남: 56, 여: 55)을 대상으로 친구 네트워크, 도움 네트워크와 성취목표를 2년 간 총 4회 측정하였다. 친구 네트워크와 도움 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에는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SAOM을 적용한 친구 네트워크와 도움 네트워크의 성취목표에 대한 선택 및 영향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도움 관계와 우정 관계의 밀도와 집중도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다. 도움 관계의 밀도가 우정 관계보다 낮게 나타나 덜 조밀한 양상을 보였으며, 도움 관계의 집중도는 우정 관계와 다르게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높아지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측정 시기에 따른 도움 네트워크와 친구 네트워크의 짝 관계 변화에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전 측정 시기에서 도움 네트워크가 친구 네트워크보다 상호 짝 관계의 비율은 낮았으며, 비대칭 짝 관계의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측정 전 구간에서 도움 네트워크는 관계가 ‘유지’되는 지표가 관계의 ‘형성’이나 ‘소멸’을 나타내는 지표보다 작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도움 네트워크는 5학년에서 6학년보다 더 많은 관계가 유지되고 있으며, 안정도에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넷째, SAOM을 적용한 선택효과에서 도움 네트워크와 친구 네트워크의 내생적 효과(밀도, 호혜성, 전이적 삼자관계, 순환적 삼자관계)에 유사점이 나타났다. 또한, 형식적 조직인 같은 학급과 비형식적 조직인 같은 친한 친구 소그룹은 도움 네트워크와 친구 네트워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숙달목표는 친구 네트워크 활동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도움 네트워크의 활동성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접근목표는 친구 네트워크의 활동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회피목표는 도움 네트워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친구 네트워크의 대중성에 수행접근 목표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움 네트워크의 대중성에서 성취목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친구 네트워크의 유사성 효과에서 숙달목표의 유유상종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지만 도움 네트워크의 유사성 효과에서 성취목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친구 관계에서 성취목표에 대한 영향효과는 나타나지 않은데 반하여, 도움 네트워크의 숙달목표에 대한 영향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숙달목표의 영향은 도움 관계를 맺은 학생들 간의 평균 숙달목표와 관련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 도움 네트워크, 친구 네트워크, 학업적 성취목표, 사회 네트워크 분석, SAOM ABSTRACT Exploring Change of Friendship Networks and Help Networks in Elementary School: The Effect of Selection and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Goal LEEM, HYUN JUNG Major in Education Metho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 of friendship networks and help networks by comparing them. Data were collected about 5th grade students (N=111; boys: 56, girls: 55) among four classes in one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In the data analysis, a stochastic actor oriented model (SAOM)was applied to help networks and friendship networks assessed four times from 5th through 6th grades over a period of two years. This study examin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hange of networks structure between friendship networks and help networks, and the selection and influence processes occurring between networks and the achievement goa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density and centralization between friendship networks and help networks. The density of help networks was at a lower level compared to friendship networks, whereas the centralization of help networks was at a higher level than friendship networks over tim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dyadic change between friendship networks and help networks. Help networks showed a lower rate of mutual ties and a higher rate of asymmetric ties compared to friendship networks from time 1 to time 4. Third, the ‘maintain’ of networks was more than the ‘emerge’ or ‘dissolve’ in help networks from period 1 to period 3, and help networks in the 5th grade were more stable compared to the 6th grade, whereas friendship networks were not. Fourth, there were similarities in endogenous effects (density, reciprocity, transitive triplets, and three cycles) between friendship networks and help networks. The same classrooms (formal groups) and the same cohesive subgroups (informal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help networks and friendship networks. Fifth, the mastery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help networks, whereas the mastery goal was negatively related to friendship networks in activity. And the performance avoidance goal was negatively related to help networks, whereas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friendship