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문화 선도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진원형 경북대학교사회과학대학지리학과 2008 地理學論究 Vol.- No.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strategies, effects and problematic issues of cultural flagship projects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and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s many older industrial cities in the US and Europe have suffered inner city decline problems after the decen- tralization of economic activity and population, they have become more conscious of the need to regenerate city center, in the late 1980s. Urban regeneration is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vision and action which seeks to bring about a lasting improvement in the economic,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erelict urban areas. Cultural flagship project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re central to promotional strategies that seek to transform the image of declining older industrial cities. We define cultural flagship projects as cultural development focusing attention on th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facilities which play an influential role in urban regeneration. Many European cities implemented regeneration strategies based upon flagship projects that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US origins. The primary functions of flagship projects seems to produce beneficial impact such as creating physical regeneration, attracting investment and skilled workforce and increasing tourism and employment. And, Cultural strategies form the cornerstones of city's place marketing strategy. However, in the cases of Baltimore, Pittsburgh and Manchester, flagship projects have drawn many controversial issues. Flagship projects generate issues of redistribution such as spatial separation between business, cultural, entertainment center and the decaying neighborhoods of poor inhabitants.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the economic benefits flowing from investment in flagship projects will trickle down to local communities. They contribute, in some cases, to displacement and spatial segregation by social class. The cost of maintaining flagships can constitute a long term drain on public finances. It is also clear that imitation effects resulting in the proliferation of standardized models which do not t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can contribute to the cultural standardization. City center regeneration policy is reasonable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mart growth. But, it is necessary to adopt foreign experience after careful consideration. 본 연구는 선진 산업국가에서 시행되어온 도시재생 및 문화 선도 프로젝트의 전략,효과,문제점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화를 일찍 경험한 서구의 대도시들은 도시 중심부의 인구 및 경제활동이 분산되는 도시쇠퇴가 시작되었으며,1980년대 후반부터 도시재생을 위한 개발 전략들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재생이란 쇠퇴지역의 경제적,물적,사회적,환경적 조건을 종합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전통적인 공업도시들 은 쇠퇴하고,낡은 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해서,중심시가지 재생 수단으로 문화 선도 프로젝트를 활용하게 된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문화유산을 보전하고,문화시설을 건립하는 등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도시를 재생하는 전략으로서 처음 미국 도시들에서 시행되었으며,후에 많은 유럽도시들이 채택했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물적 재생, 기업 투자와 숙련된 노동력의 유입,관광과 고용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 문화전략은 도시마케팅의 주요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Baltimore,Pittsburgh,Manchester 등의 사례연구에서,선도 프로젝트의 결과 사업,문화,유흥이 있는 중심지와 이를 둘러싼 빈곤지역이 발생하는 등 재분배 문제가 나타났다. 경제적 편익이 자동적으로 지역사회로 파급될 것이라는 증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또한 사회계층에 따른 배제나 분리를 가져왔다. 선도 프로젝트를 계속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공공재정의 고갈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모방효과로 인해,지역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을 채택하여 문화표준화의 위험도 있다. 중심시가지의 재생은 지속가능한 개발 이념과 스마트 성장 운동의 측면에서도 당위성이 있다. 그러나 문화 선도 재생프로젝트의 이러한 문제점음 심사숙고하여 외국의 경험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 독도에 대한 연구 성과와 과제

        박경근,황상일 경북대학교사회과학대학지리학과 2008 地理學論究 Vol.- No.27

        It investigates study which relates with Dokdo from the this paper. It grasps a hereafter subject. Dokdo connection datas that is published until present collect basic data using library, paper Retrieval Service and literature etc. It extracts the study list of the geography field which relates with Dokdo from the data which is collected. It classifies by data type, by time, by contents. It analyzes study tendency by each type of the data that classify. It investigates limitation of study for Dokdo. Geographer says field that can deduce study finding in situation of comparative advantage than other literary investigators. Hereafter, it wishes to supply basic data to offer geography connection research of course to encourage geography study regarding Dokdo. The researches which relate until now in Dokdo have the support of the nation and variously, it was advanced. But sovereignty or legal position of most Dokdo and with the old date or old map historical data research it was attaching importance in research of same human science and social science field. It judged by was analysis through document data because is hard to examine approaching in only Dokdo Island. If the approach of Dokdo is easy in future and if direct investigation IS achieved, It means the research of natural science field will be advanced actively. 독도에 대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출판된 독도 관련 자료들 중에서 도서관과 논문 검색서비스 문헌 등을 이용하여 기본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후 수집한 자료들을 유형별,시기별,내용별 등으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자료의 연구경향을 분석 하여 독도에 대한 연구의 한계점을 검토하여 지리학자가 다른 학문의 연구자들보다 비교 우위의 입장에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분야를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향후 독도와 관련한 지리학 분야의 연구를 장려함은 물론 지리학 관련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지금까지 독도와 관련해서 국가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연구를 진행하여왔지만 대부분 독도의 영유권이나 법적지위,고기록이나 고지도 등의 역사자료 연구 등과 같은 인문 ·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것을 단지 독도에 접근하여 조사하기가 쉽지 않아서 문서자료를 통한 분석이었던 것으로 판단해 볼 때,앞으로 독도의 접근이 용이하여 직접적인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자연 과학 분야에서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 Use of GIS for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 A Preliminary Investiation of Metropolitan Atlanta

