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활동기반모형을 이용한 유연근무제의 교통부문 영향 연구

        조창현,Tom Bellemans,조창현,최기주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6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ABM (Active-Based Model), FEATHERS, as a policy evaluation tool. To achieve the goal, scenario analysis on flexible working policy was conducted to measure its impact on activity-travel behavior. As a consequence, there seems no significant change in worker's daily life, other than mitigating traffic congestion due to decreasing commuting travel in the rush hour. The result of VKT (vehicle kilometers traveled) shows an opposite pattern according to given household/individual constraints. The scenario analysis on telecommuting indicates a decreasing trend in both travel frequency and distance because of the diminished number of commuting trips. As the activity space of telecommuters is shifted to a residential area, there are more short-distance trips by using non-motorized transport, which leads to decrease in VKT (using a private vehicle). Thus, the sensitivity of VKT by population groups varies due to transport mode shift (between personal and another mode) and growing non-work trips (using a private mode). This study found few th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details of policy impact by population groups since it can be varied depending on household/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case study shows a promising performance of ABM as policy measurement that provides reality in policy evaluation. Third, ABM allows us to do more accurate analysis (i.e. time-series analysis by population groups) of policy assessment than those of FSM (Four-Step Model). Lastly, a further effort in data collecti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survey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accuracy and confidence of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정책평가수단으로써 활동기반모형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유연근무제(근무시간유연제 & 재택근무제)에 관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교통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첨두시간대의 통근통행량 분산을 통한 교통 혼잡 완화를 제외하고 근무시간유연제 적용시 활동-통행 특성에 있어서 뚜렷한 변화는 없다. 자가용을 이용한 총통행거리(vehicle kilometer of travel, VKT)는 인구집단별로 가구 및 개인 특성에 따른 제약요소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재택근무제에 따른 영향은 통근통행의 축소로 통행빈도와 거리가 감소하며, 재택근무자의 활동영역이 주거지를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비동력 수단을 이용한 단거리 통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자가용을 이용한 VKT가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오며, 다만 수단 전환(타 수단 ⇔ 자가용), (자가용을 이용한) 비업무통행의 증가 등으로 인해 인구집단별 VKT의 감소폭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연구를 통해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하였다. 첫째,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장인의 가구 및 개인의 특성에 따라 일상생활에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사전에 인구집단별로 정밀한 영향평가가 필요하다. 둘째, ABM을 이용한 정책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현실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여 긍정적 활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일반적으로 기존 모형에서 불가능했던 시계열 분석, 인구집단별 분석을 통해 정책 평가에 있어서 보다 정밀한 분석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자료 보완과 함께 문헌연구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시나리오의 완성도를 높여 향후 연구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후속 작업이 필요하다.

      • KCI등재

        활동기반 시뮬레이터 입력 자료의 전처리 방안에 대한 연구: FEATHERS Seoul을 사례로

        조성진,황정환,Tom Bellemans,Bruno Kochan,이원도,최기주,조창현 대한교통학회 2014 大韓交通學會誌 Vol.32 No.5

        ICAO에서 제시한 국가항공프로그램(State Safety Program, SSP)에 따르면, 국가의 항공안전 목표 달성을 위해 안전성과 측정 및 평가에 활용되는 안전성과지표(SPI)의 설정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세계 여러 국가들은 자국의 실정에 맞는 SPI 수립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2008년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이 제정된 이후로 지금까지 동일한 지표를 사용해왔으며, SPI 수립체계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 사업 및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SPI체계 개발의 일환으로 항공선진국인 유럽과 미국의 SPI 개발계획에 대한 동향 조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EU의 유럽항공안전국 (EASA), 영국의 민간항공국 (CAA), 핀란드의 교통안전국 (FTSA) 및 미국의 연방항공청 (FAA) 사례를 분석했다. 도출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외 SPI 개발계획 및 수립체계의 차이점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들은 향후 국내 SPI 수립체계의 발전방향 제시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State Safety Program (SSP)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d manage Safety Performance Indicators (SPIs) which are used for monitoring the safety performance to achieve the national aviation safety goal. There have been enormous effort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SPIs b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for each country. In case of Republic of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and policy projects related to the framework for SPIs. Furthermore, Korea has used identical SPIs since the SSP was legislated in 2008. With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is, as part of strategy for the state level of SPI development, the study cases of advanced aviation countries for SPI development plans, such as the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 (EASA) of the EU, the Civil Aviation Authority (CAA) of the UK, the Finish Transport Safety Agency (FTSA) of the Finland and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of the U.S. The comparison between the foreign and domestic policies for SPI development strategies are provided i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results and analyses of the case studies performed in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provide some valuable development strategies for further SPI research in Korea.