networks in activity. Sixth, the achievement goal was non-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help networks, whereas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negatively related to friendship networks in popularity. Seventh, there was a homophily effect of the mastery goal in a similarity effect of friendship networks. However the achievement goal was non-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similarity effect of help networks. Finally, the influenc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help networks, whereas influence effect was non-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friendship network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stery goal influence can involve an average of mastery goals of their help relation. Keywords : help networks, friendship networks, achievement goal, social network analysis, SAOM

      •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을 통한 고등학교 영문법 지도 방안

        임현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사소통능력 중심의 영어교육에서 과연 문법지도는 어떻게 이루어져야하는지에 관한 많은 물음들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문법 지도는 교사의 연역적 문법 설명과 유의미한 맥락을 배제한 문장 수준의 문제풀이 중심으로 일관되어 있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는 거리가 먼 문법 지도였고 또한 문법만을 따로 분류해서 지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문법을 지루하고 어렵게 느끼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법 수업을 의사소통 활동과 함께 통합하여 학습자들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함께 계발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에서 제안하는 여러 가지 기법들을 고등학교 영어 수업에 적용해 보고 우리나라의 현실에 보다 적합한 문법 지도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 2장에서는 먼저 문법 지도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문법을 공식처럼 지도하고 암기 위주의 단순한 문제 풀이 중심으로 학생들의 사고방식 및 문맥의 고려없이 문법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았다. 그리고 문법 지도의 필요성을 살펴보았고 문법과 의사소통 능력과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의미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 활동 속에서 목표어의 문법 자질에도 초점을 두는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목표 문법 항목인 must와 have to를 분석해 놓은 교재들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외국의 영문법 교재에서는 must와 have to의 의미차이를 구별해 놓은 교재가 많았으나 우리나라 교재에서는 의미차이를 구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3장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must와 have to의 의미차이에 관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에서 제안하는 여러 가지 기법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대조집단에서는 현재 고등학교 문법 지도 방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연역적인 규칙 설명 방법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두 집단에 같은 유형으로 사후평가를 실시하고, ANOVA와 T-검증을 통해 각 평균간의 유의도를 검증하였으며, 각각의 성취도를 비교함으로써 학습 유형의 차이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자의 언어능숙도와는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았다.대조집단과 실험집단의 비교 결과, 규칙 설명 중심의 방식과 형태 초점 기법을 사용한 문법 지도 방식 모두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대조집단보다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어 형태 초점 기법을 사용한 방법이 더 효율적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각 집단별 언어능숙도에 따른 좀 더 자세한 비교․분석에서 그 원인을 명확하게 분석하여 볼 수 있었는데, 실험집단의 상․중․하 그룹 모두 사후평가에서 성적이 향상되었으나,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에서는 형태 초점 기법을 사용한 수업 방식이 규칙 설명 중심의 방법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는 뚜렷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중위 그룹에서는 형태 초점 기법을 사용한 수업방식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 구성 비율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던 중위 그룹의 학업성취도 향상이 전체 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많이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언어능숙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각 수준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법의 적용과 수업 방식이 필요함을 연구 결과 알 수 있었다.