        Jun, Byong-Woon 경북대학교사회과학대학지리학과 2008 地理學論究 Vol.- No.27

        그 동안 많은 연구가 환경적 형평성을 분석하기위하여 GIS를 활용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는 유해페기물이나 유해물질 배출업체에 관한 자료와 미국 인구 및 주택 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였다. 비록GIS를 활용한 환경적 형평성 분석에 관한 열의는GIS 연구그룹 내에서 높았지만, 그러한 분석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합의가 아직 도출되지 않았다. 최근의 연구는 자료, 축척, 분석방법등에 관련된 방법론적 문제를 제기한다. 본 논문은유독물질 배출업체의 영향권을 설정하고 그 영향권 내에 있는 인구를 추정하기 위한 GIS 기반의접근방법을 활용하여 환경적 위험이 애틀란타 대도시권에서 저소득층과 소수민족 밀집주거지역에불공평하게 분포하는지 여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독물질 배출업체의 공간적 분포와 센서스 블록그룹 수준에서의 인구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예비적 연구결과에 따르면,빈곤과 민족성 변수에 기반을 둔 환경적 불형평성이 애틀란타 대도시권에서 존재하였고, 민족성이유독물질 배출업체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변화를더 잘 설명하는 변수였다. 또한, 본 연구는 GIS가환경적 위험의 잠재적인 영향권을 설정하고 그 영향권 내에 있는 인구를 고해상도의 사회경제적인자료에 기반을 두고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경적 형평성 분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도구 이었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appli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for analyzing the environmental equity issue. Most of the studies have employed data from hazardous waste or toxic facilities and U.S.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Although the enthusiasm about environmental equity assessment using GIS is high within the GIS community, no consensus has been reached on how such an analysis should be made. Recent studies address several methodological issues related to data, scale, and analytical methods. This paper applies a GIS-based approach to assess the degree of inequity to toxic release site exposure and then investigates the hypothesis that environmental hazards have the inequitable impact on poor and minority communities in the Atlanta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utili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oxic release inventory (TRl) database and the demographic data at the census block group level. The preliminary results provide clear evidence of environmental inequity based on ethnicity and poverty in the Atlanta metropolitan area and show that ethnicity is the better predictor of distance to a TRl facility. Further,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GIS is a very efficient tool for conducting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through identifying the potential impact zones and then estimating the affected population by high resolution socio-economic data.

      • 재미한인의 교육성취도를 통해서 본 모델 마이너리티개념의 한계

        조현미,배유리 경북대학교사회과학대학지리학과 2008 地理學論究 Vol.- No.27

        다인종 · 다민족국가인 미국에서 아시아계 미국인은 성공한 이민자 집단으로서의 ‘모델 마이너리티’로 평가받고 있다. 아시아계의 높은 학력수준과 경제적 성취도는 모범적인 이민자집단으로서 비추어지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아시아계 미국인,특히 그 중에서도 재미한인의 높은 학력이 미국사회로의 진출과 성공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그리고 그러한 영향력은 백인이나 히스패닉,흑인들과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각종 통계자료와 문헌,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볼 때,높은 교육수준이 사회 · 경제적 성공과 지위획득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교육에 대한 높은 기대치는 입시와 취업에 있어서 미국인들과는 다르게 적용되는 기준으로 인하여 더욱 고학력을 지향하던가,아니면 반대로 종족집단으로의 회귀현상으로 나타나게됨을 알 수 있었다. 결국,다문화사회에 대한 반다문화주의의 등장은 종족적 · 인종적 · 계급적인 보편성을 인정하게 되면 사회가 분열할지도 모른다는 걱정과,다른 문화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Asian Americans as ethnic minohties who,despite marginalization, have achieved successin the United States are spoken of as a'model minority' group because the group hasbeen argued to be more successfulcomparatively than other minority groups inthe United States. The new Amehcanimmigration law in 1965 holds preference forskilled workers and those with collegedegrees; as such, many Asian immigrantsare well-educated before coming to Americaand are often in a upper-middle economicbracket. Therefore, Asians especially thosewho are highly educated and skilled startedto settle down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mid 1960s. For example, Asian Americanshave accounted for a large percentage ofsome of Amehca's most prestigious universities.The median household income of AsianAmehcans is also higher than the totalpopulation's income. The factors of incomeand educational attainment have made theterm 'model minority' pointing out thesuccess of Asian Amehcans such as Chinese,Korean, and Japanese. Compared to Chineseand Japanese, Korean immigrants tend toblend in quickly with the white upper middleclass while descendants of earlier immigrantsfrom China and Japan have a much more different and difficult history.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influence of the Asian Amehcans' academicsuccess on their advance in the United Statesfocusing on Korean Amehcans. Culturalfactors are mainly thought as a one of thereasons why Asian Americans are successfulin the United States. East Asian societiesthemselves, in general, often place moreresources and emphasis on education. Accordingto the statistics and the survey, however,some Asians presume that they are stillfacing racial discrimination even if they aresuccessful in education. Asian Amehcans, asa minority group, tend to depend upon theirethnic business instead of advancing into themainstream of the United States. SinceAsian Amehcans' status in the United Statesis in discord with their educationalattainment, exclusivism germinated alongwith anti-multiculturalism. In other words,anti-multiculturalism is the result ofconcerns that the society might be disunitedor adversed by recognizing the generality inethnic, rac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