      • 유연근무제 시행에 따른 직장인의 일상 스케줄에 미치는 영향

        조성진(CHO, Sung-Jin),Tom Bellemans,조창현(Joh, Chang-Hyeon),최기주(Choi, Keechoo)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7 No.-

        통행을 활동에 의해 유발된 수요로 정의하는 활동기반모형(activity-based model: ABM)은, 중력모형에 기반을 둔 존중심(TAZ)의 전통적 4단계 교통수요 예측방법을 구성하는 시공간 차원의 집계적 모형 틀에서 비롯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북미와 유럽 선진국을 중심으로 많은 관련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1990년대 초반에 국내에 처음 소개된 이후에 ABM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으나 (최근 몇몇 사례를 제외하고) 대부분 이론적 또는 활동-통행의 일부 요소(활동참여, 통행수단선택 등)만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아직 현장에 활용하기에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국내에서 수행된 전체 스케줄을 대상으로 ABM을 활용한 사례로서, 한국형 ABM 개발을 위한 FS 프로젝트의 결과 중 일부를 소개하고자 한다. 사례는 유럽형 활동기반모형인 FEATHERS를 우리나라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전용한 모형(Feathers Seoul: 가칭, FS)을 이용해 근무유연제와 재택근무제를 가정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새로운 근무형태에 따른 직장인의 활동-통행에 있어 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제도가 가지는 교통 환경에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활동-통행 측면에서 근무시간유연제는 출퇴근 시간대의 확장로 인한 통행첨두시간대의 통행량 집중이 완화되는 효과를 제외하고 그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재택근무제 적용시 업무활동의 감소로 인한 비업무활동의 증가 경향이 뚜렷하며, 또한 자가용 및 대중수단의 감소로 도보 및 자전거 수단의 이용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러한 제도의 효과는 성별, 연령대별로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이어서 VKT를 적용한 분석 결과, 근무시간유연제와 재택근무제 시행시 나타나는 전반적인 감소 경향에도 불구하고 가구 및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구분한 인구집단별로 다양한 양상을 나타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서 첫째, 유연근무제의 효과가 인구집단별로 다를 수 있어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둘째, 실험결과를 통해 향후 ABM의 활용가능성과 더불어 FSM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의 가치를 증명하고, 마지막으로 향후 자료와 적용 시나리오의 보완를 위한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패더스 활동기반 교통수요예측 모델시스템에 의한 수도권 교통수요 분석

        이원도(Lee, Won Do),조성진(Cho, Sungjin),Tom Bellemans,최기주(CHOI, Keechoo),조창현(Jo, Chang-Hyeon)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9 No.-

        교통수요예측법은 통행을 목적으로 보는가 파생수요로 보는가에 따라 4단계 접근법과 활동기반 접근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4단계 교통수요모형은 기존 교통 계획의 기본모형으로서 활용되어 왔으나. 현대사회의 급박한 변화(고령화, 유류가격 상승)를 반영하 고 예측하기 위한 모델시스템으로서 여러가지 한계를 지닌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활동기반 교통수요예측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유럽형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델시스템 FEATHERS를 수도권 교통수요예측에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