이상의 결과를 분석해 볼 때,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에서 제안하는 여러 가지 기법들을 이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것은 유의미한 문맥을 통한 문법 학습과 귀납적 문법 규칙 학습을 통해 좀 더 문법의 내재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의사소통적 과제 활동을 통해 문법의 직접적인 사용과 활용을 함으로써 학습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따라서 의사소통능력 향상 중심의 영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법만을 따로 지도하기보다는 유의미한 맥락 속에서 문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교사는 여러 가지 기법들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a lot of questions raised about how students should be taught grammar at the English classroom primarily for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Since the conventional grammar instruction requires for solving the problems at the level of sentences, excluding significant context, they do not seem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Moreover, since such instructions tend to separate grammar from the context, students feel bored and difficult for grammar.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integrating grammar learning with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thereby, exploring some effective grammar instructions useful to development of learners'' fluency and accuracy of using English. To this end, various techniques suggested by the focus on form approach were applied to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to find a grammar instruction suitable to our reality of English education.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In the second chapter, conditions of the grammar instruction are reviewed. It was found that our high school students are taught grammar like formulas, while being encouraged to solve the simple grammar problems requiring a memory power, not in consideration of their way of thoughts and context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needs for teaching students grammar as well a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rammar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addition,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cus on form approach. Lastly, the textbooks which explained the meaning differences between “must” and “have to”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disclosed that many English grammar textbooks of foreign nations distinguish “must” from “have to” in terms of meaning and usage, but our textbooks do not so.In the third chapter, the results of actual lectures about meaning differences between “must” and “have to” for 2nd graders of high school are discusse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taught using the various techniques suggested by the focus on form approach, while the control groups were taught using only the deductive rule explanations and exercises which are common at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After the experiment, both groups were evaluated in the same way. The significance level of each mean value was tested with ANOVA and T-test and the achievement level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in order to determine how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would be affected by learning approaches and how the variables would be correlated with learners'' linguistic proficiency.As a consequence of comparing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it was found that both grammar instructions - rule explanations and focus on form techniques - were available to enhanc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but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higher achievement, which suggests that the latter technique may be more effective. And the causes of such a result could be clearly identified through a more detailed comparative analysis of group-wise linguistic proficiency. Upper, middle and lower achievement sub-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achievement in the test, but it could not be proven that the focus on form technique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rule explanatory method for upper and lower achievement sub-groups of two groups. However, the former methods were proven more effective than the latter one in learning achievement for middle sub-groups. All in all,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focus on form approach is more effective to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middle-level students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he classroom.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may well be concluded that those various techniques suggested by the focus on form approach would be far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s. In other words, grammar was more effectively internalized with the grammar learning through significant contexts as well as with the deductive grammar rule learning, and direct uses and applications of grammar through communicative task activities were very useful to learning achievement.In conclusion, if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taught grammar effectively in the English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it would be necessary for teachers to teach them grammar in significant contexts rather than separately and help students to learn English effectively by using various teaching methods properly.

      •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한국기업의 對 중국 진출전략 변화에 관한 연구 : 상해시 투자사례를 중심으로

        임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은 2001년 12월 11일에 WTO의 143번째 정회원이 된 이래로 중국경제는 2001년 및 2002년에 각각 7.3%와 7.8% 성장을 유지해오고 있다. 중국 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2003년도 1/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2조3,560억元(약 2,839억달러)에 달해 9.9%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중요한 사실은 일시적인 영향에 의해 과장될 수 있는 표면적인 수치가 아니라, 중국의 경제성장이 WTO 가입 이후에 질적으로 개선되었다는 점이다. WTO 가입 이후 중국은 시장이 확대 개방되고 투자환경도 개선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기부진 등으로 중국이 대체투자지로서 선호되고 있다. 2002년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실행액 기준) 유치액은 500억 달러를 돌파하여 사상 최초로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의 외국인 투자 유치국이 되었다. 우리는 중국 경제를 더 이상 '變數'가 아닌 '常數'로 인식해야 한다. 중국을 고려하지 않고는 우리의 미래전략을 수립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므로 아시아를 넘어 정치·경제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존재를 핵심 환경요인으로 수용해야 한다. 특히 우리는 노력을 통해서 중국의 부상을 위협이 아닌 기회로 전환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대중투자가 생산비 절감형에서 내수시장 진출형으로 그 추세를 점차 바뀌고 있다. 이러한 과도기적 상황에서 가장 시급하게 요구되는 것이 투자지역과 시장에 대한 정확한 정보이다. 특히 투자 동기나 목적에 따라 차별화되고 세분화된 투자환경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WTO 이후의 투자정책의 변화, 상황,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상해시에 진출한 제조업, 금융, 유통의 한국기업 인터뷰를 통한 사례연구를 접목시켜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실제로 상해 지역에 투자한 한국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이론적인 분석과 실제 상황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한국기업의 對 중국 진출의 방향을 거시적인 입장이 아닌 미시적인 입장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조사 결과 제조업체 중 CAS전자는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전시회참가)에서 촉진전략 중 풀전략위주(신문, 잡지)로 전략형태로 전환하고 있다. 엘칸토는 수입과 현지 임가공제품 직접판매 위주의 경영형태에서 대리상을 위주로 하는 전면적인 내수시장 공략 위주인 판촉전략, 촉진전략과 한국제품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제품차별화 전략형태로 전환되고 있다. 제너시스(BBQ)는 단독 경영형태로부터 중국의 WTO 환경변화로 인해 전략적 제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로제화장품은 단순한 직접판매에서 제품라인과 판매라인 다양화에 노력을 하고 있다. 크린?은 일반적인 마케팅에서 출발하여 내수시장 점유율의 확대를 위한 "위탁거래처" 라는 개념을 확대하여 마케팅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수입과 현지 임가공제품의 직접판매에서 시작하여 제품의 현지화와 고급화에 노력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한국기업들에 대한 무역금융에서부터 현지 일반금융까지로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에 있다. E-MART는 단독경영에서 출발하여 상해지역 유수의 유통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함으로써 유통인프라, 자금력의 시너지 효과를 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산업조직론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중국의 WTO 가입으로 인한 투자환경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존에 연구되어진 많은 중국연구들이 연속적인 사건의 나열에서 오는 평면적인 구조와 통계수치만을 가지고 분석한 것으로 인해 한국기업의 중국투자에 대한 성과를 가지고 너무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점들은 현 시점 우리기업의 중국 투자 성과와는 많은 괴리감을 느끼게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중립적인 관점에서 출발하여 한국기업의 현 성과와 상황을 포괄적이게 정리해 볼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China has maintained a growth rate of 7.3% in 2001 and 7.8% in 2002 since it's entry into the WTO in December 11, 2001 as the 143rd member. According to China's bureau of statistics the GDP in the first quarter of 2003 reached 2.356 trillion Yuan (approximately 283.9 billion US dollars) marking a growth rate of 9.9%. The important fact is that these figures are not exaggerations based on a one-time spurt but real figures that show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China's economy since it's entry into the WTO. Ever since China's entry into the WTO the Chinese market has expanded and opened to the outside with the conditions for investment improving as well. Especially with the recession in the US economy, China has become the site for alternative investment attracting over 5 billion US dollars, for the first time surpassed the U.S. becoming the number 1 country attracting foreign capital. We can no longer think of the Chinese economy as a "variable" but must now think of it as a "constant." We can no longer plan future strategies without putting China in mind. China has become a powerful country, both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the rest of the world and we must accept this as a crucial environmental factor. It is also necessary for us to work to accept the rise of China not as a threat but as an opportunity. This current situation shows the Korean mainstream investment strategy gradually changing from bases for low-cost production to strategies for making inroads in the Chinese domestic market. In this transition stage the most important thing needed is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market and the particular region of investment.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the investment policies. Based on this analysis a case study was done for empirical analysis by interviewing Korean manufacturing, financial and distribution companies currently in Shanghai. By comparing the theoreticalanalysis with the actual situation by visiting firsthand the Korean companies in Shanghai,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trategy for future Korean companies not from a macro-economic point of view but from a micro-economic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e analysis, CAS™ electronics has changed it's strategy from simple communications strategy (participating in exhibitions) to a promotion centered "pull strategy" (newspapers, and magazines). Elcanto™ has changed from a management system of importing and directly selling locally manufactured goods to a promotion based strategy of an agency based full scaled push into the domestic market to emphasize the image of Korean products by product differentiation. Genesis (BBQ™) was originally independently managed but now because of China's entry into the WTO, is looking for strategic alliances. Rosee™ cosmetics has changed from direct sales to diversification in the product and sales line. Cleanwrap™ started out with a general marketing strategy and then expanded to commission based sal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rketing. LG Household & Health Care started out importing and selling locally manufactured goods. Now it is working to localize and higher the quality of it's products. Woori™ Bank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broadened it's financing from Korean companies to general local financing. E-MART™ started out as an independent business but is now looking for strategic alliances with many prominent distributing companies to maximize the synergy of the distribution and capital infrastructure. This study is based on an 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which has not been used by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to look at the changes of the investment environment caused by the entry of China into the WTO. Previous studies relied on a flat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the enumeration of continuous events and plain statistics, which as a result exaggerated the results of Korean investment in China. These points show a great deal of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realities of Korean investment in China. This study is uniquely significant because it is based on an unbiased case study that comprehensively organizes the current result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 하나님 형상을 회복하는 교육 목회 연구 : "관계" 회복을 중심으로

        임현정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든 교육이론에는 인간이해가 전제되어 있다. 교육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독교교육이론도 어떤 인간이해를 전제로 하는데, 기독교교육도 인간을 대상으로 하며 인간 안에 변화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이론에서의 인간이해는 일반 교육이론에서의 인간이해와는 다른 독특한 면을 가지는데 그것은 인간이해의 근거를 철학이나 사회학에서가 아니라 성경과 신학에서 찾는다는 것이다. 성경에서 나타난 기독교 인간이해의 기본 전제는 인간이 하나님이 창조하신 피조물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특별히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창1장 26-27절) 창조되었기에 이 ‘하나님의 형상’(Imago Dei)개념이 기독신학의 인간론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 개념이 된다. 이 ‘하나님의 형상’ 개념은 기독교 인간이해의 기초가 될 뿐 아니라 기독교교육이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그 이유는 이 ‘하나님의 형상’ 개념은 어떤 인간상을 지향하고, 기독교교육의 방향은 그것이 지향하는 목표가 어떤 인간상인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 ‘하나님의 형상’ 개념과 기독교교육은 어떤 연관성을 가질까? 인간 이해와 교육과의 연관성에 근거해 일반적으로 전제될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독교교육은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기독교교육의 대상이 모두 ‘하나님의 형상’인가에 대해서는 이견들이 있다. 구약성경은 인간이 하나님께 처음 지음 받은 대로의 상태로 그대로 유지해온 것이 아니라 창조 이후에 범죄로 말미암아 타락했다고 말한다. 그 이후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은 동시에 ‘죄인으로서의 인간’으로 여겨지게 된다. 이것은 기독교교육이론에서 교육의 대상인 인간을 단순히 ‘하나님의 형상’으로만 이해하지 않고 현재의 인간은 본래의 인간이 그에 따라 지음 받은 ‘하나님의 형상’으로부터 어떤 형태로든 왜곡된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편 이간은 죄의 상태와 무관하게 여전히 ‘하나님의 형상’이라고 볼 수 있다는 신학적 입장도 존재한다. 신학의 입장에 따라 현재의 인간의 상태에 대한 이해가 조금씩 다르므로 기독교교육은 그것이 기초로 하고 있는 신학이 갖는 인간 이해에 따라 그 교육대상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둘째, 기독교교육은 인간 안에 어떤 변화를 추구하는데 그것은 포괄적 의미에서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포괄적’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여러 기독교교육이론들에서 교육목적을 설정할 때 명시적으로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을 내세운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독교 관련 교육이론은 어떤 형태로든 특정한 신학과 연관성을 가지게 되고 그 신학이 가지는 인간이해로서의 ‘하나님의 형사’을 지향하는 것에는 일치를 본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기독교교육은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에게 그리고 동시에 그 교육이 지향하는 ‘하나님 형상’의 회복에 적절한 방법으로 행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교육이론에서 ‘하나님의 형상’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그리 단순하지 않다. 그래서 교육운동들이나 교육이론들은 내부적으로 이러한 모순을 어떻게든 극복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미국 내의 대각성운동과 복음주의신학에서 파생된 교육이다. 이 복음주의교육에서는 교육이 회심 자체를 그 중심이 되는 목적으로 회심을 유지하는 것을 위해 존재한다. 그리고 이 교육의 입장에서는 하나님의 형상회복이 교육에 의해서가 아니라 회심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간주한다. 그런데 하나님 형상의 회복이 이 복음주의 교육 입장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인의 회심 사건과 동시에 일어나고 그 이후에는 그 회복의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것만이 관건이라면, 기독교교육은 별로 할 말이 없어진다. 그리고 만인 하나님의 형상 회복이 회심에 의해서만 일어나고 구원받지 못한 ‘죄인’은 ‘하나님의 형상’이 아니라고 간주된다면, 아직 회심하지 않은 사람도 참여하게 되는 기독교교육의 현장에는 이미 ‘하나님의 형상’인 학생들과 아직 ‘하나님의 형상’이 아닌 학생들이 섞여있게 된다. 그러면 ‘이렇게 질적으로 다른 대상들을 어떻게 한 공동체에서 같은 교육과정으로 교육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대두된다. 그래서 실제로 이 부흥운동과 관련된 교육에서는 교육 자체에는 별로 큰 가치를 두지 않았고 그러기에 기독교교육의 학문적 발전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이후 부흥운동의 교육 입장과는 전혀 다른 입장을 갖는 두 번째 교육의 흐름이 나타났는데, 그것은 자유주의 신학의 경향을 가진 조지 알버트 코우(George Albert Coe)의 종교교육운동이다. 이 입장은 인간의 선함에 대해 낙관적 태도를 가지는데, 이것을 신학적으로 말하면 인간은 이미 ‘하나님의 형상’이므로 회심 같은 급진적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사건은 필요하지 않고, 다만 이미 존재하는 ‘하나님의 형상’의 발전을 돕는 일만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코

      • 한 초등교사의 자기수업성찰에 대한 실행연구

        임현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어떻게 성찰하는지를 밝히는데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자기 수업 보기와 글쓰기를 통한 성찰의 과정을 거쳤고, 성찰 결과를 기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행 연구로 진행한 한 교사의 수업 성찰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주 자료는 김 교사의 수업 녹화 자료, 수업 대화 자료, 수업 글쓰기 자료이며, 이 자료를 기초로 1단계 성찰 장면 포착하기, 2단계 유목화하기, 3단계 유목별 내용 확인, 4단계 주제 생성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 교사는 자신의 수업 보기를 통해서 스스로가 ‘수업을 보는 잣대’를 찾았다. 김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보면서 스스로 수업의 성공을 어떻게 보는지에 관심을 가졌고, 결국 ‘학생들이 주도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이런 자각의 과정에서 수업 중 아이들에게 ‘할 수 있다면’, ‘할 수 있는지 보여줘’, ‘할 수 없다면’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판단한다는 것을 성찰했다. 둘째, 김 교사는 수업 후 자신의 수업에 대한 글쓰기를 통해서 수업이라는 현상을 새롭게 인식하기 시작했다. 즉 수업의 성공 및 흐름에 가장 중요한 것들을 성찰했는데, 이를 ‘새롭게 다가온 수업의 열쇠, 그들’로 기술하였다. 김 교사는 자신의 수업과 만나면서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아이들을 수업의 중요한 열쇠로 인식했다. 이를 ‘아이들과 함께 한다는 것’, ‘아이들의 방식이 있다는 것’, ‘마음을 풀어주어야 한다는 것’ 등으로 성찰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성찰 과정의 진행성을 논의하였다. 김 교사는 수업보기와 수업 글쓰기가 이어질수록 수업 성찰의 방향성을 보여주었다. 즉 성찰이 거듭되면서 수업과의 진솔한 만남을 이뤄냈다. 다시 말하면, 수업에 대한 이해를 ‘교사중심에서 아동중심’으로 옮겨 진행했고, 아이들을 보는 시선이 ‘모두에서 개인으로’ 옮겨 갔으며, 교사 자신에 대해서도 ‘외면보기에서 내면보기로’ 진행했다. 따라서 교사의 수업 성찰은 교사가 수업의 외부에서 내부로 더 숙고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현실적인 요인이었다. 따라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에 대한 연구들이 이런 방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 우주상황파악을 위한 우주물체의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임현정 科學技術聯合大學院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 due to the increase of space objects, the risk of collisions between operational satellites and space objects is getting larger and hence the exact space situational awareness for satellites and space objects is needed by satellite operating agencies. To analyze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satellites and the space objects, the orbit prediction of two objects should be precisely carried out. In Korea Aeraspace Research Institute(KARI), for preliminary abalysis of conjunction with the space objects without orbit information, the orbit prediction of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KOMPSAT-2) and the space objects is carried out using Two-Line Element(TLE) which is the mean orbit derived at the Joint Space Operations Center. The TLE uses Simplified General Perturbations 4(SGP4) orbit propagator containing simple perturbation model to determine the position and velocity vector of objects at a partivular time or epoch. However, due to the incomplete perturbation model, there does not only exist the uncertainties by the SGP4 orbit propagator but also no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orbit in TLE is available. In this paper, to identify these uncertainties, a fitting period of truth orbit is changed from 1 to 7 days and the orbit determination is performed with the simplified perturbation model according to fitting period then the orbits are propagated to 7 days after. Through these propatgation results, the SGP4 orbit model was analyzed by comparing with high-presicion orbit propagation model. And for the analysis the TLE accuracy of KOMPSAT-2, it was estimated the TLE position variation and a covariance matrix and those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truth orbit data. In result, In-track direction error was the largest, KOMPSAT-2 that belongs to the category of LEO satellites has an atmospheric effect in the moving direction. Finally, the TLE data was interpolated and the state vectors were generated in a fitting period. Improved orbit prediction was performed by applying for a least-squares method to the state vectors. The precise covariance was generated through the improved orbit in preliminary conjunction analysis. The TLE is reliable as preliminary data in early conjunction analysis through the TLE uncertainty analysis. It is expected to perform more precisely the preliminary conjunction analysis by application of the covariance with high accuracy. 현재 증가하는 우주물체들로 인하여 우주물체와 운용 중인 위성과의 충돌 위험성이 커지면서 위성 운영 기관에서는 위성 및 우주물체에 대한 정확한 우주상황파악(Space Situational Awareness)을 필요로 하고 있다. 위성과 우주물체 간의 충돌 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두 물체의 궤도예측을 정밀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궤도 정보를 알지 못하는 우주물체와의 초기 충돌 가능성의 예비 분석을 위해 원시 자료로써 평균 궤도 요소인 합동우주운영센터 TLE(Two Line Element)를 이용하여 아리랑위성 2호와 우주물체의 궤도 예측을 수행한다. TLE는 특정시간 또는 시점에 물체의 위치와 속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서 간단한 섭동 모델이 포함된 SGP4(Simplified General Perturbation 4) 궤도전파기를 이용한다. 그러나 완전하지 않은 섭동 모델로 인하여 SGP4 궤도 전파기에 의한 불확실성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TLE에는 궤도 정확도에 대한 정보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제 궤도의 근사 기간을 1일에서 7일까지 변경해가면서 간소화된 섭동 모델과 함께 궤도를 결정, 이후 7일까지 전파하여 고정밀 궤도 모델과 비교함으로써 SGP4 궤도 모델을 분석하였고, 아리랑위성 2호 TLE의 정밀도 분석을 위한 위치 변이 및 공분산 행렬을 추정 및 실제 궤도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In-track 방향의 오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저궤도에 속한 아리랑위성 2호가 진행방향에서 대기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근사 기간 내의 TLE 자료를 보간하고 상태 벡터를 추출하여 최소자승법을 적용함으로써 개선된 궤도예측을 수행하였다. 개선된 궤도를 통해 초기 충돌 가능성 예비 분석에 있어 보다 정밀한 공분산을 생성할 수 있었다. TLE의 불확실성 분석을 통하여 TLE는 초기충돌 가능성 분석을 함에 있어 예비 자료로써 신뢰할만한 자료임을 확인하였고, 정밀도가 높은 공분산의 적용으로 보다 정밀한 초기 충돌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